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이 문서는 문주어에 관한 문서이다. == 특징 == 문주어는 중세 한국어와 비슷한 점이 많은데 ㅅ을 종성에서 [ㄷ]으로 발음하지 않고 [ㅅ]으로 발음한다는 것이다. 또 한국어와는 다르게 받침에 쓰이던 ꥯ이 현재까지도 사라지지 않고 남아있다는게 특징이다. 다만 된소리는 현대 한국어와 같이 각자 병서로 표기가 바뀌었다. == 문주어 어휘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100%" |- ! 문주어 ! 국제음성기호 ! 한국어 |- ||가라|| ||가래 |- ||가얌이|| ||개미 |- ||강생이||kaŋsɛŋi||강아지 |- ||구을|| ||골, 고을 |- ||{{첫가끝|구ᇚ}}|| ||구멍 |- ||궹이||kweŋi||고양이 |- ||기<ref>장음으로 발음한다.</ref>||kji||게 |- ||기<ref>장음으로 발음한다.</ref>, 그이<ref>경기방언, 평성방언</ref>||kji, kɯi||그(其) |- ||-끠|| ||-께 |- ||나랏히-|| ||나란히- |- ||나이|| ||나(我) |- ||나희|| ||우리(吾等) |- ||날시|| ||날씨 |- ||낤, 나라시<ref>본래는 평성방언이다.</ref><ref>본래는 칼날을 의미하지만 현대 문주어에서는 '칼날을 손질한다.'는 뜻의 '나라시를 하다'로 쓰인다. '낤을 친다'라고도 쓸 수 있다. 다만 '낤을 한다', '낤을 맹가다'는 '칼을 만들다.'라는 의미이므로 아예 다른 말이다.</ref>|| ||날, 칼날 |- ||남을|| ||나물 |- ||남차(藍菜), 소차(蔬菜)|| ||채소(菜蔬) |- ||{{첫가끝|나ᇚ}}|| ||나무 |- ||너이|| ||너(汝) |- ||녀름|| ||여름(夏) |- ||노나-|| ||나누-(分) |- ||닐굽|| ||일곱(七) |- ||다라|| ||다락 |- ||따우|| ||따위 |- ||마날|| ||마늘 |- ||마리|| ||마 |- ||마슬|| ||마을(村), 마실 |- ||무시, 무시ㄱ-|| ||무엇, 뭐 |- ||미리|| ||미르(龍) |- ||바기|| ||바위 |- ||발라|| ||바로 |- ||받추다|| ||받치다 |- ||버히-|| ||베-(斬) |- ||비두리|| ||비둘기 |- ||사름|| ||사람 |- ||사늘하-|| ||서늘하-, 싸늘하- |- ||설흔|| ||서른 |- ||싀믈|| ||스물 |- ||수루|| ||수레 |- ||야이|| ||이(此), 얘, 예(네) |- ||여듧|| ||여덟 |- ||요라|| ||여러 |- ||요지음|| ||요즘 |- ||-의게|| ||-에게 |- ||자이|| ||쟤 |- ||저이 || ||저(伊), 제 |- ||쥉이||ʨweŋi||쥐 |- ||지지바이||ʨiʥibai||여자, 계집 |- ||토깽이|| ||토끼 |- |} == 한자음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100%" |- ! 자(字) ! 훈(訓) ! 문주어 한자음 ! 국제음성기호 ! 한국어 한자음 |- ||京 ||서울 ||깅 || ||경 |- ||內 ||안 ||나 || ||내 |- ||蒜 ||마늘 ||숸 || ||산 |- ||倭 ||왜나라 ||예 || ||왜 |- ||菜 ||나물 ||차 || ||채 |- |} == 예문 == == 각주 == {{각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원본 보기) 문주어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