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솔피/2: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구맥요}}
{{구맥요}}
{{다른 뜻 설명|문성 시대에 대한 내용은 [[문성 시대 (구맥요)|문성 시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다른 뜻 설명|문성 시대에 대한 내용은 [[문성 시대 (구맥요)|문성 시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역대 대조선국 대군주}}
{{역대 대한 황제}}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bf1400; font-size:10.5pt"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1b0e64; font-size:10.5pt"
|-
|-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E3BA62" | 경조 관련 틀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 #E3BA62" | 경조 관련 틀
|-
|-
| <div class="mw-customtoggle-Yiwu_1"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div class="mw-customtoggle-Yiwu_1"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12번째 줄: 12번째 줄:
{| style="margin:4.0px 0px -6.0px 0.0px; 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style="margin:4.0px 0px -6.0px 0.0px; 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 {{역대 심왕}}
| {{역대 대조선국 대군주}}
----
{{역대 심왕}}
----
----
{{역대 화태왕}}
{{역대 화태왕}}
28번째 줄: 30번째 줄:
----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450px; font-size:10pt; float:right; border:2px solid #; color:#000"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450px; font-size:10pt; float:right; border:2px solid #; color:#000"
! colspan="2"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E3BA62" | [[대조선국 대군주 (구맥요)|{{color|#E3BA62|대조선국 제3대 대군주}}]]<br>{{large|경조 <nowiki>|</nowiki> 景祖}}
! colspan="2"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 #E3BA62" | [[대한 황제 (구맥요)|{{color|#E3BA62|대한 초대 황제}}]]<br>{{large|장종 문황제 <nowiki>|</nowiki> 莊宗 文皇帝}}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Prince Yi Wu 01.jpg]]</div>
! colspan="2"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 #E3BA62" |
<div class="mw-customtoggle-Yichang_2" style="text-align: center; color: #E3BA62; font-size: 10.5pt"><div style="margin: -2px">'''[ 기타 작위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Yichang_2"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margin: 0px -15px 0px; background: 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left">
{| style="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출생
! colspan="2"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72000, #bf1400 20%, #bf1400 80%, #972000); color: #E3BA62" | [[대조선국 대군주 (구맥요)|{{color|#E3BA62|대조선국 제3대 대군주}}]]<br>{{large|장종 현선대왕 <nowiki>|</nowiki> 莊宗 賢宣大王}}
| 1912년 11월 15일
|-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희령황제 어진영 (충신불사이군).jpg]]</div>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출생
| 1940년 11월 9일
|-  
|-  
| [[황성 한경부 (구맥요)|황성 한경부]] [[사동궁 (구맥요)|사동궁]]  
| [[황성 한경부 (구맥요)|황성 한경부]] [[덕수궁 (구맥요)|덕수궁]] [[덕수궁병원 (구맥요)| 덕수궁병원]]
|-
|-
! rowspan="2"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즉위
! rowspan="2"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즉위
| 1917년 3월 22일
| 1991년 4월 5일
|-
|-
| [[황성 한경부 (구맥요)|황성 한경부]] [[경복궁 (구맥요)|경복궁]] [[경복궁 태극전 (구맥요)| 태극전]]
| [[황성 한경부 (구맥요)|황성 한경부]] [[경복궁 (구맥요)|경복궁]] [[경복궁 근정전 (구맥요)| 근정전]]
|-
|-
! rowspan="2"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천붕
! rowspan="2"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천붕
| 1991년 4월 5일 (향년 79세)
| 2018년 4월 27일 (향년 77세)
|-
|-
| [[황성 한경부 (구맥요)|황성 한경부]] [[창덕궁 (구맥요)|창덕궁]] 양관
| [[상경 심양부 (구맥요)|상경 심양부]] [[인흥궁 (구맥요)|인흥궁]] 동덕전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능묘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능묘
| [[경릉 (구맥요)|경릉]](景陵)
| [[희릉 (구맥요)|희릉]](熙陵)
|-
|-
! rowspan="4"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재위기간
! rowspan="4"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재위기간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대조선국 왕태자'''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대한 황태자'''
