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키네: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5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ㅏ ==
[[분류:빌레펠트]]
{{빌레펠트}}
{{빌레펠트}}
{{키네}}
{{목차}}
== 트펠레빌 ==
[[빌레펠트]]
{| class="wikitable"
|+ 빌레펠트
|-
| [[빌레펠트]]
| [[연습장:키네/2]]
| [[비브 랑프뢰르!]]
| ㄹ
| ㅁ
|-
| 1
| 2
| 3
| 4
| 5
|}
==대한제국 역대 내각총리대신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a0b3b; width: 100%; text-align: center"
| colspan="5"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91c10, #0a0b3b 20%, #0a0b3b 80%, #091c10); color: #ffffff" | [[파일:대한제국 상정원 빌펠.png|x45px]]<br><big>'''대한국 내각총리대신'''</big>
|-
| colspan="5" style="background:#ffffff;" |
<div class="mw-customtoggle-chdflqlf"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background-color: #ffffff; color: #0a0b3b;"><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chdflqlf"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3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colspan="5"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e3ba62; width: 100%"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22222; font-size: 0.9em">[[광무 시대 (빌레펠트)|{{글씨 색|#e3ba62|'''광무 시대'''}}]]</span>
|-
| colspan="5"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e3ba62; width: 100%"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22222; font-size: 0.9em">[[융희 시대 (빌레펠트)|{{글씨 색|#e3ba62|'''융희 시대'''}}]]</span>
|-
| colspan="5"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e3ba62; width: 100%"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22222; font-size: 0.9em">[[태시 시대 (빌레펠트)|{{글씨 색|#e3ba62|'''태시 시대'''}}]]</span>
|-
| colspan="5"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e3ba62; width: 100%"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22222; font-size: 0.9em">[[윤의 시대 (빌레펠트)|{{글씨 색|#e3ba62|'''윤의 시대'''}}]]</span>
|-
| colspan="5"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e3ba62; width: 100%"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22222; font-size: 0.9em">[[건녕 시대 (빌레펠트)|{{글씨 색|#e3ba62|'''건녕 시대'''}}]]</span>
|-
| colspan="4"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e3ba62; width: 100%"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22222; font-size: 0.9em">[[경덕 시대 (빌레펠트)|{{글씨 색|#e3ba62|'''경덕 시대'''}}]]</span>
|-
|}
|}
초대 김홍집, 광무 시대 1차대전기에 이완용 재임, 태시 시대 2차대전기에 박중양-김구 교체, 건녕 시대에 박정희 재임 후 정권교체, 김영삼김대중 등 재임, 경덕 시대에 이회창 재?임, 이외 현실인물 등 재임, 현임 유승민, 직?전총리 문재인
{{글 숨김}}
• 1대 김홍집(1894~1897)-온건개화당
• 2대 박정양(1897~1900)-온건개화당
• 3대 박영효(1900~1904)-급진개화당
• 4대 민영환(1904~1905)-황국협회
• 5대 이상설(1905~1907)-독립협회 1905년
• 6대 이완용(1907~1916)-독립협회 1907년, 1911년, 1915년
• 7대 이동녕(1916~1919)-거국내각
• 8대 윤치호(1919~1923)-[[헌정연구회(빌레펠트)|헌정연구회]] 1919년
• 9대 서재필(1923~1930)-[[한국독립당|한국독립당-동우회]] 1923년, 1927년
• 10대 박은식(1930~1933)-[[한국독립당|한국독립당-신민회]] 1930년
• 11대 박중양(1933~1935)-[[헌정연구회(빌레펠트)|헌정연구회]] 1933년
• 12대 여운형(1935~1938)-[[한국독립당|한국독립당-개조동맹]] 1935년, 1938년
• 13대 안창호(1938~1941)-[[한국독립당|한국독립당-동우회]] 1938년
• 14대 김구(1941~1946)-[[한국독립당|한국독립당-유신동우회]]<ref>안창호 사후 동우회를 김구와 서재필-이승만 계열은 유신동우회로 새로운 계파를 창설했다.</ref>
• 15대 신익희(1945~1947)-[[한국독립당|한국독립당-수양동우회]]<ref>동우회 온건파들이 유신동우회에 반대하며 창설한 계파.</ref><ref>이후 유신동우회에 잔류한 백의사 계열은 [[이재유 백색테러 사건]]을 일으키고 해체당했다.</ref>
