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마르크스를 위하여}} {{ARR 선정 라트 연방의 인물}}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text-align: center; 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000;" ! style="background:#000; color: #fff;" | 안드레이 사하로프 관련 둘러보기 틀 |- | <div class="mw-customtoggle-KM3S" style="text-align: center; margin-top: -2px">'''[ 펼치기 · 접기 ]'''</div> <div id="mw-customcollapsible-KM3S"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0px 0px"> {| style="font-size:11pt; margin: 4px 0px -6px 0px; width: 100%; background:#fff; color: #000" class="dark:bg-evewiki-010" |- | style="border:none;" | ---- {{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맑스)}} ---- {{역대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맑스)}} ---- |}</div></div>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0; max-width:420px; float:right;" |- ! colspan="2" style="width:420px; background:#000; color:#fff;" | {{글씨 크기|15|안드레이 사하로프}}<br>Andrei Sakharov |- | colspan="2"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사하로프.webp|420px]]</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663334; color:#CD9F51" | [[파일:노벨상.png|25px|link=노벨물리학상]] 196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 ! colspan="2" style="background:#663334; color:#CD9F51" | [[파일:노벨상.png|25px|link=노벨평화상]] 1975년 노벨평화상 수상자 |- ! width=100px style="background:#000; color:#fff;" | 본명 | '''안드레이 드미트리예비치 사하로프'''<br>{{글씨 크기|9|''(Андре́й Дми́триевич Са́харов)''}} |- ! width=100px rowspan="2" style="background:#000; color:#fff;" | 출생 | [[1921년]] [[5월 21일]] |- | {{테두리|[[파일:러시아 국기.svg|28px|link=러시아 제1공화국]]}} [[러시아 제1공화국]] [[모스크바]] |- ! rowspan="2" style="background:#000; color:#fff;" | 사망 | [[1991년]] [[12월 10일]] (향년 70세) |- | {{테두리|[[파일:공산 러시아 국기.svg|28px|link=러시아 (맑스)]]}} [[러시아 (맑스)|러시아]] [[모스크바]] |- ! style="background:#000; color:#fff;" | 국적 | {{테두리|[[파일:러시아 국기.svg|28px|link=러시아 제1공화국]]}} [[러시아 제1공화국]]<br>→ {{테두리|[[파일:라트 연방 국기.svg|28px|link=라트 연방]]}} [[라트 연방]] {{글씨 크기|9|({{테두리|[[파일:베스트루슬란트 SAR 국기.svg|28px|link=서러시아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 [[서러시아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서러시아 SAR]])}} |- ! style="background:#000; color:#fff;" | 학력 | [[카를 마르크스 대학교/베를린 캠퍼스|UniKM 베를린]] {{글씨 크기|9|([[물리학]] / [[학사]])}}<br>[[카를 마르크스 대학교/베를린 캠퍼스|UniKM 베를린 물리 연구소]] {{글씨 크기|9|([[물리학]] / [[박사]])}} |- ! style="background:#000; color:#fff;" | 종교 | [[무종교]] {{글씨 크기|9|([[무신론]])}} |- ! style="background:#000; color:#fff;" | 소속 정당 | {{무소속}} |- ! style="background:#000; color:#fff;" | 수상 | [[리프크네히트상]] {{글씨 크기|9|(1954년)}}<br>[[룩셈부르크상]] {{글씨 크기|9|(1958년)}}<br>[[룩셈부르크훈장]] {{글씨 크기|9|(1960년)}}<br>[[노벨물리학상]] {{글씨 크기|9|(1963년)}}<br>[[노벨평화상]] {{글씨 크기|9|(1975년)}}<br>[[최고영웅훈장]] {{글씨 크기|9|(2002년, 사후 수여)}} |- |}{{목차}} == 개요 == [[라트 연방]]의 핵물리학자, 인권운동가, 정치가. 