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국 국군 (빌레펠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2번째 줄: 12번째 줄:
|-
|-
| rowspan="2" class="text-[#373a3c] bg-[#d2cfca] !dark:text-[#ddd] !dark:bg-[#423f3a]" | '''통수권자'''<ref>국가원수의 권한으로서 군에 관한 모든 것을 통솔할 수 있다.</ref>
| rowspan="2" class="text-[#373a3c] bg-[#d2cfca] !dark:text-[#ddd] !dark:bg-[#423f3a]" | '''통수권자'''<ref>국가원수의 권한으로서 군에 관한 모든 것을 통솔할 수 있다.</ref>
| align="left" | [[경덕제 (빌레펠트)|경덕제]] <small>([[대한국 황제 (빌레펠트)|대한제국 황제]])</small><html><sup id="cite_ref-1" class="reference"><a href="#cite_note-2">[명목적]</a></sup></html><html><div style="display: none;"></html><ref>대한국 황제는 대한국의 상징적 국가원수로 군에 대한 통수권을 지닌다.</ref><html></div></html>
| align="left" | [[경덕제 (빌레펠트)|경덕제]] <small>([[대한국 황제 (빌레펠트)|대한제국 황제]])</small><html><sup id="cite_ref-2" class="reference"><a href="#cite_note-2">[명목적]</a></sup></html><html><div style="display: none;"></html><ref>대한국 황제는 대한국의 상징적 국가원수로 군에 대한 통수권을 지닌다.</ref><html></div></html>
|-
|-
| align="left" | [[유승민 (빌레펠트)|유승민]] <small>([[대한국 내각총리대신 (빌레펠트)|대한국 내각총리대신]])</small><html><sup id="cite_ref-1" class="reference"><a href="#cite_note-2">[실질적]</a></sup></html><html><div style="display: none;"></html><ref>대한국의 행정수반으로 실질적으로 군에 대한 통수권을 행사한다.</ref><html></div></html>
| align="left" | [[유승민 (빌레펠트)|유승민]] <small>([[대한국 내각총리대신 (빌레펠트)|대한국 내각총리대신]])</small><html><sup id="cite_ref-3" class="reference"><a href="#cite_note-3">[실질적]</a></sup></html><html><div style="display: none;"></html><ref>대한국의 행정수반으로 실질적으로 군에 대한 통수권을 행사한다.</ref><html></div></html>
|-
|-
| rowspan="2" class="text-[#373a3c] bg-[#d2cfca] !dark:text-[#ddd] !dark:bg-[#423f3a]" | '''지휘·감독권자'''<ref>군령권과 군정권을 지휘한다.</ref>
| rowspan="2" class="text-[#373a3c] bg-[#d2cfca] !dark:text-[#ddd] !dark:bg-[#423f3a]" | '''지휘·감독권자'''<ref>군령권과 군정권을 지휘한다.</ref>

2024년 6월 16일 (일) 14:36 판

공지
| 빌레펠트 연재부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대한국 국군
大韓國國軍
Empire of Korea Armed Forces
국가 대한국
소속 대한국 국방부[군정권]

