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프랑스 실존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번째 줄: 3번째 줄:
== 개요 ==
== 개요 ==
1950년대 프랑스에서 전개된 좌파적 [[실존주의]] 경향성을 일컫는다. 야스퍼스, 하이데거로 대표되는 20세기 독일 실존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별 연관이 없었지만, 강단좌파의 전통이 강했던 프랑스에서는 [[장폴 사르트르]], [[모리스 메를로퐁티]] 등이 자본주의 인간소외의 대안으로 실존주의를 선택하며 좌파적인 실존주의가 전개되었다.
1950년대 프랑스에서 전개된 좌파적 [[실존주의]] 경향성을 일컫는다. 야스퍼스, 하이데거로 대표되는 20세기 독일 실존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별 연관이 없었지만, 강단좌파의 전통이 강했던 프랑스에서는 [[장폴 사르트르]], [[모리스 메를로퐁티]] 등이 자본주의 인간소외의 대안으로 실존주의를 선택하며 좌파적인 실존주의가 전개되었다.
== 상세 ==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은 당대 철학의 경향성을 보았을 때 상당히 특이한 조류에 속하였다. 하이데거와 같은 독일의 실존주의자들은 프랑스 실존주의가 자신들의 철학과 별 상관이 없다고 여겼고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들<ref>루이 알튀세르, 앙리 르페브르 등</ref>과 공산당 지도부는 실존주의 철학을 "관념론"으로 치부해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프랑스의 좌파 실존주의는 프랑스 대학생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얻으며 대중적인 공산주의 운동에서 큰 지분을 차지하게 된다.
계보적으로 보자면 프랑스 실존주의와 독일 실존주의가 인식했던 당대 위기 상황은 전반적으로 비슷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하이데거의 철학에서 중요한 부분인 고향상실(heimatlos)은 자본주의 산업화에 대한 실존주의 철학의 문제 의식을 대표한다. '''그러나''' 후기 하이데거 철학에서 고향상실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은 자연경외이기 때문에 산업화와 경제결정론을 주장하는 마르크스주의와 엄청난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런데 사르트르나 카뮈는 그런 것을 모르고 전기 하이데거의 철학만을 받아들였다고 하이데거가 직접 평가를 한 바 있다.
== 같이 보기 ==
* [[실존주의]]
* [[현상학]]
* [[서구 마르크스주의]]
----
----

2023년 6월 4일 (일) 15:14 판

이 문서는 실용 문서입니다. 사실에 기반하지 않은 편집은 할 수 없습니다.
×

이 문서는 그람시 재단의 관리 하에 있는 실용 문서입니다.
해당 문서는 그람시 재단의 소속 인원 외의 인원도 자유로이 편집할 수 있습니다.

개요

1950년대 프랑스에서 전개된 좌파적 실존주의 경향성을 일컫는다. 야스퍼스, 하이데거로 대표되는 20세기 독일 실존주의는 마르크스주의와 별 연관이 없었지만, 강단좌파의 전통이 강했던 프랑스에서는 장폴 사르트르, 모리스 메를로퐁티 등이 자본주의 인간소외의 대안으로 실존주의를 선택하며 좌파적인 실존주의가 전개되었다.

상세

프랑스의 실존주의 철학은 당대 철학의 경향성을 보았을 때 상당히 특이한 조류에 속하였다. 하이데거와 같은 독일의 실존주의자들은 프랑스 실존주의가 자신들의 철학과 별 상관이 없다고 여겼고 프랑스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들[1]과 공산당 지도부는 실존주의 철학을 "관념론"으로 치부해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프랑스의 좌파 실존주의는 프랑스 대학생들 사이에서 높은 인기를 얻으며 대중적인 공산주의 운동에서 큰 지분을 차지하게 된다.

계보적으로 보자면 프랑스 실존주의와 독일 실존주의가 인식했던 당대 위기 상황은 전반적으로 비슷했던 것으로 보여진다. 하이데거의 철학에서 중요한 부분인 고향상실(heimatlos)은 자본주의 산업화에 대한 실존주의 철학의 문제 의식을 대표한다. 그러나 후기 하이데거 철학에서 고향상실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은 자연경외이기 때문에 산업화와 경제결정론을 주장하는 마르크스주의와 엄청난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런데 사르트르나 카뮈는 그런 것을 모르고 전기 하이데거의 철학만을 받아들였다고 하이데거가 직접 평가를 한 바 있다.

같이 보기


  1. 루이 알튀세르, 앙리 르페브르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