|-
|-
| 1895년 1월 12일 ~ 1917년 3월 22일
| 1967년 2월 25일 ~ 1991년 4월 5일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대조선국 제3대 대군주'''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대한 제2대 황제'''
|-
|-
| 1917년 3월 22일 ~ 1991년 4월 5일
| 1991년 4월 5일 ~ 2018년 4월 27일
|-
|-
| colspan="2" |
| colspan="2" |
65번째 줄: 77번째 줄:
{| style="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style="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본관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본관
| [[전주 이씨]]
| [[전주 이씨]]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휘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휘
| ()
| ()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부모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부모
| 양부 [[신종 (구맥요)|신종]], 양모 [[순정왕태후 (구맥요)|순정왕태후]]{{구분선}}친부 [[의왕 (구맥요)|의왕]], 친모 [[의왕비 (구맥요)|의왕비]]
| 부황 [[경조 인황제 (구맥요)|경조 인황제]], 모후 [[청헌인황후 (구맥요)|청헌인황후]]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형제자매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형제자매
| 형 [[흥왕 (구맥요)|흥왕]]
| 형 [[효광태자 (구맥요)|효광태자]]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왕후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황후
| [[청헌인황후 (구맥요)|청헌인황후]]
| [[혜숙문황후 (구맥요)|혜숙문황후]]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자녀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자녀
| 장남 [[이청 (구맥요)|이청]]<br>차남 [[장종 (구맥요)|장종]]
| 장남 [[이창 (구맥요)|이창]]<br>차남 [[단왕 (구맥요)|단왕]]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학력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학력
| [[강학원 (구맥요)|강학원]] 유치원 <small>(수료)</small><br>[[강학원 (구맥요)|강학원]] 초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 (구맥요)|강학원]] 중등과 <small>(졸업)</small><br>[[돈녕대학 (구맥요)|돈녕대학]] <small>(졸업)</small><br>육군무관학교 <small>(졸업)</small>
| [[강학원 (구맥요)|강학원]] 유치원 <small>(수료)</small><br>[[강학원 (구맥요)|강학원]] 초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 (구맥요)|강학원]] 중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대학 (구맥요)|강학원대학]] <small>(졸업)</small><br>해군무관학교 <small>(졸업)</small>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병역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병역
| [[대조선국 국군 (구맥요)|대조선국 국군]] 대원수
| [[대조선국군 (구맥요)|대조선국 육해공군]] 대원수<br>[[심양군 (구맥요)|심양 육군]] 대원수<br>[[화태군 (구맥요)|화태 육해군]] 대원수<br>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종교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종교
| [[유교]] <small>([[성리학]])</small>
| [[유교]] <small>([[성리학]])</small>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아명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아명
| 성길(成吉)
| 명길(明吉)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호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호
| 상운(尙雲)
| 해화(海和)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전호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전호
| 흥영전(興永殿)  
| 제정전(齊貞殿)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묘호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묘호
| 경조(景祖)
| 장종(莊宗)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존호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존호
|  
|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시호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시호
|  
|-
| <small>대한:</small> 혜막직렬사밀현선'''문황제'''<br>(慧幕直烈思密賢宣'''文皇帝''')<ref>완전한 시호는 '''장종혜막직렬사밀현선문황제(景祖慧幕直烈思密賢宣文皇帝)'''이다.</ref>{{구분선}}<small>조선:</small> 성현사덕기상'''광정대왕'''<br>(慧幕直烈思密'''賢宣大王''')<ref>완전한 시호는 '''혜막직렬사밀현선대왕(慧幕直烈思密賢宣大王)'''이다.</ref>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연호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연호
| [[문성 시대 (구맥요)|문성]](文成, 1918~1991)
| [[경흥 시대 (구맥요)|경흥]](更興, 1992~2018)
|-
|-
|}</div></div>  
|}</div></div>  
119번째 줄: 13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대조선국 (구맥요)|대조선국]]의 제3대 [[대조선국 대군주 (구맥요)|대군주]].
[[대한 (구맥요)|대한]]의 제2대 [[대한 황제 (구맥요)|황제]]이자 [[심양 (구맥요)|심양]], [[화태 (구맥요)|화태]]의 제4대 국왕.
 
