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율도어에 관한 문서이다.
특징
율도어는 중세 한국어와 비슷한 점이 많은데 'ㅅ'을 어말에서 [ㄷ]으로 발음하지 않고 [ㅅ]으로 발음한다는 것이다. 또한 현대 한국어와 다르게 'ᅙ'을 제외한 3개 자모만 사라졌으며 현대 한국어와 같이 된소리가 각자 병서로 표기가 바뀌었다.
어휘
율도어
|
국제음성기호
|
한국어
|
가라 |
|
가래
|
가얌이 |
|
개미
|
강생이 |
kɐsɛŋi |
강아지
|
곰다래 |
|
곰취
|
구뭉 |
|
구멍
|
구루 |
|
골, 고을
|
궹이 |
kweŋi |
고양이
|
갸이 |
kjɐi |
걔
|
기[1] |
kiː |
게(蟹)
|
기[2], 그이[3] |
kiː, kɯi |
그(其)
|
기제 |
|
그제
|
나랏히- |
|
나란히-
|
나믁 |
|
나무(木)
|
나이 |
|
나(我)
|
나희 |
|
우리(吾等)
|
낤, 나라시[4][5] |
|
날, 칼날
|
낤시 |
|
날씨
|
남울 |
|
나물
|
남차(藍菜), 소차(蔬菜), 야차(野菜) |
|
채소(菜蔬)
|
너드레 |
|
여러분
|
너이 |
|
너(汝)
|
노나- |
|
나누-(分)
|
닐굽 |
|
일곱(七)
|
다라 |
|
다락
|
달기 |
|
닭(鷄)
|
따우 |
|
따위
|
돗기 |
|
돼지(豚)
|
마날 |
|
마늘
|
마리 |
|
마
|
마슬 |
|
마을(村), 마실
|
맹갈다 |
|
만들다
|
뭇기 |
|
무엇, 뭐
|
미리 |
|
미르(龍)
|
바기 |
|
바위
|
바라 |
|
바로
|
받잡다[6] |
|
받들다
|
사름 |
|
사람
|
사늘하- |
|
서늘하-, 싸늘하-
|
새위 |
|
새우
|
수루 |
|
수레
|
여듧 |
|
여덟(八)
|
여슷 |
|
여섯(六)
|
-의게 |
|
-에게
|
쟈 |
|
쟤
|
저슬 |
|
겨울(冬)
|
쥉이 |
t͡s⁽ʰ⁾weŋi |
쥐
|
지지바이 |
t͡s⁽ʰ⁾id͡z⁽ʱ⁾ibai |
여자, 계집
|
톳기 |
|
토끼
|
하제 |
|
내일
|
홀(忽) |
|
고을
|
-ㅜ까[7] |
|
-ㅂ니까
|
-ㅜ다 |
|
-ㅂ니다
|
한자음
자(字)
|
율도어 한자음
|
국제음성기호
|
한국어 한자음
|
京 |
깅 |
|
경
|
內 |
나 |
|
내
|
芍 |
삭 |
|
작
|
蒜 |
선 |
|
산
|
祘 |
산, 성 |
|
산
|
倭 |
예 |
|
왜
|
菜 |
차 |
|
채
|
安 |
ᅙᅡᆫ |
|
안
|
音 |
ᅙᅳᆷ |
|
음
|
예문
각주
- ↑ 장음으로 발음한다.
- ↑ 장음으로 발음한다.
- ↑ 선주방언, 평성방언, 란주방언, 강평방언에서 주로 쓰며 이 단어도 표준어이다.
- ↑ 본래는 평성방언이다.
- ↑ 본래는 칼날을 의미하지만 현대 문주어에서는 '칼날을 손질한다.'는 뜻의 '나라시를 하다'로 쓰인다. '날을 친다'라고도 쓸 수 있다. 다만 '낤을 하다', '낤을 맹갈다'는 '칼을 만들다.'라는 의미이므로 아예 다른 말이다.
- ↑ '가르침이나 명령, 의도 따위를 소중히 여기고 마음속으로 따르다' 라는 의미로 사용될 경우에 한하며 '공경하여 모시다', '소중히 대하다', '물건의 밑을 받쳐 올려 들다' 등의 의미로는 '받들다' 라고 한다.
- ↑ 보통 [ᅟᅮᆨ가] 또는 [ㅜː까]로 발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