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빌레펠트}} {{역대 운현궁주 (빌레펠트)}} {| class="wikitable" style="color:#000; border:2px solid #6d1b43 ; max-width:420px; float:right;" |- ! colspan="2" style="width:42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42140, #4A2d5b 20%, #4A2d5b 80%, #342140); color:#e3ba62;" | '''[[운현궁 (빌레펠트)|{{글씨 색|#e3ba62|운현궁 초대 궁주}}]]''' |- ! colspan="2" style="width:42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a122d, #6d1b43 20%, #6d1b43 80%, #4a122d); color:#e3ba62;" | '''대한국 황부섭정왕'''<br>{{large|흥선헌문국태왕 <nowiki>|</nowiki> 興宣獻文國太王}}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000;" | <div style="margin: -6px -9px;">[[파일:국태공전하.webp|420px]]</div>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출생 | 1821년 1월 24일 |- | 조선 한성부 북부 안국방 안동궁<br>(現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경 한성부]] 종로구 안국동·운니동 일대)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사망 | 1898년 2월 22일 (향년 77세) |- |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성부]] 서서 용산방 공덕리계 염동 아소당<br>(現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경 한성부]] 마포구 염리동 139-55 일대)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능묘 |- | 흥원(興園) |- ! rowspan="4"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재위기간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조선 대원군 | 조선 국왕 섭정''' |- | 1864년 1월 21일 ~ 1889년 2월 11일 |-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대한국 (빌레펠트)|{{색|#e3ba62|대한국}}]] 국태왕 | 대한국 황제 섭정''' |- | 1889년 2월 11일 ~ 1898년 2월 22일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gkqgk"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font-size: 10.5pt"><div style="margin: -2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gkqgk"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5px 0px;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left"> {| style="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본관 | 전주 이씨 |- !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휘 | 하응(昰應) |- !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부모 | 부친 남연군<br>모친 여흥군부인 민씨 |- !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형제자매 | 4남 1녀 중 4남 |-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배우자 | 여흥순목대원비 |-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자녀 | <div class="mw-customtoggle-gkqgkwkttlr"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none; color:none;"><div style="margin: -3px 0px">'''3남 3녀 [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gkqgkwkttlr"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 10p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left;margin-top:-2px " |- | '''서장남''' [[은친왕 (빌레펠트)|은친왕]]<br>'''적장남''' [[흥친왕 (빌레펠트)|흥친왕]]<br>'''적차남''' [[고종 태황제 (빌레펠트)|고종 태황제]]<br>'''장녀''' [[흥경공주 (빌레펠트)|흥경공주]]<br>'''차녀''' [[흥은공주 (빌레펠트)|흥은공주]]<br>'''삼녀''' [[흥순공주 (빌레펠트)|흥순공주]] |- |} |-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종교 | 불교 |-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자 | 시백(時伯) |-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호 | 석파(石坡), 노석(老石), 해동거사(海東居士) |-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별칭 | 대로(大老), 국부(國父) |-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작호 | 조선: 흥선부정(興宣副正)<br>→ 흥선정(興宣正)<br>→ 흥선도정(興宣都正)<br>→ 흥선군(興宣君)<br>→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 흥선국태왕(興宣國太王) <small>(1889 ~ 1898)</small><br>황부섭정왕(皇父攝政王) <small>(1889 ~ 1898)</small> |-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시호 | 성익의인'''헌문국태왕'''<br>(聖翼義仁'''獻文國太王''') |- |} |} {{목차}} == 개요 == {{인용문1|⋯<전략>⋯ 조정에서는 어떤 변이라도 있을까 하여 대원군에게 간언하기를, "선현의 제사를 받드는 것은 선비의 기풍을 기르는 것이므로 이 명령만은 거두기를 청합니다"라고 하니 대원군이 크게 노하여 말하기를 "'''진실로 백성에게 해 되는 것이 있으면 비록 공자가 다시 살아난다 하더라도 나는 용서하지 않겠다.''' 하물며 서원은 우리나라 선현을 제사하는 곳인데 지금에는 도둑의 소굴로 됨에 있어서랴." 했다. ⋯<후략>⋯}} 사도세자의 양증손이자, 정조의 이복동생 은신군의 양손자이며, [[고종 태황제 (빌레펠트)|고종]]의 친아버지. 조선시대에 4명 있었던 대원군 중 마지막 대원군이며<ref>유일하게 생전에 대원군이었다.</ref>,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의 유일한 국태왕이다. 섭정으로 오랜기간 실권을 가졌고, 조선의 마지막 왕이자 대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 태황제/평가 (빌레펠트)|고종]]의 친아버지로서 개화기의 핵심 인물이다. 그런만큼 강렬한 존재감을 가져 대원군이나 국태왕이라고 하면 흔히 흥선국태왕을 고유명사처럼 지칭해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현대 한국에선 사실상 국부취급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과 온갖 폐단으로 엉망이 된 조선을 개혁하고, 성공적인 근대화를 통해 한국을 근대 국가로 끌어올린게 바로 섭정으로서 실권을 쥐고 있던 흥선국태왕이었기 때문. 그만큼 개화기 역사를 배울 때 흥선국태왕은 빼놓을 수 없는 존재이고, 현대 한국에서 무한한 존경을 받는 인물 중 하나다.<ref>흥선국태왕의 평가에는 아들인 고종 황제가 실권을 잡은 이후와 극명하게 비교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자세한 내용은 [[고종 태황제/평가 (빌레펠트)]] 문서 참고</ref>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DarkMode (원본 보기) (보호됨)틀:Darkmode (원본 보기) 틀:Large (원본 보기) 틀:Resize (원본 보기) 틀:Small (원본 보기) 틀:Theme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빌레펠트 (원본 보기) 틀:빌레펠트 하단 (원본 보기) 틀:색 (원본 보기) 틀:역대 대한국 대원군 및 태왕 (원본 보기) 틀:역대 운현궁주 (빌레펠트) (원본 보기) 틀:인용문 (원본 보기) 틀:인용문1 (원본 보기) 한인헌태왕 (빌레펠트)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