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1925}} {{다른 뜻 설명|이 기관의 청사(건물)에 대한 내용은 [[동이총독부 청사 (1925)|동이총독부 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일본한치시기 일본 열도 통치기관 (1925)}}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062861; font-size:10.5pt" |- !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동이총독부 관련 틀 |- | <div class="mw-customtoggle-TONGICHONGDOKBU_1"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id="mw-customcollapsible-TONGICHONGDOKBU_1"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0px -10.0px 0px; background:none"> {| style="margin:4.0px 0px -6.0px 0.0px; 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일본한치시기 (1925)}} ---- {{대한제국의 식민지 (1925)}} |-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max-width:400px; border:2px solid #062861; font-size:10.5pt; float: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글씨 크기|14|동이총독부}}<br>東夷總督府<br>Government-General of Tongi |- ! [[파일:이화문 Black.svg|x80px]] ! [[파일:동이총독부 인장.svg|x90px]] |- ! width=50%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휘장 ! width=50%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인장 |- ! colspan="2"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1910년|{{color|#ECCD7A|1910년}}]] [[10월 1일|{{color|#ECCD7A|10월 1일}}]] ~ [[1945년|{{color|#ECCD7A|1945년}}]] [[9월 28일|{{color|#ECCD7A|9월 28일}}]] |- !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설치 이전 !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해체 이후 |- ! rowspan="2" style="background:#B0313F; color:#FFF" | 대일본제국<br><div style="display:inline; padding:2px 3px; border-radius:3px; background:#002680; font-size:0.8em">[[일본통감부 (1925)|{{color|#FFF|일본통감부}}]]</div> ! style="background:#C00; color:#FFD700" | [[소련군정 (1925)|{{color|#FFD700|소련군정}}]] |- ! style="background:#002664; color:#FFF" | [[미군정 (1925)|{{color|#FFF|미군정}}]] |- | colspan="2" | <div style="margin:-5.5px -10.0px> {| style="width:100%" |- ! width=25%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소재지 | [[신내천현 (1925)|신내천현]] [[강도부 (1925)|강도부]] [[치요다구 (1925)|국정방]] [[유라쿠초 (1925)|유락1계]] 13-1<ref>[[동이총독부 청사 (1925)|동이총독부 청사]] 문서 참고.</ref> |- !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시대 구분 | [[무단 통치기 (1925)|무단통치]] <small>(1910~1919)</small><br>[[문화 통치기 (1925)|문화통치]] <small>(1920~1936)</small><br>[[민족 말살 통치기 (1925)|민족말살통치]] <small>(1937~1945)</small> |- !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주요 총독 | [[박제순 (1925)|박제순]]<br>[[이동휘 (1925)|이동휘]]<br>[[김좌진 (1925)|김좌진]]<br>[[신순성 (1925)|신순성]]<br>[[홍사익 (1925)|홍사익]] |- |} |} {{목차}} {{-}} == 개요 == '''동이총독부'''(東夷總督府)는 [[대한제국 (1925)|대한제국]]이 [[일본한치시기 (1925)|일본한치시기 왜]]의 [[강도부 (1925)|강도부]]에 설치한 통치 기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된 1910년에 설치되어, 대한제국이 태평양 전쟁에서 항복하고 연합군이 일본 열도에 진주한 1945년 미군정에 행정권을 이양하면서 해체되었다. == 기관 == == 동이총독 == === 역대 총독 === {{역대 동이총독 (1925)}} {| class="wikitable" style="word-break:keep-all; width:100%; border:2px solid #062861;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width=7% rowspan="2"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대수 ! width=20% rowspan="2"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이름 ! width=30% colspan="2"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임기 ! rowspan="2"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설명 |- ! width=15%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임기 시작 ! width=15% style="background:#062861; color:#ECCD7A" | 임기 종료 |- | '''임시''' | rowspan="2" | [[파일:박제순.jpg|x150px]]{{구분선}}[[박제순 (1925)|박제순]]<br>{{글씨 크기|9|朴齊純}} | rowspan="2" | [[1910년]] [[8월 29일]] | rowspan="2" | [[1916년]] [[6월 20일]] | rowspan="2" align=left | 경기도 출신. 일본통감부와 총독부가 공존한 시기에 통감으로서 직무 대리함. 이후 기존의 지위에 이어 총독으로 승격, 초대 동이총독으로서 무단 통치를 실시한다. 임기 중 노환으로 인해 사망. |- | '''초대''' |- | '''대행''' | rowspan="2" | [[파일:이병무.jpg|x150px]]{{구분선}}[[이병무 (1925)|이병무]]<br>{{글씨 크기|9|李秉武}} | rowspan="2" | [[1916년]] [[6월 20일]] | rowspan="2" | [[1919년]] [[X월 X일]] | rowspan="2" align=left | 충청남도 출신. 3.1 운동을 무력 탄압하는 등 무단 통치로 비판을 받아, 신사조사사업을 완료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불과 3년 만에 교체되었다. |- | '''제2대''' |- | '''제3대''' | [[파일:이동휘.jpg|x150px]]{{구분선}}[[이동휘 (1925)|이동휘]]<br>{{글씨 크기|9|李東輝}} | [[1919년]] [[X월 X일]] | [[1927년]] [[X월 X일]] | align=left | 함경남도 출신. 역대 최장기 총독으로 약 8년간 총독으로 재임했으며, 형식상의 문화 통치 정책을 추진하여 기존의 강압적 통치에서 회유적 통치로 방향을 돌렸다. |- | '''제4대''' | [[파일:이용익2.png|x150px]]{{구분선}}[[이용익 (1925)|이용익]]<br>{{글씨 크기|9|李容翊}} | [[1927년]] [[X월 X일]] | [[1931년]] [[X월 X일]] | align=left | 함경북도 출신. 1931년 평안경부에서 ○○○○이 왜군 부대를 시찰하던 대한제국 황족 영친왕 이은을 칼로 찌른 사건에 책임을 물어 사임하였다. |- | '''제5대''' | [[파일:권중현.jpg|x150px]]{{구분선}}[[권중현 (1925)|권중현]]<br>{{글씨 크기|9|權重顯}} | [[1931년]] [[X월 X일]] | [[1934년]] [[3월 19일]] | align=left | 충청북도 출신. 총리 출신이 총독이 된 경우. 3년 동안 총독을 재임하다 임기 중 노환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 | '''대행''' | rowspan="2" | [[파일:김좌진.jpg|x150px]]{{구분선}}[[김좌진 (1925)|김좌진]]<br>{{글씨 크기|9|金佐鎭}} | rowspan="2" | [[1934년]] [[3월 19일]] | rowspan="2" | [[1940년]] [[X월 X일]] | rowspan="2" align=left | 충청남도 출신. 경제 개발 정책을 표방했다. 한왜동조를 주장하고, 지원병 제도를 실시해 강제징용으로 왜 청년들을 중한전쟁에 참전시켰으며, 창성개명, 서원참배, 황국신민서사 암송 등 민족 말살 정책을 강행하였다. |- | '''제6대''' |- | '''제7대''' | [[파일:신순성.jpg|x150px]]{{구분선}}[[신순성 (1925)|신순성]]<br>{{글씨 크기|9|愼順晟}} | [[1940년]] [[X월 X일]] | [[1944년]] [[X월 X일]] | align=left | 한성부 출신으로, 역대 총독 중 유일하게 '''해군 출신'''이다.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를 실시하였며, 왜의 소년소녀들을 신의도와 위안부로 끌려가게 했다. |- | '''제8대''' | [[파일:홍사익2.jpg|x150px]]{{구분선}}[[홍사익 (1925)|홍사익]]<br>{{글씨 크기|9|洪思翊}} | [[1944년]] [[X월 X일]] | [[1945년]] [[9월 28일]] | align=left | 경기도 출신. 마지막 해의 전쟁 수행을 위한 물자와 인력의 수탈에 총력을 다하였다. 국민의용대를 편성하여 비협조적인 왜인을 대규모로 탄압, 검거했다. 패전 후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 |} == 건물 == === 동이총독부 청사 === {{본문|조선총독부 청사 (1925)}} === 총독 관저 === == 산하 행정기구 == == 기타 == == 둘러보기 == ---- {{각주}} [[분류:1925]]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 (원본 보기) 틀:1925 (원본 보기) 틀:Color (원본 보기) 틀:각주 (원본 보기) 틀:구분선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다른 뜻 설명 (원본 보기) 틀:대한제국의 식민지 (1925)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본문 (원본 보기) 틀:역대 동이총독 (1925) (원본 보기) 틀:일본한치시기 (1925) (원본 보기) 틀:일본한치시기 일본 열도 통치기관 (1925) (원본 보기) 틀:테두리 (원본 보기) 동이총독부 (1925)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