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황실 (설중매):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noinclude>{{이화에서}}</noinclude> {{대한제국 황실 관련 문서 (이화에서)}}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1b0e64; font-size:10.5pt" |-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 #E3BA62" | 대한제국 황실 관련 틀 |- | <div class="mw-customtoggle-IHD"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51번째 줄: 51번째 줄:
{{목차}}
{{목차}}
== 개요 ==
== 개요 ==
'''황실(皇室)'''은 [[대한제국 (이화에서)|대한제국]]의 [[대한제국 황제 (이화에서)|황제]]와 황족을 이른다.
'''황실(皇室)'''은 [[대한제국 (이화에서)|대한제국]]의 [[대한제국 황제 (이화에서)|황제]]와 황족을 일컫는 총칭이다


국성은 [[전주 이씨 (이화에서)|전주 이씨]] 선원본계이다.
국성은 [[전주 이씨 (이화에서)|전주 이씨]] 선원본계이다.

2024년 1월 30일 (화) 23:25 판

이 문서는 이화에서의 공식 설정입니다. 연재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대한제국 황실
[ 펼치기 · 접기 ]
신위
분가
가계도
상징
거주
능묘
의식·행사
보물
축일
제도
조직
역사

대한제국 황실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관련 문서
[ 정치 · 군사 ]
[ 정치 · 군사 ]
상징
정치 · 행정
선거
외교
군사
사법 · 치안
[ 역사 ]
[ 역사 ]
국가
사건
기타
[ 사회 · 경제 ]
[ 사회 · 경제 ]
경제
지리
사회
언어
과학 · 기술
교육
교통
[ 문화 ]
[ 문화 ]
예술
음식
종교
스포츠
[ 기타 ]
[ 기타 ]
기타

현재 재위 중인 독립국 군주
[ 펼치기 · 접기 ]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대한제국 (이화에서)의 기 대한제국
오라녀나사우 왕조 글뤽스부르크 왕조 대한제국 황실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마르그레테 2세 함평황제
레소토 룩셈부르크 리히텐슈타인 말레이시아
모셰시 왕조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 리히텐슈타인 가문 벤다하라 가문
레치에 3세 앙리 한스아담 2세 파항의 압둘라
모나코 모로코 바레인 바티칸
그리말디 가문 알라위 왕조 할리파 왕조 교황
알베르 2세 무함마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벨기에 부탄 브루나이 스웨덴
벨기에 왕조 왕축 왕조 볼키아 왕조 베르나도테 왕조
필리프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칼 16세 구스타프
스페인 안도라 요르단
보르본 왕조 프랑스 대통령 우르헬 주교 하심 가문
펠리페 6세 에마뉘엘 마크롱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압둘라 2세
에스와티니 영국 영연방 왕국 오만
들라미니 왕조 윈저 왕조 볼키아 왕조
음스와티 3세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일본국 (이화에서)의 기 일본국 카타르 캄보디아 쿠웨이트
일본 황실 사니 가문 노로돔 왕조 사바 가문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나와프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태국 통가
짜끄리 왕조 투포우 왕조
라마 10세 투포우 6세

황실
皇室 | Imperial House (of Daihan)
대한제국 황실의 문장[1]
국성 전주 이씨
창립일 1392년 8월 13일
창립자 태조 고황제 이단
現 종주 함평황제 이율
종주 칭호 황제
종주 경칭 폐하
국가 대한제국

개요

황실(皇室)대한제국황제와 황족을 일컫는 총칭이다

국성은 전주 이씨 선원본계이다.

대한제국 내 입지

구성원 칭호

황실은 황제와 황족으로 구성된다. 황족은 궁실(宮室)과 궁가(宮家)로 구성된다.