→[[한국독립당|한국독립당-구파동지회]] 1945년
• 16대 김성수(1947-1950)-[[한국독립당|한국독립당-구파동지회]], [[헌정연구회(빌레펠트)|헌정연구회]] 1947년
• 17대 [[김두봉 내각|김두봉]](1950)<ref>[[김성수 내각]]이 도각되면서 광범위한 좌파 연정이 잠시 정권을 잡았다.</ref>-민족혁명그룹, 반제동맹, [[진보당]], [[노동당]],  한국독립당-호헌동지회<ref>한독당 우파 중 김성수 반대파벌.</ref> 1950년
• 18대 이승만 (1950-1953)-[[자유당]], [[대한국민당]] 1950년
• 19대 여운홍 (1953)-[[한국독립당|삼청장독립당]]<ref>[[한국독립당]]이 붕괴하자 여운홍의 혁신계와 김규식의 민중동맹이 뭉쳐 호당운동을 전개했다. 삼청장독립당은 김규식의 자택 삼청장에서 나온 별칭.</ref>, [[진보당]](신임공급) 1953년
• 20대 장면 (1953-1960)-[[민주당]], [[사회대중당]], [[진보당]] 1953년, 1956년
• 21대 이승만 (1957~1958)-[[자유당]], [[대한국민당]] 1957년
• 23대 장면 (1958~1960)-[[민주당]], [[사회대중당]], [[진보당]]
• 24대 허정 (1960-1964)-[[민주당]], [[사회대중당]], [[진보당]] 1960년, 1963년
• 25대 윤보선 (1964-1968)-[[자유당]] 1964년, 1967년
• 26대 장택상 (1968~1970)-[[자유당]], [[조선민족청년단|청구회]]<ref>[[조선민족청년단]]의 원내단체.</ref> 1868년
• 27대 윤치영 (1970~1972)-[[자유당]], [[조선민족청년단|청구회]]→[[민정당]] 1970년
• 28대 이민우 (1972~1975)-[[신민당]] 1972년
• 29대 장준하 (1975~1979)-[[민정당]], [[자유당]]
1975년, 1978년
• 30대 박정희 (1979~1988)-[[민정당]], [[자유당]] 1979년, 1981년, 1984년, 1987년
• 31대 김대중 (1988-1991)-[[노동당]], [[전진당]], [[정의당]] 1988년 1980년
• 32대 이철승 (1991~1995)-[[신한민주당]] 1991년
• 33대 김종필 (1995)-[[신한민주당]] 1995년
• 34대 김대중 (1995~1999)-[[노동당]], [[전진당]], [[정의당]] 1995년, 1998년
• 35대 김영삼 (1999~2001)-[[자유민주당]], [[한나라당]] 1999년
• 36대 이회창 (2001~2004)-[[자유민주당]], [[한나라당]] 2001년
• 37대 노무현 (2004-2007)-[[전진당]], [[노동당]] 2004년
• 38대 정동영 (2007-2009)-[[열린우리당]], [[노동당]], [[정의당]], [[관북의힘]] (신임공급) 2007년
• 39대 이명박 (2009-2012)-[[자유민주당]], [[한나라당]] (신임공급) 2009년
• 40대 박근혜 (2012-2014)-[[한나라당]], [[자유민주당]] (신임공급) 2012년
• 41대 문재인 (2014-2017)-[[노동당]], [[전진당]], [[열린민주당]] 2014년
• 42대 안철수 (2017-2019)-[[전진당]], [[노동당]], [[열린민주당]] 2017년
• 43대 이재명 (2019-2022)-[[노동당]], [[전진당]], [[열린민주당]] 2019년
• 44대 이낙연 (2022-2023)-[[노동당]], [[전진당]], [[열린민주당]] 2022년
• 45대 윤석열 (2023~)-[[자유민주당]] 2022년
{{글 숨김 끝}}
==이승만==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20px; width: 100%; float: right; border: 2px solid #0a0b3b; text-align: left; font-size: 10pt"
|-
! colspan="2" style="font-size: 13pt;  color: #ffffff;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a0b3b, #0a0b3b); width: 420px;" | <small> [[중추원|{{글씨 색|#ffffff|대한제국 제19대•22대 의정대신}}]] </small> <br> '''<big> 이승만 </big>''' <br> <small> 李承晩 | Syngman Rhee </small>
|-
! colspan="2" |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파일:이승만 각료 프로필 (한나라).jpg]]</center>
|-
! rowspan="2"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width: 30%;" | 출생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1875년 3월 26일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황해도 평산도호부 마산방 삼리 능안골)</br>(現 황해남도 봉천군 성기리)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 사망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1970년 7월 19일 (향년 95세)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 묘소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국립현충원 이승만의정묘소
|-