휘는 우(鍝)이며, 연호는 문성(文成), 묘호는 경조(景祖), 시호는 인황제(仁皇帝)<ref>명목상 시호는 대왕으로 칭해야 하지만 [[문성유신 (구맥요)|문성유신]] 이후로 역대 대군주들과 태조, 성조의 5대조들의 묘호를 황제로 추증한 이후 공식 용어보다도 황제국의 용어로 칭하는것이 빈번해지면서, 일반 국민들은 대군주라는 칭호보다 금상이나 황제 폐하라고 칭하는 것이 대다수이며, 내각과 궁내부에서 사용하는 호칭이나 종묘에 모신 신위에서 황제로 칭하는등,‘왕’과 ‘대군주’라는 칭호보다는 ‘황제’ 라는 칭호가 더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ref>이다.
 
1917년 고작 '''5살'''이라는 조선사를 통틀어 '''최연소로 즉위'''하여 1991년 79세의 나이로 붕어하기까지 조선사와 세계사를 통틀어 가장 긴 '''74년'''이라는 세월 동안 '''최장기로 재임'''한 황제이다. 경조는 조선 근현대사를 통틀어서 가장 뛰어난 성군(聖君)으로 꼽히며, 현대 조선에서도 대제(大帝)나 성제(聖帝)<ref>명목상 시호는 대왕으로 칭해야 하지만 [[문성유신 (구맥요)|문성유신]] 이후로 역대 대군주들과 태조, 성조의 5대조들의 묘호를 황제로 추증한 이후 공식 용어보다도 황제국의 용어로 칭하는것이 빈번해지면서, 일반 국민들은 대군주라는 칭호보다 금상이나 황제 폐하라고 칭하는 것이 대다수이며, 내각과 궁내부에서 사용하는 호칭이나 종묘에 모신 신위에서 황제로 칭하는등,‘왕’과 ‘대군주’라는 칭호보다는 ‘황제’ 라는 칭호가 더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다.</ref>라는 칭호로 불릴 정도로 뛰어난 황제로 평가받는다.  


경조의 치세는 세계사적으로 가장 격동의 시기였다. 1차 대전의 종전부터 대공황과 냉전, [[문성 데모크라시 (구맥요)|문성 데모크라시]], 소련의 해체 직전까지 경조의 명의로 총 nn명에 달하는 수상의 임명장이 발행되었고, 죽기 수일 전까지 수상과 국정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는등 성실히 공무를 수행하고 황실의 특권을 줄이는 등 스스로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적극적으로 실천하려는 모습을 자주 보여 전 세계적 존경과 경의를 받아왔다. 이렇듯 조선의 최전성기를 지켜보며 조선과 심양, 화태를 위하여 평생을 바친 끝에 1991년 4월 5일, 경조는 74년에 달하는 재위 끝에 향년 79세의 나이로 창덕궁에서 붕어하였고 전 세계의 국가 정상들과 기업, 유명 인사와 수많은 대중들의 추모가 이어졌다.
휘는 종()이며, 연호는 경흥(更興), 묘호는 장종(莊宗), 시호는 문황제(文皇帝)이다.
 
1912년(경덕 18년) 11월 15일, 사동궁에서 부왕 [[의왕 (구맥요)|의왕]]과 모친 의왕비의 2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으며, 1913년 12월 23일 [[신종 (구맥요)|신종]]의 양자로 입적되게 된다. 신종은 순정효황후와 결혼했으나 사별하였고, 두 번째로 순현효황후와 결혼했지만 두 황후 사이에서 모두 자식이 없었다. 1916년 후궁 공혜황귀비 전씨 사이에서 딸 경선공주 (이진완, 李辰琬)를 낳았다. 하지만 후사를 이을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신종은 1913년 [[익왕 (구맥요)|익왕]]의 차남 이우를 양자로 입적했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당시 순현효황후가 익왕에게 종사의 대가 끊어지게 되었다고 하소연하자 익왕이 직접 이우의 손을 잡고 양자로 추천했다고 하며, 관련된 이야기가 신종실록부록에 적혀 있다.
 
이렇게 입적된 경조는 1917년 3월 22일 양부이자 선황인 [[신종 (구맥요)|신종]]이 갑작스럽게 사망함에 따라 5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선황 신종이 향년 46세라는 젊은 나이에 붕어하고, 너무도 어린 새 황제가 즉위하자 국민들은 이에 위기의식을 가졌고, 생부였던 [[의왕 (구맥요)|의왕]]이 섭정을 담당하게 된다. 의왕은 섭정에 취임하자 섭정으로써 자신의 권위를 격상시키기 위해 개화당과 자유당의 요인들을 번갈아가며 수상에 임명하게 하여 권력을 자신의 관저인 [[사동궁 (구맥요)|사동궁]]에 집중시켰다. 경조가 즉위한 1912년부터 [[문성유신 (구맥요)|문성유신]]이 일어난 1931년까지 23번 수상이 바뀌었고, 의회와 섭정인 의왕에 대한 백성들의 지지는 땅에 처박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공황 이전까지 경덕 시대와 성흥 시대의 원로들과 재벌들의 지지를 받던 의왕의 위세는 막강했는데, 황제인 경조가 친정을 시도하자, 성년인 만 20세가 안되었다는 이유로 장성한 경조의 친정을 차일피일 미루기까지 하였다. 이렇듯 나는 새도 떨어뜨릴 수 있을것 같던 의왕의 섭정기는 1931년 문성유신으로 막을 내린다.
 
문성유신으로 정권을 잡은 유동열은 의왕을 섭정직에서 끌어내렸고, 자신이 섭정에 취임하였다. 유동열은 경조가 강학원 중등과<ref>현 강학원 중등과, 고등과</ref>를 졸업하자 기존의 황족들이 의례적으로 진학하던 강학원 고등과 → 육군무관학교 코스 대신 신종이 설립한 육군무관학교를 졸업시켰고, [[돈녕대학 (구맥요)|돈녕대학]]에 진학시켜 정치외교학과와 경제학과를 수학하게 했다.
 
