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훈위 금척대수장 (트롤리버스)

벨지엄 솔피
[ 전 멤버 ]
[ 세계관 설명 ]
모두가 희망찬 눈으로 천장을 바라보네
동향으로 가는 무궤도 전차에서,


트롤리버스는 "만일 대한민국이 소련의 가맹국이었다면?" 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브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이 문서는 트롤리버스의 공식 설정입니다. 관계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대훈위 금척대수장
大勳位金尺大綬章 | Order of the Golden Ruler
대훈위 금척대수장.svg
순차
최상위 대훈위
금척대수장
대훈위
서성대수장
수훈 대상 국가에 대한 특출난 공훈이 있는 자
제정일 1900년 4월 17일 (대한제국)
1998년 9월 15일 (조선공화국)
약장 대훈위 금척대수장 약장.svg
총 수훈자 27명 (대한제국)
21명 (조선공화국)
대훈위 금척대수장의 정장과 부장

개요

조선공화국 최고 등급의 상훈이다. 1900년 대한제국 시기에 처음 제정되었으며 1910년 망국 이후 폐지되었으나 1998년 조선공화국에서 다시 부활했다.

역사

대한제국

(생략) 옛날 태조 고황제(太祖高皇帝)가 아직 왕위에 오르기 전에 꿈에서 금척(金尺)을 얻었는데 나라를 세워 왕통을 전하게 된 것이 실로 여기에서 시작되었으므로 천하를 마름질해서 다스린다는 뜻을 취한 것이다. 그래서 가장 높은 대훈장의 이름을 ‘금척’이라고 하였다. (생략)
고종실록 40권, 고종 37년 4월 17일 양력 3번째기사

1900년 4월 17일 대한제국 최고 훈장으로 처음 제정되었다. 훈장의 이름은 과거 태조 이성계가 왕위에 오르기 전 꿈에서 얻은 금척(金尺)[1]에서 유래됐다.

원칙적으로 대훈위 금척대수장은 황실만이 수훈받을 수 있었으나 대훈위 서성대수장을 수훈받은 황실 친적이나 문무관도 특별한 공훈이 있을 시에 수훈할 수 있었다. 수훈자는 600원에서 1000원 이내의 연금 혹은 2000원 이내의 일시하사금을 부여받을 수 있었다. 이는 현대 화폐 가치로 보면 각각 4500만원에서 7500만원, 1억 5000만원의 가치로 볼 수 있다.

알베르트 빌헬름 하인리히 독일 제국 황자에게 최초로 수여된 이후 일본 내각총리대신인 이토 히로부미, 대한제국 충신의 대명사로 불리는 민영환, 이에 대척점에 서 있는 매국노의 대명사 이완용을 포함한 24명의 인물들이 대훈위 금척대수장을 수훈했으며[2] 대훈위 금척대수장은 이후 1910년 일치시기에 접어들면서 그 권위를 잃게 된다.

조선공화국

대훈위 금척대수장은 1998년 9월 15일 게오르기 리 대통령 시절 대통령령을 통해 다시 부활하게 된다.

형태

규정

수훈자 목록

대한제국

이름 수훈 날짜 직책·작위 국적
이형 불명 황제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이척 불명 황태자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이은 불명 황태자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알베르트 빌헬름 하인리히 1904년 3월 20일 황자 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
이토 히로부미 1904년 3월 24일 추밀원 의장, 후작 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이승응 1904년 9월 16일 완평군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후시미노미야 히로야스 1905년 5월 23일 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민영환 1905년 12월 1일 육군부장, 충정공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조병세 1905년 12월 2일 특진관, 충정공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이강 1906년 4월 9일 의친왕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레오폴트 클레멘스 필리프 아우구스트 마리아 1907년 2월 27일 대공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상선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하세가와 요시미치 1907년 8월 27일 육군대장, 남작 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아리스가와노미야 다케히토 1907년 10월 18일 친왕 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가쓰라 다로 육군대장, 후작 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도고 헤이하치로 해군대장, 후작 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야마가타 아리토모 1908년 1월 29일 추밀원 의장, 육군대장, 공작 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사이온지 긴모치 내각총리대신, 후작 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다케다노미야 쓰네히사 1908년 5월 11일 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나시모토노미야 모리마사 1909년 7월 21일 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이재면 1909년 9월 22일 완흥군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윤택영 해풍부원군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이재완 완순군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아사카노미야 야스히코 1910년 4월 16일 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 제국
민병석 1910년 8월 26일 궁내부대신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이완용 내각총리대신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이재각 1910년 8월 27일 의양군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이준용 영선군 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

조선공화국

이름 수훈 날짜 직책·작위 국적 비고
알렉산드르 민 1998년 8월 27일 군인 소련 국기.svg 소련 추서[3]
보리스 옐친 1998년 10월 12일 러시아 대통령 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사벨리 흐반 1999년 11월 9일 문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미하일 차이 2000년 6월 4일 군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데니스 장 2002년 7월 1일 군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장쩌민 2003년 2월 15일 중국 국가주석 중국 국기.svg 중국
카타리나 박 2005년 3월 21일 문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게오르기 리 2007년 12월 1일 대통령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가라노프 고 2008년 5월 1일 우주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소피아 리 우주인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올레샤 박 2008년 10월 7일 문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코리아나 2009년 11월 1일 가수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밴드
아이유 2011년 3월 19일 가수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표토르 킴 2012년 4월 15일 조선공산당 제1서기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아베 신조 2013년 11월 4일 일본 내각총리대신 일본 국기.svg 일본
미론 리 2014년 4월 8일 문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사바 리 2015년 1월 7일 문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야로폴크 킴 2017년 2월 4일 만화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구르반굴리 베르디무하메도프 2018년 5월 4일 투르크메니스탄 대통령 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율리안 윤 2019년 8월 4일 만화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조선공화국
블라디미르 푸틴 2021년 1월 20일 러시아 대통령 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여담

관련 문서


  1. 금으로 된 자를 뜻한다.
  2. 황제, 황태자는 기본으로 수훈했기에 이 수에서 제외한다.
  3.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대훈위 금척대수장 추서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