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프랑스 실존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그람시 재단 문서}} {{목차}} == 개요 == 1950년대 프랑스에서 전개된 좌파적 실존주의 경향성을 일컫는다. 야스퍼스, 하이데거로 대표되는 20세기 독일 실존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별 연관이 없었지만, 강단좌파의 전통이 강했던 프랑스에서는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등이 자본주의 인간소외의 대안으로 마르크스주의를 선택하며 좌파적인 실존주의가 전개되었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목차}}
{{목차}}
== 개요 ==
== 개요 ==
1950년대 프랑스에서 전개된 좌파적 [[실존주의]] 경향성을 일컫는다. 야스퍼스, 하이데거로 대표되는 20세기 독일 실존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별 연관이 없었지만, 강단좌파의 전통이 강했던 프랑스에서는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등이 자본주의 인간소외의 대안으로 마르크스주의를 선택하며 좌파적인 실존주의가 전개되었다.
1950년대 프랑스에서 전개된 좌파적 [[실존주의]] 경향성을 일컫는다. 야스퍼스, 하이데거로 대표되는 20세기 독일 실존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별 연관이 없었지만, 강단좌파의 전통이 강했던 프랑스에서는 [[장폴 사르트르]], [[모리스 메를로퐁티]] 등이 자본주의 인간소외의 대안으로 실존주의를 선택하며 좌파적인 실존주의가 전개되었다.
== 상세 ==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은 당대 철학의 경향성을 보았을 때 상당히 특이한 조류에 속하였다. 하이데거와 같은 독일의 실존주의자들은 프랑스 실존주의가 자신들의 철학과 별 상관이 없다고 여겼고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들<ref>루이 알튀세르, 앙리 르페브르 등</ref>과 공산당 지도부는 실존주의 철학을 "관념론"으로 치부해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프랑스의 좌파 실존주의는 프랑스 대학생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얻으며 대중적인 공산주의 운동에서 큰 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들이 주목한 실존주의의 주요한 개념은 고향상실(heimatlos)이다. 우선 마르크스주의의 [[사적 유물론]]에서, 인간은 자연의 물질을 생산을 통해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자연과 접촉한다. 하이데거 역시 마찬가지로 인간과 자연이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이 실존을 만들어간다고 보았다. 문제는 산업화 시대의 기술만능주의로 자연은 인간에게 정복의 대상이 되었을 뿐이며 이로 인하여 인간이 자신의 실존을 찾기란 매우 어려워졌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문제의식은 마르크스가 똑같이 가지고 있었고 단지 마르크스는 그것을 "인간소외"라고 불렀을 뿐이라는게 전반적인 실존주의자들의 논리였다. 프랑스의 실존주의자들은 2차 세계 대전을 전후하여 일어난 파시즘 운동이 인간 기술로 인한 실존 상실의 상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고 이를 위해 인간소외 타파를 외친 마르크스주의를 실존주의에 받아들인 것이다.<ref>중요한 것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실존주의를 받아들인게 아니라 실존주의자들이 마르크스주의를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사르트르는 스페인 내전 이전까지 공산주의자가 아니었다.</ref>
 
'''그러나''' 후기 하이데거 철학에서 고향상실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은 자연으로의 복귀, 생명경외이기 때문에 산업화와 경제결정론을 주장하는 마르크스주의와 엄청난 차이점이 존재한다. 카를 바르트(실존주의적 신학)나 카를 야스퍼스(기독교 실존주의)와의 차이는 더욱 크다. 그런데 사르트르나 카뮈는 그런 것을 모르고 전기 하이데거의 철학만을 받아들였다고 하이데거가 생전에 직접 평가를 한 바 있다.
 
사실 이 점은 프랑스의 "과학적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실존주의를 비판한 지점이기도 하다. [[루이 알튀세르|알튀세르]]의 비판에 의하면 프랑스 실존주의자들이 마르크스주의에서 지목한 지점은 인간소외 ''하나''에 불과하며, 엄밀한 과학적 방법론을 추구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관념론에 치우쳤다. 이런 비판의식 속에서 1960년대에 프랑스 좌파 철학계에서 실존주의를 타파하려는 운동이 있었고 푸코, 알튀세르, 레비-스트로스로 대표되는 [[구조주의]]가 실존주의를 밀어내고 마르크스주의 주류로 올라섰다.
 