욱군무관학교에 재학중이던 1935년 경조는 전 수상인 박영효의 서손녀 박찬주와의 결혼을 감행한다. 당시 권력을 잃은 의왕과 유동열 모두 각자 서로 다른 가문의 여식을 황후로 추천했는데, 이들이 혼사를 본격적으로 진행하기 전에 경조가 박찬주와의 결혼을 기정 사실로 만들어버렸다. 의왕은 크게 화를 내고 약혼을 깨뜨리려야 한다고 주장 했지만, 이미 실권이 없던 의왕의 주장과 달리 박영효가 유동열을 설득했기 때문에 무사히 결혼했다고 한다. 약혼녀 박찬주와는 결혼 전에 몰래 데이트를 하거나 연애 편지도 주고 받았다. 부부 금슬도 좋아서 매년 결혼 기념일이면 뉴 그랜드 호텔 양식부에서 함께 식사를 했다고 한다.
 
생부 의왕과 떨어져 의왕과의 권력다툼을 하며 자란 경조는 유동열에게서 일종의 부성애를, 아들 없이 살아온 유동열은 경조를 일종의 아들처럼 느끼며 살아왔다고 한다. [[장종 (구맥요)|장종]]이 태어났을 때 제일 먼저 찾아간 사람이 유동열이었고, 그에게 아들의 이름을 지어달라고 부탁할 정도였다고 한다. 유동열이 수상으로 재임하던 시기 경조는 정치에 관심을 가졌으나, 유동열은 이를 만류하며 "'''폐하께서는 신의 한미한 방식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치국을 하실 것이기에 작금의 방식이 도움이 되시 않을 것입니다.'''"라며 완곡하게 거절하였다.


== 생애 ==
== 생애 ==


=== 출생과 입적 ===
=== 출생 ===
 
=== 어린 임금 ===


=== 청년기 ===
=== 청년기 ===


=== 문성유신 ===
=== 예정에 없던 황제의 길 ===
 
=== 문성 데모크라시 ===
 
=== 문성대성세 ===


=== 말년 ===
=== 즉위 ===


=== 사망 ===
=== 사망 ===
169번째 줄: 162번째 줄:
{{각주}}
{{각주}}


[[분류:구맥요]] [[분류:신종 (구맥요)]]
[[분류:구맥요]] [[분류: (구맥요)]]

2024년 1월 3일 (수) 18:18 판

틀:구맥요


대한 황제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경조 인황제 장종 문황제 이창
추존황제 · 황태자 · 황후 · 황태자비 · 대군주
고조선 · 부여 · 원삼국 · 고구려 · 백제 · 가야
신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국

경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 초대 황제
장종 문황제 | 莊宗 文皇帝
[ 기타 작위 펼치기 · 접기 ]
대조선국 제3대 대군주
장종 현선대왕 | 莊宗 賢宣大王
출생 1940년 11월 9일
황성 한경부 덕수궁 덕수궁병원
즉위 1991년 4월 5일
황성 한경부 경복궁 근정전
천붕 2018년 4월 27일 (향년 77세)
상경 심양부 인흥궁 동덕전
능묘 희릉(熙陵)
재위기간 대한 황태자
1967년 2월 25일 ~ 1991년 4월 5일
대한 제2대 황제
1991년 4월 5일 ~ 2018년 4월 27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종(淙)
부모 부황 경조 인황제, 모후 청헌인황후
형제자매 효광태자
황후 혜숙문황후
자녀 장남 이창
차남 단왕
학력 강학원 유치원 (수료)
강학원 초등과 (졸업)
강학원 중등과 (졸업)
강학원대학 (졸업)
해군무관학교 (졸업)
병역 대조선국 육해공군 대원수
심양 육군 대원수
화태 육해군 대원수
종교 유교 (성리학)
아명 명길(明吉)
해화(海和)
전호 제정전(齊貞殿)
묘호 장종(莊宗)
존호
시호
대한: 혜막직렬사밀현선문황제
(慧幕直烈思密賢宣文皇帝)[1]

조선: 성현사덕기상광정대왕
(慧幕直烈思密賢宣大王)[2]
연호 경흥(更興, 1992~2018)

개요

대한의 제2대 황제이자 심양, 화태의 제4대 국왕.

휘는 종(淙)이며, 연호는 경흥(更興), 묘호는 장종(莊宗), 시호는 문황제(文皇帝)이다.

생애

출생

청년기

예정에 없던 황제의 길

즉위

사망

가족관계 및 후사

어록

대중 매체에서

기타

상훈(賞勳)

둘러보기


  1. 완전한 시호는 장종혜막직렬사밀현선문황제(景祖慧幕直烈思密賢宣文皇帝)이다.
  2. 완전한 시호는 혜막직렬사밀현선대왕(慧幕直烈思密賢宣大王)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