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 두 판 사이의 차이

198번째 줄: 198번째 줄:
| rowspan="1" | 96석 ({{증가}}22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31.9% ({{증가 소}}7.1%)}}
| rowspan="1" | 96석 ({{증가}}22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31.9% ({{증가 소}}7.1%)}}
| rowspan="3" | {{증가}}1
| rowspan="3" | {{증가}}1
| rowspan="3" style="background:#B9FFDD" | 여당
| rowspan="3" style="color:#111; background:#B9FFDD" | 여당
|-
|-
| rowspan="2"| {{우크라이나 국민당 (개화)/행정구역}}
| rowspan="2"| {{우크라이나 국민당 (개화)/행정구역}}
209번째 줄: 209번째 줄:
| rowspan="1" | 82석 ({{증가}}34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27.2% ({{증가 소}}11.1%)}}
| rowspan="1" | 82석 ({{증가}}34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27.2% ({{증가 소}}11.1%)}}
| rowspan="3" | {{증가}}2
| rowspan="3" | {{증가}}2
| rowspan="3" style="background:#B9FFDD" | 여당
| rowspan="3" style="color:#111; background:#B9FFDD" | 여당
|-
|-
| rowspan="2"| {{우크라이나 민주연합 (개화)/행정구역}}
| rowspan="2"| {{우크라이나 민주연합 (개화)/행정구역}}
220번째 줄: 220번째 줄:
| rowspan="1" | 62석 ({{감소}}38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20.6% ({{감소 소}}13.0%)}}
| rowspan="1" | 62석 ({{감소}}38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20.6% ({{감소 소}}13.0%)}}
| rowspan="3" | {{감소}}2
| rowspan="3" | {{감소}}2
| rowspan="3" style="background:#FDE3E2"| 야당
| rowspan="3" style="color:#111; background:#FDE3E2"| 야당
|-
|-
| rowspan="2"| {{우크라이나 국민노동당 (개화)/행정구역}}
| rowspan="2"| {{우크라이나 국민노동당 (개화)/행정구역}}
231번째 줄: 231번째 줄:
| rowspan="1" | 28석 ({{감소}}34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9.3% ({{감소 소}}11.2%)}}   
| rowspan="1" | 28석 ({{감소}}34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9.3% ({{감소 소}}11.2%)}}   
| rowspan="3" | {{감소}}1
| rowspan="3" | {{감소}}1
| rowspan="3" style="background:#FDE3E2"| 야당
| rowspan="3" style="color:#111; background:#FDE3E2"| 야당
|-
|-
| rowspan="2"| {{인민의 종 (개화)/행정구역}}  
| rowspan="2"| {{인민의 종 (개화)/행정구역}}  
242번째 줄: 242번째 줄:
| rowspan="1" | 21석 ({{증가}}16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7.0% ({{증가 소}}5.3%)}}
| rowspan="1" | 21석 ({{증가}}16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7.0% ({{증가 소}}5.3%)}}
| rowspan="3" | {{보합}}0
| rowspan="3" | {{보합}}0
| rowspan="3" style="background:#FDE3E2"| 야당
| rowspan="3" style="color:#111; background:#FDE3E2"| 야당
|-
|-
| rowspan="2"| {{파스치 (개화)/행정구역}}  
| rowspan="2"| {{파스치 (개화)/행정구역}}  
253번째 줄: 253번째 줄:
| rowspan="1" | 9석 ({{증가}}5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3.0% ({{증가 소}}1.7%)}}
| rowspan="1" | 9석 ({{증가}}5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3.0% ({{증가 소}}1.7%)}}
| rowspan="3" | {{보합}}0
| rowspan="3" | {{보합}}0
| rowspan="3" style="background:#FDE3E2"| 야당
| rowspan="3" style="color:#111; background:#FDE3E2"| 야당
|-
|-
| rowspan="2"| {{녹우크라이나 기독교 민주당 (개화)/행정구역}}  
| rowspan="2"| {{녹우크라이나 기독교 민주당 (개화)/행정구역}}  
287번째 줄: 287번째 줄:
| rowspan="3" | {{우크라이나 국민당 (개화)/행정구역}}<br>{{우크라이나 민주연합 (개화)/행정구역}}
| rowspan="3" | {{우크라이나 국민당 (개화)/행정구역}}<br>{{우크라이나 민주연합 (개화)/행정구역}}
| colspan="1" | 178석 ({{증가}}52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59.1% ({{증가 소}}18.0%)}}
| colspan="1" | 178석 ({{증가}}52석) {{글씨 색|#aaaaaa|<nowiki>|</nowiki>}} {{small|59.1% ({{증가 소}}18.0%)}}
| rowspan="3" style="background:#B9FFDD"| 여권
| rowspan="3" style="color:#111; background:#B9FFDD"| 여권
|-
|-
| colspan="1";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4B6F0 40.1%, #ccc 40.1%);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글씨 색|transparent|.}}<br><div style="margin: -4px 0px">
| colspan="1";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4B6F0 40.1%, #ccc 40.1%);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글씨 색|transparent|.}}<br><div style="margin: -4px 0px">
296번째 줄: 296번째 줄:
| rowspan="3" | {{녹우크라이나 국민노동당 (개화)/행정구역}}<br>{{인민의 종 (개화)/행정구역}}<br>{{녹우크라이나 기독교 민주당 (개화)/행정구역}}
| rowspan="3" | {{녹우크라이나 국민노동당 (개화)/행정구역}}<br>{{인민의 종 (개화)/행정구역}}<br>{{녹우크라이나 기독교 민주당 (개화)/행정구역}}
| rowspan="1" style="height:60px;"| 99석 {{small|(32.9%)}}
| rowspan="1" style="height:60px;"| 99석 {{small|(32.9%)}}
| rowspan="3" style="background:#FDE3E2"| 야권
| rowspan="3" style="color:#111; background:#FDE3E2"| 야권
|-
|-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FFBA75 56.3%, #ccc 56.3%);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글씨 색|transparent|.}}<br><div style="margin: -4px 0px">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FFBA75 56.3%, #ccc 56.3%);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글씨 색|transparent|.}}<br><div style="margin: -4px 0px">
305번째 줄: 305번째 줄:
| rowspan="3" | {{파스치 (개화)/행정구역}}
| rowspan="3" | {{파스치 (개화)/행정구역}}
| rowspan="1" | 21석 {{small|(7.0%)}}
| rowspan="1" | 21석 {{small|(7.0%)}}
| rowspan="3" style="background:#FDE3E2"| 야권
| rowspan="3" style="color:#111; background:#FDE3E2"| 야권
|-
|-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C395E5 1.7%, #ccc 1.7%);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글씨 색|transparent|.}}<br><div style="margin: -4px 0px">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C395E5 1.7%, #ccc 1.7%);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글씨 색|transparent|.}}<br><div style="margin: -4px 0px">