! rowspan="2"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width: 30%;" | 임기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1950년 12월 27일~1953년 4월 1일(1차)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1962년 3월 7일~1965년 1월 19일(2차)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 역임 지위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제19대•22대 대한제국 의정대신, 제n•m•o•p대 외무부대신, 제 r대 부총리대신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div class="mw-customtoggle-exit"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center; color:#000;"><div style="margin: -3px 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exit"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width: calc(100% + 5px);text-align:center;margin-top:-2px "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width: 30%;" | 학력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배재학당 <small>(졸업)</small><br>조지 워싱턴 대학교 <small>(정치학 / 학사)</small><br>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small>(역사학 / 석사)</small><br>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small>(정치학 / 박사)</small>
|-
! rowspan="2"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 소속 정당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한국독립당}}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소속 계파:''' [[동우회]]→[[동우회|유신동우회]]→[[이화정치연구회]]→{{호헌동지회}}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 부모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아버지 이경선, 어머니 김말란'''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 배우자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박승선 (호적말소)</br>프란체스카 도너 (중혼)'''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 자녀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친아들 이봉수</br>양아들 이강석, 이인수'''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width: 30%;" | 종교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유교 (성리학) → 개신교 (감리회)'''
|-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color: #ffffff; background: #0a0b3b;" | 신체
| colspan="1" style="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170cm, 60kg, O형
|-
|}
|}</td></table>
{{-}}
====낙선의 역사====
이승만은 [[서재필 내각]]의 중진이었고, 1차 서재필 내각,서재필 개조내각에서 각각 외무대신, 내무대신을 지냈다. 그는 서재필 시대 이후 동우회 내의 서재필계 내에서 유력한 대권주자로 거론되었다. '''그의 낙선의 역사는 그곳에서 시작한다.'''</br></br>
1930년 중추원선에서 유력한 대권 주자로 꼽혔지만 ''''의정원의 양심'''' 박은식에게 밀려 '''총리지명 낙선'''</br></br>
1933년 '효제평안'의 기수였던 박은식 이후 또다시 대권 도전, 그러나 박용만의 출마 선언으로 표가 갈린 상황에서 박중양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br></br>
1936년 신민회의 이상재와의 영향력 싸움에서 밀리고 중추원선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던 조소앙에게 '''패배'''</br></br>
1938년 여운형 암살 사건 이후 단단히 준비를 하고 당내를 통합했지만 정국 안정의 필요를 느낀 안창호의 출마선언으로 '''총리지명 낙선'''</br></br>
1945년 안창호의 사망으로 뒤를 이은 김구의 신임을 받고 사실상 후임으로 거론되었으나 '''김구 사망'''에 이어 신익희에게 '''총리지명 낙선'''</br></br>
1947년 자택 이화장에서 이화정치연구회 창설, 당내 여론은 호의적이었으나 김성수의 반 이승만파 결집으로 '''총리지명 낙선'''</br></br>
1950년 [[4.19 사태]] 당시 하와이에서 외유 중이었으므로 국내의 여론에 가세하지 못함, 당내 극좌파에게 '''총리지명 낙선'''</br></br>
결국 이승만은 호헌동지회를 장악하고 온갖 반란표가 난무하는 상황에서 날치기로 내각불신임결의를 통과시켜 김두봉 내각을 무너뜨리고 나서야 총리에 당선된다.
==한독당/계파==
{{한국독립당의 계파}}
==백의사==
====개요====
백의사(白衣社)는 염동진을 수장으로 하는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의 극우 비밀결사 단체이자 테러단체이다.</br></br>
설립일은 불분명하며, 조직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총리대신 [[김구(빌레펠트)|김구]]의 지시로 창설된 육군 산하 방첩부대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br></br>
백의사는 한국독립당 내 유신동우회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으며, 단장 염동진은 김구가 신익희를 통해 연락을 주고받았다. 이들은 주로 적성세력에 대한 사보타주와 백색테러를 일삼았고, 전후 혼란기의 틈을 타 김구의 테러조직으로서 각종 테러를 자행했다.</br></br>
====활동====

