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상위 문서|대한제국/행정구역 (한나라)}} {{대한제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한나라)}} {{목차}} == 개요 == '''시군면 통폐합'''(市郡面統廢合)은 [[순종 효황제 (한나라)|순종 효황제]]가 [[1911년]] [[3월 1일]]에 반포한 칙령 '''「부·도의 위치·관할구역 변경 및 시·군의 명칭·위치·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라 [[1911년]] [[4월 1일]]에 단행한 행정구역 개편이다. == 본문 == {{인용문|{{+2|'''부·도의 위치·관할구역 변경 및 시·군의 명칭·위치·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구분선}}부·도의 위치, 관할구역 변경 및 시·군의 명칭, 위치. 관할구역을 아래와 같이 정함<br><br>[[융희 시대 (한나라)|융희]] 5년 [[3월 1일]]<br>{{인용문|어압 어새 봉}}<br>[[내각총리대신 (한나라)|내각총리대신]] [[이완용 (한나라)|이완용]]}} == 개편 전까지 상황 == == 개편 사항 == 하위 문서로 분리된 행정구역 개편 사항을 참조하면 알겠지만 비교적 인구가 많고 면적이 작은 군이 많았던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 군이 많이 통폐합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으면서 면적이 넓은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 지역은 통폐합된 군이 적다. === 개편 방향 === [[1911년]] [[3월 1일]] 부로 중·남부 지방에 존재한 수많은 군을 2~4개씩 합쳐 군 하나로 통합했다. 북부지방인 [[평안도 (한나라)|평안도]]와 [[함경도 (한나라)|함경도]], 중부지방인 [[강원도 (한나라)|강원도]]는 대부분 산간 지방이라 인구 밀도가 적어 면적이 방대한 군들이 많아서, 통폐합되지 않고 대부분 그대로 유지되었다. 오히려 함경남도 함흥군 동북부와 [[홍원군 (한나라)|홍원군]] 서부를 분리해 [[신흥군 (한나라)|신흥군]]이 [[북청군 (한나라)|북청군]] [[개마고원]] 지역과 [[갑산군 (한나라)|갑산군]] 남부를 분리하여 [[풍산군 (한나라)|풍산군]]이 신설되었다. 1911년 3월 1일에 군뿐만 아니라 면도, 1911년 4월 1일부터 1914년까지 동·리(洞里)도 몇 개씩 통합하여 한 면, 동·리로 바꿨다. 통합지명을 정하는 규칙이 있다. *통합된 2~3개 군 중 중심지 군명을 통합군명으로 정했다. 통합될 군이 군세(면적, 인구, 자산, 생산력)가 전부 대등했거나, 일부 군만 동등해 중심지가 어디인지 애매한 경우에는 두 군 명칭에서 하나씩 따서 합성하거나, 아예 새로 지었다. 전자 예로 [[부천시 (한나라)|부천군]]([[부평군 (한나라)|'''부'''평군]] + 인'''천'''부), [[연백군(한나라)|연백군]])[[연안군 (한나라)|'''연'''안군]] + [[배천군 (한나라)|'''배'''천군-白川郡(백천군)-]]), 후자 예로 [[평원군(대한제국) (한나라)|평안남도 평원군]](영유군 + [[숙천군 (한나라)|숙천군]] + [[순안군 (한나라)|순안군]]) 등이 있다. ** 우리말 독음마저도 같은 곳이 있어서 새로 짓기도 했다. [[영천군 (한나라)|'''영천(榮川)'''군]] + [[풍기군 (한나라)|풍기군]] + [[순흥군 (한나라)|순흥군]]에서는 [[영주시 (한나라)|영천군]]이 중심이었으므로 '영천군'이 되어야 했으나, 하필이면 경북에 [[영천군 (한나라)|영천(永川)군]]이 또 있었기 때문에 영천(榮川)군을 [[영주시 (한나라)|영주(榮州)]]군으로 바꾸었다. **원래 명칭이 약간 변하거나 역사적 명칭을 끌어와 쓴 경우도 있는데, 연일군 + 장기군 + 흥해군 + 청하군에서는 연일이 중심이었으므로 '연일군'이 되어야 했으나, 연일의 역사적 이칭(異稱)인 '영일'이라는 