대한국 원수부[군령권]
통수권자[1] 경덕제 (대한제국 황제)[명목적]
유승민 (대한국 내각총리대신)[실질적]
지휘·감독권자[4] 신원식은 아님 (대한국 국방대신)[군정권]
해군 대장 김명수 (대한국 원수부 총관)[군령권]
상비군 72만여 명[5] (2022년 국방백서)
예비군 310만여 명[6] (2022년 국방백서)
병역제도 양성 징병제
육군력
[ 펼치기 · 접기 ]
3.5세대 전차 1,977대[7]
3세대 전차 1,051대[8]
2세대 전차 0대
1세대 전차 0대
중형전차 251대[9]
전차 총합 3273대
병력수송장갑차 7,021대[10]
보병전투차 2,005대[11]
소형전술차 10,000대[12]
견인포 3,500문 [13]
박격포 14,900문+[14]
자주포 3,150문[15]
야포 총합 5,600문[16]
다연장로켓 310문+[17]
지대지 유도무기 60기
해군력
[ 펼치기 · 접기 ]
해군 함정 총합 321척
전투함정 총합 179척
상륙함정 총합 30척
소해정 총합 20척
지원함정 총합 40척
잠수함정 총합 52척
주력 수상함
10,000톤 이상-15,000톤 미만
방공구축함
7척[18]
8,000톤 이상-9,000톤 미만
방공구축함
14척[19]
5,000톤 이상-6,000톤 미만
구축함
12척[20]
3,000톤 이상-4,000톤 미만
구축함
15척[21]
6,000톤 이상-7,000톤 미만
아스널십
1척(+2척)[22]
4,000톤 이상-6,000톤 미만
방공호위함
8척(+6척)[23]
2,500톤 이상-4,000톤 미만
호위함
14척[24]
1,000톤 이상-1,500톤 미만
초계함
3척(-3척)[25]
500톤 이상-600톤 미만
미사일 고속함
24척[26]
200톤 이상-300톤 미만
미사일 고속정
22척(+18척)[27]
100톤 이상-200톤 미만
고속정
56척(-56척)[28]
항공모함, 상륙함, 군수지원함, 수송함, 지휘함
60,000톤 이상 ~ 75,000톤 미만
항공모함
1척[29]
30,000톤 이상-45,000톤 미만
경항공모함
2척[30]
15,000톤 이상-20,000톤 미만
강습상륙함
3척[31]
20,000톤 이상-25,000톤 미만
군수지원함
3척[32]
8,000톤 이상-10,000톤 미만
군수지원함
4척[33]
5,000톤 이상-10,000톤 미만
LPD, LSD
4척[34]
3,000톤 이상-5,000톤 미만
LST
4척[35]
3,000톤 이상-5,000톤 미만
기뢰부설함
2척[36]
100톤 이상-200톤 미만
공기부양정
24척[37]
잠수함
16,000톤 이상-18,000톤 미만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5척[38]
10,000톤 이상-12,000톤 미만
순항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3척[39]
7,000톤 이상-8,000톤 미만
공격 원자력 잠수함
15척[40]
3,000톤 이상-5,0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11척[41]
1,700톤 이상-1,8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9척[42]
1,100톤 이상-1,200톤 미만
재래식 잠수함
9척[43]
공군력
[ 펼치기 · 접기 ]
5세대 전투기 225기(+100기)[44]
4.5세대 전투기 426기(+50기)[45]
4세대 전투기 351기[46]
3세대 전투기 98기[47]
조기경보통제기 (AEW&C) 18기[48]
해상초계기 26기[49]
공중급유기 20기[50]
고고도 무인 정찰기 6기[51]
전투임무기 총합 1100기
공중기동기 총합 100기
감시통제기 총합 140기[52]
훈련기 총합 400기
공군기 총합 1740기
헬리콥터 1400기[53]
항공기 총합 3140기
예산
국방비 (GDP의 약 3.1%)

개요

2023년 국군의 날 134주년 열병식

대한국 국군(大韓國國軍, KOR Armed Forces)은 대한국의 정규군이다. 육군, 해군, 공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군 예하에 해병대를 두고 있다. 줄여서 '한국군(韓國軍)', 또는 '국군(國軍)'이라고도 한다.

조선군이 그 전신이며, 대한국 선포 이후 한청전쟁과 한러전쟁, 세계대전 등 굵직한 전쟁에 참가하며 성장했다. 세계에서 손 꼽히는 강력한 군사력과 핵전력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막강한 포병 및 기갑전력은 한국군의 자랑이다.

대한국 헌법 제74조 1항에 따라 대한국 황제는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군을 통수한다.

명칭

정식 명칭은 대한국 국군(大韓國國軍)이며, 줄여서 한국군 또는 국군이라고도 부르나, 대한제국군(大韓帝國軍)이라는 명칭 또한 공적인 자리에서까지 널리 사용된다. 과거에는 황군이라는 명칭 또한 쓰였으나, 이는 동일본군의 명칭하고 겹칠 뿐만 아니라 1차 벨트크리그 당시 일본제국군의 명칭이기도 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황군을 말한다면 과거 일본제국군을 지칭하거나, 동일본군을 뜻한다.

영어로는 Empire of Korea Armed Forces, 줄여서 KOR Armed Forces라고 한다.

특징

강력한 대양함대와[54]공군전력 또한 미국, 독일과 견줄만한 수준이나 한국군의 가장 큰 강점은 강력한 전력의 육군 전력이다. 칼터크리그가 끝난 지금에도 한국군은 비대한 규모를 유지하고 있으며, 특히나 육군의 막강한 기갑 및 포병전력은 타국과의 비교를 불허한다.

하지만 이러한 한국군의 화력 중심 교리는 특유의 인명 경시 분위기를 형성했는데, 만주전쟁에서 크게 데인 이후 완화된 지금에도 한국군 보병의 개인 장구류는 타국에 비해 부실한 편이다.