2024년 8월 8일 (목) 02:59 기준 최신판

공지
| 빌레펠트 연재부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키네 관련된 문서
[ 펼치기 · 접기 ]
관련 세계관 연재 세계관 비브 랑프뢰르![1]
참여 세계관 빌레펠트, 개화
관련 단체 리뉴 이브위키
기타 연습장(2)(3)

트펠레빌

빌레펠트

빌레펠트
빌레펠트 연습장:키네/2 비브 랑프뢰르!
1 2 3 4 5

대한제국 역대 내각총리대신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홍집, 광무 시대 1차대전기에 이완용 재임, 태시 시대 2차대전기에 박중양-김구 교체, 건녕 시대에 박정희 재임 후 정권교체, 김영삼김대중 등 재임, 경덕 시대에 이회창 재?임, 이외 현실인물 등 재임, 현임 유승민, 직?전총리 문재인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1대 김홍집(1894~1897)-온건개화당

• 2대 박정양(1897~1900)-온건개화당

• 3대 박영효(1900~1904)-급진개화당

• 4대 민영환(1904~1905)-황국협회

• 5대 이상설(1905~1907)-독립협회 1905년

• 6대 이완용(1907~1916)-독립협회 1907년, 1911년, 1915년

• 7대 이동녕(1916~1919)-거국내각

• 8대 윤치호(1919~1923)-헌정연구회 1919년

• 9대 서재필(1923~1930)-한국독립당-동우회 1923년, 1927년

• 10대 박은식(1930~1933)-한국독립당-신민회 1930년

• 11대 박중양(1933~1935)-헌정연구회 1933년

• 12대 여운형(1935~1938)-한국독립당-개조동맹 1935년, 1938년

• 13대 안창호(1938~1941)-한국독립당-동우회 1938년

• 14대 김구(1941~1946)-한국독립당-유신동우회[2]