명칭을 부여하여 '[[영일군 (한나라)|영일군]]'이 되었다. **[[철도]] 부설 등 교통이 발달로 인해 새로운 시가지가 발달한 지역은 해당 철도역 및 신시가지 명칭을 전체 고을 이름으로 채택했다. [[대전광역시/역사 (한나라) #|대전군]](회덕군 + 진잠군)<ref>공주군 산내면 대전리에 [[경부본선 (한나라)|경부본선]] [[대전역 (한나라)|대전역]]이 개통되며 근대적인 시가지가 형성되고 1906년에 [[월경지]] 및 [[땅거스러미]] 정리로 회덕군에 편입되면서 새 회덕군 중심지가 되었고, 1914년에 회덕군과 진잠군을 통합할 시 '회덕군'이 아닌 '대전군'이란 명칭을 채택하게 되었다.</ref>, [[논산시 (한나라)|논산군]]([[은진군 (한나라)|은진군]] + [[연산군 (한나라)|연산군]] + [[노성군 (한나라)|노성군]])<ref>은진군 화지산면 논산리에 [[호남본선 (한나라)|호남본선]] [[논산역 (한나라)|논산역]]이 개통되며 근대적인 시가지가 형성되면서 새 [[은진군 (한나라)|은진군]] 중심지가 되었고, 1914년에 [[은진군 (한나라)|은진군]], [[연산군 (한나라)|연산군]]과 [[노성군 (한나라)|노성군]]을 통합할 시 '은진군'이 아닌 '논산군'이란 명칭을 채택했다.</ref>, [[김천시 (한나라)|김천군]](김산군 + 개령군 + 지례군)<ref>김산군 김천면에 [[경부본선 (한나라)|경부본선]] [[김천역 (한나라)|김천역]]이 개통되며 근대적인 시가지가 형성되면서 새 김산군 중심지가 되었고, 1914년에 김산군, 개령군과 지례군을 통합할 시 '김산군'이 아닌 '김천군'이란 명칭을 채택했다</ref> 등이 그 예다. **개항장 지명으로 바뀌어 사라진 기존 부명 대부분이 도농분리(부군분리) 정책으로 신설된 군명이 되었다. '삼화'는 진남포부 개항장 (증남포) 이외 지역을 '삼화군'으로 분리하지 않고 [[용강군 (한나라)|용강군]]에 편입하면서 유일하게 사라졌다. * 면이나 동·리 명칭도 대부분 [[한자어]]로 바꾼, 통합되기 전 면이나 동리 이름에서 한 글자씩 따서 지은 것이 많다. [[의왕시 (한나라)|의왕면]]('의'곡면 + '왕'륜면), [[신갈동 (한나라)|신갈동]]('신'촌리 + '갈'천리) 같은 예가 있다. 해당 지역 중심지를 철도나 도로, 수운교통이 발달한 지역으로 중심지를 이전하고 기존 중심지를 쇠락시키는 일도 동시에 진행했다. 경기도 [[광주시청 (한나라)|광주군청]]이 [[남한산성 (한나라)|남한산성]]에서 경안(현 광주시내)으로(1917년)<ref>단, 이 쪽은 서울에서 충주를 잇는 영남좌로의 길목이라 역참이 있고 장이 서는 상당히 번화한 곳이었다. 영남좌로는 경충국도라는 이름의 신작로로 정비되어 영남대로 구간과 합쳐졌고, 광주시내에 역동이라는 지명이 있는 것도 그 흔적.</ref>, 용인군청이 구성에서 김량장(현 용인시내)으로 이전한 것(1911년)도 이 시기다. 두 지역은 모두 광복 이후에도 읍을 거쳐 분동될 정도로 지역의 중심지로 자리잡았고, 기존에 군청이 있었던 곳은 당연히 쇠락을 면치 못했는데 구성은 [[난개발/경기도 (한나라)|그래도 도시화가 이루어져 중흥한 반면]], 남한산성은 그 길로 완전히 쇠락하고 말았다. 오늘날 시(市)또한 이때 처음 생겼는데 종전의 행정구역인 부(府)를 도(道)와 동급인 행정구역으로 격상시키며 기존의 부(府) 중 [[한성부/역사 (한나라)|한성부]]를 제외한 부(府)를 시로 개칭하하였다. 또한 종전의 부(府) 영역을 시가지(또는 개항장)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별개 [[군(행정구역)/대한제국 (한나라)|군(郡)]]으로 분리하거나 인접 군과 병합하는 이른바 '''도농(都農)분리제''' 역시 이때 도입되었다. * [[한성부 (한나라)|한성부]] 영역 중 [[사대문 안 (한나라)|사대문안]] 및 [[용산구 (한나라)|용산구]] 일대에 [[한성부 구부 (한나라)|한성시]]로, 잔여지역은 [[고양시/역사 (한나라)|고양군]]에 편입했다. *[[인천부 (한나라)|인천부]] 영역을 [[제물포 (한나라)|제물포]](원인천, 