몇 안되는 노벨상 2회 수여자이다. == 생애 == === 핵물리학자로서 === 1921년, [[러시아 제1공화국 (맑스)|러시아 공화국]]의 [[모스크바]]에서 태어났다. 사하로프는 1938년 모스크바의 물리 대학교에 진학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맑스)|제2차 세계 대전]]으로 2학년에 수학을 중단하고 서부전선에 투입되었다. 1942년, [[민스크 전투]] 도중 포로로 잡혀 한동한 프로이센의 감옥에 갇혀있다가 1945년 포로 교환 협상을 통해 석방되었다. 그러나 라트 연방 측에서 학비를 전액 대주겠다는 제안을 하여 1946년 모스크바를 떠나 [[카를 마르크스 대학교/베를린 캠퍼스|카를 마르크스 대학교 베를린]]의 물리학과로 편입하였다. 1948년, 마르크스 대학교 물리학부 대학원에 진학했다. 1952년 대학원을 졸업하면서 [[베를린 에너지 연구소]](BEI)에 들어갔다. 1948년부터 1968년까지 약 20년 동안 수소폭탄 개발에 착수했고, [[라트 연방의 핵 개발|라트 연방 핵무기 계획]]에 참여, [[라트 연방]] 최초의 수소폭탄인 RDS-6s와 세계 최강의 단일 핵무기로 유명한 [[카이저 봄베]]를 설계했다. 당시 그가 핵개발에 끼친 공로는 지대해서, 수소폭탄의 아버지로 불렸으며, 일찍이 [[라트 연방]] 내에서 주목받아 3차례나 [[사회주의노력영웅]] 훈장을 수여받고 그 외에도 [[룩셈부르크상]], [[리프크네히트상]], [[룩셈부르크훈장]]까지 수여받았다. 1963년, 그는 물리학자로서 최고 영예인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반체제 인권 활동 === 이때까지만 하더라도 그는 공산권의 모범적인 애국자였는데, 100메가톤 수소폭탄을 장착하고 적 항구로 돌입하여 폭발해 적 함대와 항구, 인근 해역을 동시에 날려버리는 "원자력 추진 순항핵어뢰"를 만들자고 해군 제독에게 주장했다가 "그건 너무 무자비한 대량학살무기"라는 비판을 듣고 부끄러워했다는 일화가 있다. 하지만 1950년대 이후 점차 [[관료주의]]화 되어가는 [[라트 연방]]의 모습에 실망하고 체제에 비판적이게 되었다. 점차 체제에 대한 반감이 강해지던 그는 [[파울 요제프 괴벨스 (맑스)|괴벨스]]에 반대하는 "200인의 편지"에 서명했고(1954년) 3년 후인 1957년에는 [[너지 임레]]의 [[헝가리 개혁]]에 지지를 보냈다. 다른 평범한 사람이었다면 핀란드 북극지대로 유배를 보내거나 스웨덴, 유고슬라비아 등지로 망명을 할 수 있도록 당에서 손을 썼겠지만 워낙 유명한 인사였던지라 당에서 조치를 취할 수 없었다. 그렇다고 다른 나라로 추방하자니 주요 핵기술자를 쫓아내는 것은 안보적인 측면에서 리스크가 컸다. 그렇게 당과 사하로프 사이에 마찰이 심화되던 중, 1968년 [[문화대혁명]]이 일어났다. 사하로프는 문화대혁명을 지지하며 자신이 가르치던 대학생들과 함께 당을 비판하는 가두행진을 벌였다.<ref>그는 같은 대학의 철학과 교수였던 [[테오도어 아도르노]]와 마찰했다. 아도르노는 혁명에 반대하는 입장이었다. 그런데 아도르노가 1969년 시위의 충격으로 사망하자 사하로프는 대학 내에서 그야먈로 개쌍놈 취급 당하게 된다.</ref> 분노한 당 지도부는 그를 당에서 제명했고 그동안 수여된 상과 훈장을 박탈했다. 또한, 벨라루스에 있는 안전가옥에 연금시켰다. {{인용문|정신박약아이자, 극좌적 선동꾼인 사하로프는 자신의 모든 반역행위로써 자신을 인민과 국가의 반역자로 몰아넣었다.|『[[전진]]』, 1969년 10월 10일 호}} {{인용문|인민의 이성이 그를 용서하지 않을 것이고 인정도 하지 않을 것이다. 이성의 이름으로 기록된 모든 역사의 의지는 그의 이름을 이 세상에서 한자도 남겨 두기 않고 지워버릴 것이다.|『[[인민의 관찰자]]』, 1970년 2월 7일 호}} === 복권과 메모리알 활동 === 이는 역효과를 불러일으켜, 대학생들의 큰 반발을 샀으며 결국 1974년 [[헤르베르트 프람]] 서기장은 그에 대한 연금 조치를 취소하고 그의 취소된 수훈을 복구시켰다. 하지만 사하로프 본인이 복당을 거부했다. 