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태황제/평가 (빌레펠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그 후에도 고종은 훗날 다가올 일본과의 전쟁에 대비해 군사력 증진에 힘 썻다. 당시 한국과 일본의 체급 차이를 생각해본다면 이는 한국 재정에 상당히 부담이 가는 것이었으나, 고종의 이러한 군증 정책은 [[제1차 벨트크리그]] 당시 한국군이 일본을 막아낼 수 있게 해주었다. 결과적으로 바라본다면 고종의 외치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한러 전쟁]]이나 [[제1차 벨트크리그]]에서 한번만이라도 패배했었다면 현재까지도 한국의 국부로 추앙 받는 흥선대원왕의 개혁이 무색하게도 지금의 한국은 찾아볼 수 없었을 것이다.
그 후에도 고종은 훗날 다가올 일본과의 전쟁에 대비해 군사력 증진에 힘 썻다. 당시 한국과 일본의 체급 차이를 생각해본다면 이는 한국 재정에 상당히 부담이 가는 것이었으나, 고종의 이러한 군증 정책은 [[제1차 벨트크리그]] 당시 한국군이 일본을 막아낼 수 있게 해주었다. 결과적으로 바라본다면 고종의 외치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한러 전쟁]]이나 [[제1차 벨트크리그]]에서 한번만이라도 패배했었다면 현재까지도 한국의 국부로 추앙 받는 흥선대원왕의 개혁이 무색하게도 지금의 한국은 찾아볼 수 없었을 것이다.
==만주 개척==
현대에 들어서야 발달한 농업기술과 지속적인 개척으로 만주에서 농사를 짓는다는 것이 그리 이상하게 여겨지지는 않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만주는 오랜 청의 봉금정책과 척박한 기후로 인해 그리 살만한 땅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고종은 만주를 개척하기 위해서 전제군주로서의 자신의 리더쉽을 크게 이용했다. 아버지 흥선대원왕 지우기를 위해 노력하면서도 만주에 관해서는 아버지가 기용한 인사, 정책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확대했다.


압록강 유역에 건설된 공장들을 만주지역으로 확대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공업지대인 압록강 벨트가 등장한 것도 이 시점 부터였다. 그리고 이 공장단지들을 유지하기 위해 만주의 풍부한 자원지대를 개발해 한국 경제의 피를 수혈했다. 또한 소작민, 부랑민을 비롯한 한국 사회의 소외계층들에게 땅을 나눠주어 만주로 이주 시키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리하여 만주에 이주한 한국의 부랑민, 소작민, 공장 노동자들과 광산 노동자들은 1세대 만주 개척민이 되어 지금의 만주를 형성하였다. 만약 고종의 적극적인 만주 이주, 개발 정책이 없었다면 만주 개척은 상당히 지연되었을 것이며, 어쩌면 한국령 만주가 온전히 한국 본토로서 편입되지 못했을 수도 있다.
=부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논란이 있는 평가=
=논란이 있는 평가=

2024년 8월 10일 (토) 19:10 판

공지
| 빌레펠트 연재부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개요

조선의 26대 국왕이자 대한국의 초대 황제로서 고종의 치세는 한국 근현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 손꼽힌다. 그러나 그의 치세동안 이뤄진 대부분의 업적은 친부 흥선헌문대원왕에 의해 이뤄진 것이었으며, 아버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왕권을 행사한 시기의 행적들은 현재까지 큰 논란거리 중 하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국의 초대 황제"라는 역사 속에서의 위치 때문에 이제는 100년이나 지난 시점의 이야기임에도 공적인 자리에서 고종의 치세에 대한 논쟁을 꺼내는 것은 매우 꺼려진다.

긍정적 평가

성공적인 확장 정책

아버지 흥선대원왕이 청과의 전쟁에서 간도[1]를 확보하며 그 기반을 다졌다면, 고종은 그 기반을 통해 영토를 크게 넓혔다. 비전과 연해주 일대[2]를 제외한다면 현대 한국 판도는 사실상 고종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해도 무방하다. 특히나 이 과정에서 고종은 근대화와 자주국가로서 가장 넘기 어려운 ‘러시아’라는 관문을 통과했다. 러시아를 무너뜨림으로서 한국은(비록 당시에는 일본의 경제블록에 속해있었지만) 러시아의 위협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주독립국가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었다.

그 후에도 고종은 훗날 다가올 일본과의 전쟁에 대비해 군사력 증진에 힘 썻다. 당시 한국과 일본의 체급 차이를 생각해본다면 이는 한국 재정에 상당히 부담이 가는 것이었으나, 고종의 이러한 군증 정책은 제1차 벨트크리그 당시 한국군이 일본을 막아낼 수 있게 해주었다. 결과적으로 바라본다면 고종의 외치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한러 전쟁이나 제1차 벨트크리그에서 한번만이라도 패배했었다면 현재까지도 한국의 국부로 추앙 받는 흥선대원왕의 개혁이 무색하게도 지금의 한국은 찾아볼 수 없었을 것이다.

만주 개척

현대에 들어서야 발달한 농업기술과 지속적인 개척으로 만주에서 농사를 짓는다는 것이 그리 이상하게 여겨지지는 않지만, 당시까지만 해도 만주는 오랜 청의 봉금정책과 척박한 기후로 인해 그리 살만한 땅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고종은 만주를 개척하기 위해서 전제군주로서의 자신의 리더쉽을 크게 이용했다. 아버지 흥선대원왕 지우기를 위해 노력하면서도 만주에 관해서는 아버지가 기용한 인사, 정책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확대했다.

압록강 유역에 건설된 공장들을 만주지역으로 확대하여 한국의 대표적인 공업지대인 압록강 벨트가 등장한 것도 이 시점 부터였다. 그리고 이 공장단지들을 유지하기 위해 만주의 풍부한 자원지대를 개발해 한국 경제의 피를 수혈했다. 또한 소작민, 부랑민을 비롯한 한국 사회의 소외계층들에게 땅을 나눠주어 만주로 이주 시키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이리하여 만주에 이주한 한국의 부랑민, 소작민, 공장 노동자들과 광산 노동자들은 1세대 만주 개척민이 되어 지금의 만주를 형성하였다. 만약 고종의 적극적인 만주 이주, 개발 정책이 없었다면 만주 개척은 상당히 지연되었을 것이며, 어쩌면 한국령 만주가 온전히 한국 본토로서 편입되지 못했을 수도 있다.

부정적 평가

논란이 있는 평가

  1. 현재 연화도의 일부
  2. 현재 연화도와 북위부의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