2024년 3월 26일 (화) 10:24 판


제16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2018년 5월
15대 총선
2022년 5월
16대 총선
2026년 5월
17대 총선
투표율 71.2% ▲1.3%p
선거 결과
width=100%
정당 지도자 의석 비율
국민당 미하일로 데흐타렌코 96석 31.9%
민주연합 볼로디미르 비류조우코 82석 27.2%
국민노동당 볼로디미르 체르본코 62석 20.6%
인민의 종 볼로디미르 젤렌코 28석 9.3%
파스치 바베큐 피자도우 21석 7.0%
기독교민주당 페오도시 몰리보하 9석 3.0%
무소속 - 3석 1.0%

개요

2022년 5월에 치러진 녹우크라이나의 최고의회의원 선거. 세르히 푸르할 행정부의 2년을 평가하는 중간선거의 성격을 가졌다.

여권 연합인 미래를 향한 연합과 야권연합인 진보와 단결, 그리고 어떠한 정당연합에도 속하지 않는 파스치의 삼차전으로 선거가 치러졌으며, 결과적으로 여권연합이 과반을 훌쩍 넘기는 의석을 얻어 대승을 거두었다.

선거 전 상황

정당별 상황
정당 및 대표 기존 의석 비고
볼로디미르 체르본코 100석 (33.6%) 야당
국민노동당
.
미하일로 데흐타렌코 74석 (24.8%) 여당
국민당
.
볼로디미르 젤렌코 61석 (20.5%) 야당
인민의 종
.
볼로디미르 비류조우코 48석 (16.1%) 여당
민주연합
.
바베큐 피자도우 5석 (1.7%) 야당
파스치
.
페오도시 몰리보하 4석 (1.3%) 야당
기독교민주당
.
- 6석 (2.0%) -
무소속
.
회파별 상황
선거연합 참여 정당 기존 의석 비고
진보와 단결 국민노동당
인민의 종
기독교민주당
166석 (56.3%) 야권
.
미래를 향한 연합 국민당
민주연합
122석 (40.1%) 여권
.
파스치 5석 (1.7%) 야권
무소속 6석 (2.0%) -
.

2020년 대선에서 세르히 푸르할이 당선되었지만 여전히 최고의회는 이전 여당이었던 국민노동당과 인민의 종으로 구성된 진보와 단결이 과반을 점한 상태고, 여권 정당연합인 미래를 향한 연합은 전체 의석의 40%에도 못 미치는 의석을 보유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푸르할 행정부의 첫 2년은 여소야대 정국으로 흘러갔다.

2023년에는 여당인 국민당 내에서 푸르할 정부에 반대하는 온건 기독교 민주주의자 의원 네 명이 탈당하여 기독교 민주당을 창당, 진보와 단결에 합류하였다.

결과

정당별 상황
정당 및 대표 의석 변화 순위 비고
미하일로 데흐타렌코 96석 (증가22석) | 31.9% (증가7.1%) 증가1 여당
국민당
.
.
볼로디미르 비류조우코 82석 (증가34석) | 27.2% (증가11.1%) 증가2 여당
민주연합
.
.
볼로디미르 체르본코 62석 (감소38석) | 20.6% (감소13.0%) 감소2 야당
국민노동당
.
.
볼로디미르 젤렌코 28석 (감소34석) | 9.3% (감소11.2%) 감소1 야당
인민의 종
.
.
바베큐 피자도우 21석 (증가16석) | 7.0% (증가5.3%) 보합0 야당
파스치
.
.
페오도시 몰리보하 9석 (증가5석) | 3.0% (증가1.7%) 보합0 야당
기독교민주당
.
.
- 3석 (1.0%) - -
무소속
.
.
회파별 상황
선거연합 참여 정당 의석 변화 비고
미래를 향한 연합 국민당
민주연합
178석 (증가52석) | 59.1% (증가18.0%) 여권
.
.
진보와 단결 국민노동당
인민의 종
기독교민주당
99석 (32.9%) 야권
.
.
파스치 21석 (7.0%) 야권
.
.
무소속 5석 (1.7%) -
.
.

반응

압승을 거둔 여권은 환호했다. 미하일로 데흐타렌코 우크라이나 국민당 대표는 “푸르할 행정부의 정책을 지지하는 국민의 여론이 잘 반영된 결과” 라며 “정부와 협조해 국가에 이익이 되는 많은 정책들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또 볼로디미르 비류조우코 우크라이나 민주연합 대표는 “자유로운 조국 우크라이나를 만드려는 우크라이나 국민의 위대한 승리”라고 평가했다.

반면 참패를 당한 야권은 침통한 분위기를 보였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