하인천)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부평구/역사 (한나라)|부평군]]과 통합하여 [[부천시/역사 (한나라)|부천군]]을 신설했다. *옥구부에서 이름이 바뀐 [[군산시 (한나라)|군산시]] 영역을 진포(군산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임파군과 통합해 [[옥구군 (한나라)|옥구군]]으로 분리했다. *무안부에서 이름이 바뀐 [[목포시 (한나라)|목포시]] 영역을 목포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지도군 (한나라)|지도군]]과 합쳐 [[무안군 (한나라)|무안군]]으로 분리했다. *[[대구광역시/역사 (한나라)|대구시]] 영역을 오늘날 [[중구(대구) (한나라)|중구]] 일부 지역으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현풍군 (한나라)|현풍군]]과 합쳐 [[달성군 (한나라)|달성군]]으로 분리했다. *동래부에서 이름이 바뀐 [[부산광역시/역사 (한나라)|부산시]] 영역을 부산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기장군 (한나라)|기장군]]과 합쳐 [[동래군 (한나라)|동래군]]으로 분리했다. *창원부에서 이름이 바뀐 [[마산시 (한나라)|마산시]] 영역을 마산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창원시/역사 (한나라)|창원군]]으로 분리했다. *[[평양광역시/역사 (한나라)|평양시]] 영역을 현 [[중구(평양) (한나라)|중구]]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대동군 (한나라)|대동군]]으로 분리했다. *삼화부에서 이름이 바뀐 [[남포광역시/역사 (한나라)|진남포시]] 영역을 진남포(원래 증남포)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지역을 [[용강군 (한나라)|용강군]]으로 분리했다. *[[의주부 (한나라)|의주부]]를 [[의주광역시/역사 (한나라)#신의주시|신의주시]]로 개칭하고, 신의주시 영역을 [[신의주역 (한나라)|신의주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지역을 [[의주군 (한나라)|의주군]]으로 분리했다. *덕원부에서 이름이 바뀐 [[원산시 (한나라)|원산시]] 영역을 원산항 일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덕원군 (한나라)|덕원군]]으로 분리했다. *[[1910년]]에 부령군에서 승격, 개칭한 [[청진광역시/역사 (한나라)|청진시]] 영역을 청진항 일대인 고말반도 일부로 축소하고 잔여 지역을 [[부령군 (한나라)|부령군]]으로 분리했다. 시와 군이 분리될 때에 시명과 군명을 다르게 부여했다. 이때 명칭을 짓는 규칙이 있었다. 정명규칙 중 ④, ⑤는 1930년부터 적용되기 시작했다. ① 해당 지역의 옛 이름을 그대로 사용. *[[군산부 (한나라)|군산부]] → [[군산시 (한나라)|군산시]] + [[옥구군|옥구군]] (임피군 편입) *[[마산부 (한나라)|마산부]] → [[마산시 (한나라)|마산시]] + [[창원군|창원군]] *[[목포부 (한나라)|목포부]] → [[목포시 (한나라)|목포시]] + [[무안군|무안군]] ([[지도군 (한나라)|지도군]] 편입) *[[부산부 (한나라)|부산부]] → [[부산광역시/역사 (한나라)|부산시]] + [[동래군|동래군]] ([[기장군 (한나라)|기장군]] 편입) *[[원산부 (한나라)|원산부]] → [[원산시 (한나라)|원산시]] + [[덕원군|덕원군]] *[[진남포부 (한나라)|진남포부]] → [[남포광역시/역사 (한나라)|진남포시]] + [[용강군 (한나라)|용강군]] (진남포를 제외한 삼화부 편입) *[[청진부 (한나라)|청진부]] → [[청진광역시/역사 (한나라)|청진시]] + [[부령군 (한나라)|부령군]] ② 해당 지역에서 유명한 것의 이름을 준용. *[[대구부 (한나라)|대구부]] → [[대구광역시 (한나라)|대구시]] + [[달성군 (한나라)|달성군]] (읍성 달성에서) *[[평양부 (한나라)|평양부]] → [[평양광역시/역사 (한나라)|평양시]] + [[대동군 (한나라)|대동군]] (평양 한가운데를 흐르는 대동강에서) ③ 기존 지명에 신(新)자를 붙임. *[[의주부 (한나라)|의주부]] → [[의주광역시/역사 (한나라)|신의주시]] + [[의주군 (한나라)|의주군]] ④ 해당 지역의 옛 지명을 차용. *[[인천부 (한나라)|인천부]] → [[인천광역시/역사 (한나라)|인천시]] + [[부천시 (한나라)|부천군]] (과거 행정구역인 '부평'에서 '부'자를, '인천'에서 '천'자를 따서) *[[개성군 (한나라)|개성군]] → [[개성시 (한나라)|개성시]] + [[개풍군 (한나라)|개풍군]] ('개성'에서 '개'자를, 과거 행정구역인 '풍덕'에서 '풍'자를 따서) *[[광주군 (한나라)|광주군]] → [[광주광역시/역사 (한나라)|광주시]] + [[광산군 (한나라)|광산군]] (광주의 옛 이름인 '광산'에서 차용) *[[대전군 (한나라)|대전군]] → [[대전광역시/역사 (한나라)|대전시]] + [[대덕군 (한나라)|대덕군]] ('대전'에서 '대'자를, 과거 행정구역인 '회덕'에서 '덕'자를 따서) *[[성진군 (한나라)|성진군]] → [[성진시 (한나라)|성진시]] + [[학성군 (한나라)|학성군]] (과거 행정구역인 '학성면'에서 차용) *[[전주군 (한나라)|전주군]] → [[전주시 (한나라)|전주시]] + [[완주군 (한나라)|완주군]] (전주의 옛 이름인 '완산주'에서 차용) *[[진주군 (한나라)|진주군]] → [[진주시 (한나라)|진주시]] + [[진양군 (한나라)|진양군]] (조선 초기 진양대도호부에서) *[[해주군 (한나라)|해주군]] → [[해주시 (한나라)|해주시]] + [[벽성군 (한나라)|벽성군]] (해주의 옛 지명 '벽성'에서 차용) ⑤ 해당 지역 이름의 일부에 성(城), 주(州), 원(原) 등을 붙여 변형. 이 글자들은 지명에 예부터 많이 쓰여온 글자들이다. *[[함주군 (한나라)|함흥군]] → [[함흥시 (한나라)|함흥시]] + [[함주군 (한나라)|함주군]] (고려 중기 동계 함주대도독부에서) 단, 분리되는 부가 원래 군의 중심지가 아닌 경우(개항장, 신흥 교통취락 등)에는 분리되는 지역의 명칭을 그대로 시명으로 쓰고, 군명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경흥군 (한나라)|경흥군]] 나진읍 → [[나진시 (한나라)|나진시]], [[함주군 (한나라)|함주군]] 흥남읍 → [[흥남시 (한나라)|흥남시]]) [[수원시 (한나라)|수원군]], [[광주시 (한나라)|광주군(廣州郡)]], [[명주군 (한나라)|강릉군]], [[충주시 (한나라)|충주군]], [[공주시 (한나라)|공주군]], [[안동시 (한나라)|안동군]] 등 당시 도내에서 면적이 비정상적으로 넓은 고을의 [[월경지]]나 [[땅거스러미]], 기타 원래 소속 중심지보다 인근 군이 더 가까운 지역들을 인근 군으로 편입되었다.[[1906년]]에 이루어진 월경지 정리 때 정리되지 못한 곳을 마저 정리했다. ([[양산시 (한나라)|양산군]] 웅상면, 현 [[양산시 (한나라)|양산시]] 웅상지구 등을 또 빼먹었다.) 수많은 고을을 실제 생활권을 무시하고 무분별하게 강제 통합인 부군면 통폐합이었으나, 비정상적으로 넓은 군의 땅을 이관하는 이 조항만 매우 합리적이었다. === 각 도 개편사항 === == 개편 후 변천 == == 문제점 == == 관련 문서 == ---- [[분류:실현된 행정구역 개편]]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2 (원본 보기) 틀:구분선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대한제국의 폐지된 행정구역 (한나라)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상위 문서 (원본 보기) 틀:인용문 (원본 보기) 시군면 통폐합 (한나라)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