• 15대 신익희(1945~1947)-한국독립당-수양동우회[3][4]한국독립당-구파동지회 1945년

• 16대 김성수(1947-1950)-한국독립당-구파동지회, 헌정연구회 1947년

• 17대 김두봉(1950)[5]-민족혁명그룹, 반제동맹, 진보당, 노동당, 한국독립당-호헌동지회[6] 1950년

• 18대 이승만 (1950-1953)-자유당, 대한국민당 1950년

• 19대 여운홍 (1953)-삼청장독립당[7], 진보당(신임공급) 1953년

• 20대 장면 (1953-1960)-민주당, 사회대중당, 진보당 1953년, 1956년

• 21대 이승만 (1957~1958)-자유당, 대한국민당 1957년

• 23대 장면 (1958~1960)-민주당, 사회대중당, 진보당

• 24대 허정 (1960-1964)-민주당, 사회대중당, 진보당 1960년, 1963년

• 25대 윤보선 (1964-1968)-자유당 1964년, 1967년

• 26대 장택상 (1968~1970)-자유당, 청구회[8] 1868년

• 27대 윤치영 (1970~1972)-자유당, 청구회민정당 1970년

• 28대 이민우 (1972~1975)-신민당 1972년

• 29대 장준하 (1975~1979)-민정당, 자유당 1975년, 1978년

• 30대 박정희 (1979~1988)-민정당, 자유당 1979년, 1981년, 1984년, 1987년

• 31대 김대중 (1988-1991)-노동당, 전진당, 정의당 1988년 1980년

• 32대 이철승 (1991~1995)-신한민주당 1991년

• 33대 김종필 (1995)-신한민주당 1995년

• 34대 김대중 (1995~1999)-노동당, 전진당, 정의당 1995년, 1998년

• 35대 김영삼 (1999~2001)-자유민주당, 한나라당 1999년

• 36대 이회창 (2001~2004)-자유민주당, 한나라당 2001년

• 37대 노무현 (2004-2007)-전진당, 노동당 2004년

• 38대 정동영 (2007-2009)-열린우리당, 노동당, 정의당, 관북의힘 (신임공급) 2007년

• 39대 이명박 (2009-2012)-자유민주당, 한나라당 (신임공급) 2009년

• 40대 박근혜 (2012-2014)-한나라당, 자유민주당 (신임공급) 2012년

• 41대 문재인 (2014-2017)-노동당, 전진당, 열린민주당 2014년

• 42대 안철수 (2017-2019)-전진당, 노동당, 열린민주당 2017년

• 43대 이재명 (2019-2022)-노동당, 전진당, 열린민주당 2019년

• 44대 이낙연 (2022-2023)-노동당, 전진당, 열린민주당 2022년

• 45대 윤석열 (2023~)-자유민주당 2022년

이승만

대한제국 제19대•22대 의정대신
이승만
李承晩 | Syngman Rhee
출생 1875년 3월 26일
황해도 평산도호부 마산방 삼리 능안골)
(現 황해남도 봉천군 성기리)
사망 1970년 7월 19일 (향년 95세)
묘소 국립현충원 이승만의정묘소
임기 1950년 12월 27일~1953년 4월 1일(1차)
1962년 3월 7일~1965년 1월 19일(2차)
역임 지위 제19대•22대 대한제국 의정대신, 제n•m•o•p대 외무부대신, 제 r대 부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학력 배재학당 (졸업)
조지 워싱턴 대학교 (정치학 / 학사)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역사학 / 석사)
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
소속 정당 한독당.png

소속 계파: 동우회유신동우회이화정치연구회
부모 아버지 이경선, 어머니 김말란
배우자 박승선 (호적말소)
프란체스카 도너 (중혼)
자녀 친아들 이봉수
양아들 이강석, 이인수
종교 유교 (성리학) → 개신교 (감리회)
신체 170cm, 60kg, O형

낙선의 역사

이승만은 서재필 내각의 중진이었고, 1차 서재필 내각,서재필 개조내각에서 각각 외무대신, 내무대신을 지냈다. 그는 서재필 시대 이후 동우회 내의 서재필계 내에서 유력한 대권주자로 거론되었다. 그의 낙선의 역사는 그곳에서 시작한다.

1930년 중추원선에서 유력한 대권 주자로 꼽혔지만 '의정원의 양심' 박은식에게 밀려 총리지명 낙선

1933년 '효제평안'의 기수였던 박은식 이후 또다시 대권 도전, 그러나 박용만의 출마 선언으로 표가 갈린 상황에서 박중양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

1936년 신민회의 이상재와의 영향력 싸움에서 밀리고 중추원선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던 조소앙에게 패배

1938년 여운형 암살 사건 이후 단단히 준비를 하고 당내를 통합했지만 정국 안정의 필요를 느낀 안창호의 출마선언으로 총리지명 낙선

1945년 안창호의 사망으로 뒤를 이은 김구의 신임을 받고 사실상 후임으로 거론되었으나 김구 사망에 이어 신익희에게 총리지명 낙선

1947년 자택 이화장에서 이화정치연구회 창설, 당내 여론은 호의적이었으나 김성수의 반 이승만파 결집으로 총리지명 낙선

1950년 4.19 사태 당시 하와이에서 외유 중이었으므로 국내의 여론에 가세하지 못함, 당내 극좌파에게 총리지명 낙선

결국 이승만은 호헌동지회를 장악하고 온갖 반란표가 난무하는 상황에서 날치기로 내각불신임결의를 통과시켜 김두봉 내각을 무너뜨리고 나서야 총리에 당선된다.

한독당/계파


계파 역사
이동녕 거국내각 이후
(~1919. 8.)
[ 펼치기 · 접기 ]

백의사

개요

백의사(白衣社)는 염동진을 수장으로 하는 대한국의 극우 비밀결사 단체이자 테러단체이다.

설립일은 불분명하며, 조직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총리대신 김구의 지시로 창설된 육군 산하 방첩부대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백의사는 한국독립당 내 유신동우회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으며, 단장 염동진은 김구가 신익희를 통해 연락을 주고받았다. 이들은 주로 적성세력에 대한 사보타주와 백색테러를 일삼았고, 전후 혼란기의 틈을 타 김구의 테러조직으로서 각종 테러를 자행했다.

활동

  1. 연재 예정
  2. 안창호 사후 동우회를 김구와 서재필-이승만 계열은 유신동우회로 새로운 계파를 창설했다.
  3. 동우회 온건파들이 유신동우회에 반대하며 창설한 계파.
  4. 이후 유신동우회에 잔류한 백의사 계열은 이재유 백색테러 사건을 일으키고 해체당했다.
  5. 김성수 내각이 도각되면서 광범위한 좌파 연정이 잠시 정권을 잡았다.
  6. 한독당 우파 중 김성수 반대파벌.
  7. 한국독립당이 붕괴하자 여운홍의 혁신계와 김규식의 민중동맹이 뭉쳐 호당운동을 전개했다. 삼청장독립당은 김규식의 자택 삼청장에서 나온 별칭.
  8. 조선민족청년단의 원내단체.
  9. 이재유 암살사건으로 강제해산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