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천 이씨: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3번째 줄: 13번째 줄:
|-
|-
! style="background:#341D08; color:#fff;" | 중시조
! style="background:#341D08; color:#fff;" | 중시조
| style="text-align: left" | 이훤수(李愃秀)
| style="text-align: left" | 이훤수(李愃秀)<ref>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낭사였다.</ref>
|-
|-
! style="background:#341D08; color:#fff;" | 파조
! style="background:#341D08; color:#fff;" | 파조

2023년 2월 14일 (화) 15:38 판

봉천 이씨 (峯泉 李氏)
평주 이씨 (平州 李氏)
관향 황해남도 봉천군
시조 이국식(李圀軾)
중시조 이훤수(李愃秀)[1]
파조 이창암(李昌巖) 강위공파(腔蝟公派)
이전과(李田薖) 윤의공파(崙儀公派)
이수길(李秀吉) 안상공파(岸桑公派)
집성촌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의정부시 낙양동
성남시 분당구
인구 30명 | 국내 몰?루위
종문회장 이희순 (李喜順)

개요

상세

고려 시대

조선 시대

근대

유명 인물

분파

  • 이창암(李昌巖) 강위공파(腔蝟公派)

이만(李巒)의 첫째아들 이창암(李昌巖)을 파조로 하는 가문이다, 조선시대의 남인에서 남아있던 탁남의 영수였던 이화군(李華君)이 멸문과 함께 일가가 몰살되며 강위공파는 사라졌다.

  • 이전과(李田薖) 윤의공파(崙儀公派)

이창민(李彰旻)의 둘째아들인 조선시대 병조참판을 지낸 이전과(李田薖)를 파조로 하는 가문이다.

  • 이수길(李秀吉) 안상공파(岸桑公派)

이장룡(李丈龍)의 외아들인 조선시대 이조판서를 지낸 이감(李柑)을 파조로 하는 가문이다. 현재 봉천 이씨의 주를 이루는 분파이다.

항렬

역사적으로 항렬을 지키지 않은 사람이 많다. 38대 헌○(獻○)은 피휘자인데, 그 이유는 일제강점기 봉천이씨 윤의공파 이헌수(李獻秀)[2]가 유명한 반민족친일행위자이기 때문이다.

20대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26대 27대 28대 29대
○윤(○胤) 신○(臣○) ○울(○鬱) 절○(切○)
암○(巖○)[3]
○강(○康) ○수(○秀)[4] 정○(正○) 려○(儢○) 만○(○巒) 임○(恁○),
희○(喜○)[5]
30대 31대 32대 33대 34대 35대 36대 37대 38대 39대
○민(○旻) ○청(○鯖) 원○(原○)
○용(○龍)[5]
○선(○璿) 영○(榮○)
화○(華○)[3]
유○(裕○)[5]
창○(脹○) 식○(植○) ○선(○愃) 헌○(獻○)[6]
○벽(○碧)
○량(○良)
40대 41대 42대 43대 44대 45대 46대 47대 48대
○운(○雲) 일○(壱○)
○용(○龍)[7]
○감(○柑) ○삼(○参)
○인(○仁)[7]
모○(帽○) 사○(些○) 필○(筆○) ○칠(○柒)
○희(○熙)[7]
종○(淙○)
건○(建○)[7]

각주

  1.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낭사였다.
  2. 일본 이름은 이노 케히데(李野 獻秀)
  3. 3.0 3.1 강위공파
  4. 항렬이 아니어도 애용되어온 한자이다.
  5. 5.0 5.1 5.2 안상공파
  6. 피휘자
  7. 7.0 7.1 7.2 7.3 윤의공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