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이총독부 (1925)

이 문서는 1925의 공식 설정입니다. 세계관 연재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대한제국의 일본 열도 통치기관
1905~1910 1910~1945
대일본제국 일본한치시기
일본통감부 동이총독부
동이총독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일본한치시기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기 (태극기) · 국가 (애국가)
시대 1910년대 (무단통치) · 1920년대 (문화통치) · 1930년대 ~ 1945년 (민족말살통치)
정치 동이총독부 (청사) · 신사조사사업 · 한왜동조 · 창성개명
언어 한국어 · 일본어
사건사고

대한제국식민지
[ 펼치기 · 접기 ]
지역 통치지 통치기관
타이완 섬 대만(臺灣) 남만총독부
일본 열도 왜(倭) 동이총독부
홋카이도 하이(蝦夷) 북적총독부
태평양 제도 남양 군도(南洋群島) 남양목
랴오둥 반도 관동주(關東州)* 관동목
* 관동주는 1943년 이후 본토(내지)로 편입
괴뢰국 · 군정청

동이총독부
東夷總督府
Government-General of Tongi
휘장 인장
1910년 10월 1일 ~ 1945년 9월 28일
설치 이전 해체 이후
대일본제국
소련군정
미군정

개요

동이총독부(東夷總督府)는 대한제국일본한치시기 왜강도부에 설치한 통치 기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된 1910년에 설치되어, 대한제국이 태평양 전쟁에서 항복하고 연합군이 일본 열도에 진주한 1945년 미군정에 행정권을 이양하면서 해체되었다.

기관

동이총독

역대 총독


동이총독
[ 펼치기 · 접기 ]
대행·초대 대행·제2대 제3대 제4대
박제순 이병무 이동휘 이용익
제5대 대행·제6대 제7대 제8대
권중현 김좌진 신순성 홍사익
일본 통감 · 군정 사령관
대수 이름 임기 설명
임기 시작 임기 종료
임시

박제순
朴齊純
1910년 8월 29일 1916년 6월 20일 경기도 출신. 일본통감부와 총독부가 공존한 시기에 통감으로서 직무 대리함. 이후 기존의 지위에 이어 총독으로 승격, 초대 동이총독으로서 무단 통치를 실시한다. 임기 중 노환으로 인해 사망.
초대
대행

이병무
李秉武
1916년 6월 20일 1919년 X월 X일 충청남도 출신. 3.1 운동을 무력 탄압하는 등 무단 통치로 비판을 받아, 신사조사사업을 완료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불과 3년 만에 교체되었다.
제2대
제3대

이동휘
李東輝
1919년 X월 X일 1927년 X월 X일 함경남도 출신. 역대 최장기 총독으로 약 8년간 총독으로 재임했으며, 형식상의 문화 통치 정책을 추진하여 기존의 강압적 통치에서 회유적 통치로 방향을 돌렸다.
제4대

이용익
李容翊
1927년 X월 X일 1931년 X월 X일 함경북도 출신. 1931년 평안경부에서 ○○○○이 왜군 부대를 시찰하던 대한제국 황족 영친왕 이은을 칼로 찌른 사건에 책임을 물어 사임하였다.
제5대

권중현
權重顯
1931년 X월 X일 1934년 3월 19일 충청북도 출신. 총리 출신이 총독이 된 경우. 3년 동안 총독을 재임하다 임기 중 노환으로 인해 사망하였다.
대행

김좌진
金佐鎭
1934년 3월 19일 1940년 X월 X일 충청남도 출신. 경제 개발 정책을 표방했다. 한왜동조를 주장하고, 지원병 제도를 실시해 강제징용으로 왜 청년들을 중한전쟁에 참전시켰으며, 창성개명, 서원참배, 황국신민서사 암송 등 민족 말살 정책을 강행하였다.
제6대
제7대

신순성
愼順晟
1940년 X월 X일 1944년 X월 X일 한성부 출신으로, 역대 총독 중 유일하게 해군 출신이다. 학도 특별지원병 제도를 실시하였며, 왜의 소년소녀들을 신의도와 위안부로 끌려가게 했다.
제8대

홍사익
洪思翊
1944년 X월 X일 1945년 9월 28일 경기도 출신. 마지막 해의 전쟁 수행을 위한 물자와 인력의 수탈에 총력을 다하였다. 국민의용대를 편성하여 비협조적인 왜인을 대규모로 탄압, 검거했다. 패전 후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건물

동이총독부 청사

총독 관저

산하 행정기구

기타

둘러보기


  1. 동이총독부 청사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