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알랭 바디우: 두 판 사이의 차이

54번째 줄: 54번째 줄:


=== 공산주의와 철학의 정치 ===
=== 공산주의와 철학의 정치 ===
바디우는 탈철학의 정치인 민주주의에 대항하는 철학의 정치로서 공산주의를 조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공산주의는 통상적 공산주의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가령 바디우는 혁명의 중요성에 대해 인정하지 않으며 오히려 혁명이라는 워딩을 완곡하게 반대한다. 또한 공산주의와 자본주의가 경제적으로 경쟁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자본주의의 생산적 효율성을 인정하여야한다는 책을 남긴 바 있다.


== 여담 ==
== 여담 ==

2022년 11월 12일 (토) 03:58 판

이 문서는 실용 문서입니다.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편집은 할 수 없습니다.
×

이 문서는 그람시 재단의 관리 하에 있는 실용 문서입니다.
해당 문서는 그람시 재단의 소속 인원 외의 인원도 자유로이 편집할 수 있습니다.

알랭 바디우
Alain Badiou
출생 1937년 1월 17일 (87세)
프랑스령 모로코 라바트
국적 프랑스 (피에누아르)
직업 철학자, 대학 교수
학력 에콜노르말쉬페리외르
학파 신플라톤주의, 합리주의, 포스트 레닌-마오쩌둥주의[1], 포스트마르크스주의
주요 저서

개요

프랑스의 철학자, 대학 교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항하는 합리와 이성의 수호자라는 수식어가 붙어다니는 것으로 유명하다. 현대 정치 철학자 중에서 플라톤을 계승하는 것으로 일가견이 있다.

생애

루이 알튀세르에게서 철학 교육을 받았으나, 이후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알튀세르와 철학적으로 결별하였다. 1968년 68혁명 당시에 알튀세르의 영향에서 벗어나 마오주의에 열광하였고, 마오쩌둥과 레닌의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철학을 발전시켰다.

주요 개념

바디우는 플라톤, 마르크스, 알튀세르, 마오쩌둥, 레닌을 창조적으로 계승하였다. 플라톤과 마르크스를 주축으로 하여, 알튀세르를 비롯한 선대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들의 철학적 개념을 수용하고 마오쩌둥과 레닌의 정치 분석을 활용했다.

바디우 스스로는 그를 "포스트 레닌-마오쩌둥주의자"로 부르기를 선호한다.

진리와 철학에 대하여

알랭 바디우는 철학을 이데아와 같은 것으로 바라본다. 그는 진리라는 것이 존재하지만, 실재하는 대상은 아니라고 여긴다. 진리는 예술, 사랑, 과학 등 철학의 "외적인" 분야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철학은 진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해석하고, 풀이하는 등 사유를 하는 행위의 총합을 일컫는다.

따라서 바디우는 진리가 고정불변의 실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바디우는 진리가 여러가지 일 수 있으며, 그것을 해석하는 방법에 따라서도 달라지고 또 진리 자체가 여러개라 하나를 콕 찝는게 불가능하다고 여긴다. 이를 진리의 복수(復數)성이라고도 한다.

봉합

봉합이란 진리를 한정하려는 태도를 뜻한다. 바디우에 따르면 진리는 과학, 예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성되는 것인데, 몇몇 철학은 그 분야를 한정지음에 따라 중대한 오류를 범한다. 가령 분석 철학은 과학에만 진리를 한정시키는 우를 범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알랭 바디우는 기독교, 스탈린주의, 기호철학, 분석철학 등 "봉합"을 추구하는 존재들에 대해 반대한다.

바디우에 따르면, 진정한 철학이 추구해야하는 것은 모든 진리들을 평등히 검토하여 그것을 사유하는 태도로, 이를 "탈봉합"이라고도 한다.

민주주의 비판

바디우에 따르면 민주주의는 탈철학의 정치이다. 그것은 철학이라고 볼 수 없으며 봉합이라는 중대한 우를 범하고 있는 파멸의 체제이다.

공산주의와 철학의 정치

바디우는 탈철학의 정치인 민주주의에 대항하는 철학의 정치로서 공산주의를 조명한다. 여기서 말하는 공산주의는 통상적 공산주의와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가령 바디우는 혁명의 중요성에 대해 인정하지 않으며 오히려 혁명이라는 워딩을 완곡하게 반대한다. 또한 공산주의와 자본주의가 경제적으로 경쟁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자본주의의 생산적 효율성을 인정하여야한다는 책을 남긴 바 있다.

여담

  • 2013년 슬라보예 지젝과 함께 방한한 바 있다.
  • 극우 유튜버 성제준은 바디우가 자본주의를 지지했다는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한 바 있다. 바디우는 오히려 좌파 성향이 강한 프랑스 철학계에서도 극좌로 여겨지는 극단적 공산주의자인데 말이다.

각주

  1. 자신은 이러한 표현을 좋아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