선진국 중에 특이하게 징병제도를 유지하고 있는 몇 안되는 국가기도 한데, 이는 한국군이 비대한 군 규모를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는 이유기도 하다. 칼터크리그 체제가 데탕트로 완화된 현대에도 동북아시아는 여전히 대규모 전면전이 일어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며,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군은 여전히 소규모의 정예군이 아닌 대규모의 비대한 군대를 유지하고 있다.

역사

근대화 이전

개화기

조불수호통상조약 이후 조선은 쇄국정책을 끝내고 굳게 닫은 나라의 문을 열었다. 조선 사회 전체에 이전까지는 볼 수 없었던 거대한 변화의 바람이 불기 시작했고, 이는 전근대적인 군대에 머물러 있던 조선군 또한 마찬가지였다.

각주

  1. 국가원수의 권한으로서 군에 관한 모든 것을 통솔할 수 있다.
  2. 대한국 황제는 대한국의 상징적 국가원수로 군에 대한 통수권을 지닌다.
  3. 대한국의 행정수반으로 실질적으로 군에 대한 통수권을 행사한다.
  4. 군령권과 군정권을 지휘한다.
  5. 육군 48만 + 해군(해병대 27, 800명 포함) 12만 + 공군 12만
  6. 사관후보생, 전시근로소집, 전환/대체 복무 인원 등 포함.
  7. 33식 3호 주력전차 E2형 1027대, 33식 3호 주력전차 A3형 484대, 29식 4호 주력전차 흑표 466대.
  8. 33식 3호 주력전차.
  9. 12식 보병전투차량 120mm.
  10. 29식 장갑차, 23식 장갑차 806, 43식 상륙돌격장갑차.
  11. 12식 보병전투차량, 23식 장갑차 808, 23식 장갑차 808 120mm.
  12. 23식 소형전술차량 현마.
  13. 24식 155mm 견인포.
  14. 29식 60mm 박격포, 2식 81mm 박격포, 25식 120mm 박격포.
  15. 5식 자주곡사포 A1, 30식 자주곡사포 A1, 23식 차륜형 자주곡사포 풍익.
  16. 해병대 포함
  17. 해병 포함. GMARS, 1식 다연장로켓 구룡, 19식 다연장로켓 천무.
  18. 세종대왕급 3척, 정조대제급 3척, 성조대제급 1척.
  19. 시경신순성급 10척, 문약민영환급 4.
  20. 충무공이순신급.
  21. 광개토대왕급
  22. 태조대제급 합동화력함, 2척 추가 건조 예정.
  23. 충남급 8척, FFX Batch-IV 계획.
  24. 인천급 6척, 대구급 8척.
  25. 포항급, 2030년까지 전량 퇴역 예정.
  26. 윤영하급
  27. PKX-B, 초기형과 후기형 각각 16 + 18척 예정.
  28. 참수리급, 2030년까지 전량 퇴역 예정.
  29. 백두급 정규항공모함.
  30. 한라급 경항공모함 한라, 태백.
  31. 독도급 대형수송함 독도, 마라도, 이어도.
  32. 소양급 군수지원함 소양, 백록, 시화.
  33. 천지급 군수지원함 천지, 대청, 화천, 의암.
  34. 천왕봉급 상륙함 천왕봉, 천자봉, 일출봉, 노적봉.
  35. 고준봉급 상륙함 고준봉, 비로봉, 향로봉, 성인봉.
  36. 남포급 기뢰부설함 남포, 원산.
  37. 솔개 631급 고속상륙정
  38. 백야김좌진급 잠수함
  39. 충장공양헌수급 잠수함
  40. 여옥이범윤급 잠수함
  41. 도산안창호급 잠수함.
  42. 손원일급 잠수함.
  43. 장보고급 잠수함.
  44. Me 357 빈샤트 120기, 21식 전투기 KF-21 보라매 105기 및 추가 100기 예정
  45. 24식 전투기 KF-24U 참매 추가 50기 예정
  46. Fw 224 슈반 42기,24식 전투기 KF-24 참매 120기, 16식 다목적 전투기 FA-16 전투독수리 189기.
  47. 9식 전투기 KF-9 제공호.
  48. 1식 조기경보통제기 KA-1
  49. 37식 해상초계기 KA-37, 18식 해상초계기 KA-18.
  50. 21식 공중급유기 KC-21.
  51. He 105 4기, 26식 고고도 무인 정찰기 KQ-26 2기.
  52. 해군 포함
  53. 육군 해군 포함
  54. 대표적으로 이화함대와 청룡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