== 주요 학자, 저술가 ==
* [[모리스 메를로퐁티]] - 마르크스주의적 현상학
* [[장폴 사르트르]]
* [[시몬 드 보부아르]]
* [[알베르 카뮈]]
* <del>[[조르주 바타유]]</del> - 프랑스 국적의 실존주의자였으나 사회주의자가 아니었다.
 
== 같이 보기 ==
* [[실존주의]]
* [[현상학]]
* [[서구 마르크스주의]]
* [[마르틴 하이데거]]
----
----

2023년 6월 4일 (일) 15:29 기준 최신판

이 문서는 실용 문서입니다.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편집은 할 수 없습니다.
×

이 문서는 그람시 재단의 관리 하에 있는 실용 문서입니다.
해당 문서는 그람시 재단의 소속 인원 외의 인원도 자유로이 편집할 수 있습니다.

개요

1950년대 프랑스에서 전개된 좌파적 실존주의 경향성을 일컫는다. 야스퍼스, 하이데거로 대표되는 20세기 독일 실존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별 연관이 없었지만, 강단좌파의 전통이 강했던 프랑스에서는 장폴 사르트르, 모리스 메를로퐁티 등이 자본주의 인간소외의 대안으로 실존주의를 선택하며 좌파적인 실존주의가 전개되었다.

상세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은 당대 철학의 경향성을 보았을 때 상당히 특이한 조류에 속하였다. 하이데거와 같은 독일의 실존주의자들은 프랑스 실존주의가 자신들의 철학과 별 상관이 없다고 여겼고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들[1]과 공산당 지도부는 실존주의 철학을 "관념론"으로 치부해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프랑스의 좌파 실존주의는 프랑스 대학생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얻으며 대중적인 공산주의 운동에서 큰 지분을 차지하게 된다.

이들이 주목한 실존주의의 주요한 개념은 고향상실(heimatlos)이다. 우선 마르크스주의의 사적 유물론에서, 인간은 자연의 물질을 생산을 통해 변형시키는 방식으로 자연과 접촉한다. 하이데거 역시 마찬가지로 인간과 자연이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이 실존을 만들어간다고 보았다. 문제는 산업화 시대의 기술만능주의로 자연은 인간에게 정복의 대상이 되었을 뿐이며 이로 인하여 인간이 자신의 실존을 찾기란 매우 어려워졌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문제의식은 마르크스가 똑같이 가지고 있었고 단지 마르크스는 그것을 "인간소외"라고 불렀을 뿐이라는게 전반적인 실존주의자들의 논리였다. 프랑스의 실존주의자들은 2차 세계 대전을 전후하여 일어난 파시즘 운동이 인간 기술로 인한 실존 상실의 상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고 이를 위해 인간소외 타파를 외친 마르크스주의를 실존주의에 받아들인 것이다.[2]

그러나 후기 하이데거 철학에서 고향상실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은 자연으로의 복귀, 생명경외이기 때문에 산업화와 경제결정론을 주장하는 마르크스주의와 엄청난 차이점이 존재한다. 카를 바르트(실존주의적 신학)나 카를 야스퍼스(기독교 실존주의)와의 차이는 더욱 크다. 그런데 사르트르나 카뮈는 그런 것을 모르고 전기 하이데거의 철학만을 받아들였다고 하이데거가 생전에 직접 평가를 한 바 있다.

사실 이 점은 프랑스의 "과학적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실존주의를 비판한 지점이기도 하다. 알튀세르의 비판에 의하면 프랑스 실존주의자들이 마르크스주의에서 지목한 지점은 인간소외 하나에 불과하며, 엄밀한 과학적 방법론을 추구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관념론에 치우쳤다. 이런 비판의식 속에서 1960년대에 프랑스 좌파 철학계에서 실존주의를 타파하려는 운동이 있었고 푸코, 알튀세르, 레비-스트로스로 대표되는 구조주의가 실존주의를 밀어내고 마르크스주의 주류로 올라섰다.

주요 학자, 저술가

같이 보기


  1. 루이 알튀세르, 앙리 르페브르 등
  2. 중요한 것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실존주의를 받아들인게 아니라 실존주의자들이 마르크스주의를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사르트르는 스페인 내전 이전까지 공산주의자가 아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