  • 황제(皇帝)
  • 황후(皇后)
  • 황태후(皇太后)
  • 태황태후(太皇太后)
  • 황속(皇續): 황위를 계승하는 황족으로, 황태자와 황태손을 포함한다.
  • 황태자(皇太子)
  • 황태손(皇太孫)
  • 황속비(皇續妃): 황속의 아내이다.
  • 황태자비(皇太子妃)
  • 황태손비(皇太孫妃)
  • 대장공주(大長公主): 황제의 고모를 가리킨다.
  • 장공주(長公主): 황제의 누이를 가리킨다.
  • 친왕(親王)·공주(公主): 친왕(親王)은 황제의 남성 자손을 가리키고, 공주(公主)는 여성 자손을 가리킨다.
  • 친왕비(親王妃): 친왕의 아내이고, 언론에서는 '비 전하'(妃殿下)으로 불린다.
  • 대군(大君)·옹주(翁主): 대군(大君)은 황태자의 남성 자손을 가리키고, 옹주(翁主)는 여성 자손을 가리킨다.
  • 군(君)·군주(郡主)·현주(縣主)·향주(鄕主): 황제의 5세(世) 이하의 남계 남자를 군, 남계 여자의 경우 친왕녀(親王女)는 군주(郡主), 친왕손녀(親王孫女)는 현주(縣主), 친왕증손녀(親王增孫女)는 향주(鄕主)로 가리킨다.
  • 군부인(郡夫人): 군의 아내이다.

황적이탈

생활

주거

틀:대한제국의 황궁 (이화에서)

재산

외국의 입헌 군주는 정치적인 권한은 없더라도 정치권으로부터 간섭받지 않는 상당한 양의 사유재산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영국에서는 국왕이 "랭커스터 공작" 작위를 겸하며, 랭커스터 공작 명의로 전국의 알짜배기 부동산들을 가지고 있어서 그 임대수익을 내탕금으로 삼는다. 이 부동산들의 집합체가 "랭커스터 공국"으로서 존재하며, 부동산 임대료 징수를 담당하는 랭커스터 공국의 재상(Chancellor of the Duchy of Lancaster)도 엄연한 각료로서 존재한다.[12] 그리고 영국 왕실의 맨 섬과 채널 제도 등도 명목상 영국 왕실의 사유 재산이어서 영국이 왕정을 폐지하고 공화국이 되더라도 현 윈저 가문의 소유권이 인정된다. 이외 스페인,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 네덜란드 같은 유럽의 입헌군주국의 왕족들이 갖고 있는 사유지와 별장들 또한 마찬가지다.

이에 비해 일본 황실은 가문 자체의 소유 자산이 거의 없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까지만 해도 상당한 양의 황실 재산이 있었는데, 종전 후 일본국 헌법을 제정하면서 기존의 황실 자산은 모두 국유 재산이 되었다. 대신 일본 정부가 황실경제법(皇室経済法)에 따라 천황과 황가에 대한 생활비 등을 지급하는 예산을 편성하고 이를 국회에서 승인하는 형태로 황실에 생활비 및 기타 비용을 모두 헌납한다. 구체적으로는 천황 부부와 그 자녀 및 직계존속(内廷)[13]에게는 내정비(内廷費, 생활비), 기타 황족에게는 품위유지비인 황족비(皇族費)를 지급하고, 그와는 별도로 궁내청의 공금으로써 접객 및 의식 관련 비용인 궁정비(宮廷費)를 지불한다. 천황 직계가족에 지급되는 내정비는 2022년 기준 약 3억 2,400만 엔이고, 황족비는 1인당 최고 3,050만 엔인데 황실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액수가 달라진다. 2019년에 후미히토 일가 5명에게 지급된 생활비가 한화로 대략 6억 정도다. 즉 유럽 왕족처럼 굉장한 사유재산이랄 건 아니지만 법률을 통해 예산 편성이 의무화가 되어 있어서 돈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14] 아울러 일본 황실의 생활을 돕고 관리하는 궁내청 직원들은 일본 정부(내각부) 직속 산하 특수 별정직 공무원이기 때문에 일본 정부에서 월급을 준다.

황족 구성

황제

궁실(宮室)

경복궁(景福宮)
창덕궁(昌德宮)
경운궁(慶運宮)

궁가(宮家)

도정궁(都正宮)
은언궁 (恩彦宮)
경문궁 (敬文宮)
자성궁 (慈成宮)
태화궁 (太和宮)
순화궁 (順和宮)

구 황족

대한제국 황위계승 순위

황실몸기

여담

관련 문서

둘러보기


  1. 이화문(李花紋) 또는 오얏꽃 문장이라고 불리는 이 황실 문장은 관습법대한제국 국장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