그는 1972년 베를린 관구를 대표하는 [[최고 라트]] 의원으로 출마해,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는데, 당적이 없는 무소속 후보자 중에서는 최고 득표율이었다고 한다. 이후 1976년 재선하였다. 1975년, 그는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그는 1976년 [[헤르베르트 프람]]에 의해 과학기술개발부 장관으로 지명되지만, 당 내에서 충분한 득표수를 얻지 못해 정작 인준에는 실패했다. 그만큼 당 내에서 그에 반대하는 여론이 높았다는 뜻이다. 실망한 그는 의원 직위를 사임하고 인권단체 [[메모리알]]을 설립하였다. 메모리알은 처음에는 학계에서의 인권 침해를 다루는 단체였지만, 이후 공산권 전체에서 수정주의와 관료주의에 의해 희생된 인민들의 인권을 위해 싸우는 세계 최대의 인권단체로 도약하게 된다. === 말년과 사망 === 1980년 보수파 [[에리히 호네커]]가 집권하자 그의 활동에는 다시 제약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같은 좌파 성향이었던 [[헤르베르트 프람]] 시기에는 비교적 활동이 자유로웠지만, 호네커는 [[슈타지]]를 통한 도감청으로 그를 괴롭혔다. 감시도 시작되었다. 사하로프는 베를린 미테구에 있는 그의 자택을 드나들때 이전에 의식하지 못했던 시선이 자신을 바라보는 것을 느꼈다. 그는 1982년 베를린을 떠나, [[크림 국립대학교]]의 교수 직위를 수락하는 핑계로 [[서러시아 사회주의 자치 공화국|서러시아 SAR]]의 그로즈니로 이주했다. 사실상 변방으로 자의반 타의반으로 두번째 유형 생활을 시작한 것이다. 그곳에서도 감시는 그치지 않았으나 그는 개의치 않고 [[메모리알]] 활동을 이어갔고, 호네커의 공격적 대외정책에 반대하는 [[단식]] 투쟁을 벌였다. 1988년, [[보이트케 야루첼스키]]가 집권하자 그에 대한 처우는 상대적으로 여유로워졌다. [[냉전 (맑스)|냉전]]에서 승리하면서 라트 연방 지도부의 마음에 여유가 생긴 것이다. 하지만 그는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다는 뜻을 전했고, 수십년만에 [[러시아 (맑스)|러시아]]로 이주해<ref>국적은 [[라트 연방]]을 유지했다.</ref> 모스크바에서 칩거하며 살다가 1991년 사망했다. == 평가 == 그가 사망한 후, 사하로프에 대한 활발한 재평가가 이루어졌다. 사하로프가 지지한 1968년 혁명의 세대는 그가 사망한 이후인 1990년대 사회의 주류 세대로 떠올랐다. 자연스럽게 세대 교체가 이루어지면서, 사하로프에 대한 평가도 뒤바뀌게 된 것이다. 1998년, [[니콜라스 네메트]] 서기장은 당의 이름으로 사하로프에 행해진 모든 불법적인 사찰과 감시, 인권 침해에 대해 사과하면서, 역대 라트 연방 지도자로서는 처음으로 [[메모리알]] 본부에 방문하였다. 2002년, 당은 그에게 "최고영웅훈장"을 사후 수여했으며, 묘지를 [[베를린 영웅묘지]]로 이장했다. 다만 이 결정은 가족의 반대가 있었기에 논란이 있었다. 물론 과학자로서의 업적도 매우 훌륭하며, 핵물리학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위인으로 평가되고 있다. 2019년, 그는 [[ARR]]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라트 연방의 인물]]" 5위로 선정되었다. 이는 과학자이자 러시아계로서 가장 높은 수치이다. == 여담 == * 러시아에서의 평가는 다소 미묘한 편이다. 본인이 러시아계로서의 정체성을 거의 갖지 않은데다 어쨌든 2차 세계대전에서 조국을 멸망시킨 독일로 이민을 가 그곳을 위해 복무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국에 비해 호불호가 조금 더 갈린다는 것일 뿐이고 러시아에서도 위인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마찬가지라 "로씨야 2" 선정의 가장 위대한 러시아인 투표에서 47위를 차지했다. ---- [[분류:마르크스를 위하여/인물/라트 연방]]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ARR 선정 라트 연방의 인물 (원본 보기) 틀:Color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마르크스를 위하여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무소속 (원본 보기) 틀:역대 노벨물리학상 수상자 (맑스) (원본 보기) 틀: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 (맑스) (원본 보기) 틀:인용문 (원본 보기) 틀:테두리 (원본 보기) 안드레이 사하로프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