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펼치기 · 접기 ]
|
| ||
[ 펼치기 · 접기 ]
|
경기도의 특례시 | |||||
---|---|---|---|---|---|
| |||||
시청 소재지 | 중원구 성남대로 997 (여수동) | ||||
광역자치단체 | 경기도 | ||||
하위 행정구역 | 4구 67행정동 | ||||
면적 | 141.63㎢ | ||||
인구 | 1,449,551명[1] | ||||
인구 밀도 | 10,234.77명/㎢ | ||||
시장 | 한태현 (초선) | ||||
시의회 | 27석[2] | ||||
17석[3] | |||||
1석[4] | |||||
도의원 | 14석[5] | ||||
의회원 의원 |
수정 갑 | 김동연 (6선) | |||
수정 을 | 한태현 (초선) | ||||
중원 | 현근택 (5선) | ||||
분당 갑 | 이파람 (4선) | ||||
분당 을 | 김병욱 (4선) | ||||
판교 | 김용 (3선) | ||||
상징 | 시화 | 철쭉 | |||
시목 | 은행나무 | ||||
시조 | 까치 | ||||
시가 | 성남시민의 노래 | ||||
지역번호 | 031 | ||||
| | | | | |
개요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한 특례시. 대한제국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 경기도 최대도시로 남으로는 용인시, 서로는 청계산을 능선으로 의왕시, 서울특별시 과천구[6], 동으로는 광주시, 북으로는 하남시,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에 접하고 있다. 일반구는 수정구, 중원구, 분당구, 판교구 등 4개가 있다.
경기도 특구 지역에 있던 천막촌에 살던 사람들을 근교로 분산시키기 위한 대단위 거주지로 개발된, 수도권에서 제일 먼저 계획적으로 개발된 위성도시이다. 이를 통해 조성된 광주대단지의 열악한 정주 환경을 참다못한 시민들이 일으킨 봉기인 광주대단지사건으로 1973년 박정희 의정부에서 성남시를 출범시켰다.
1990년대 이후 중원구 남부에 분당신도시가 조성되며 분당구로 분구되었으며, 2000년대와 2010년대에 판교신도시와 판교테크노밸리가 조성되며 분당구가 다시 분당구와 판교구로 분구되었다. 2010년대 후반부터 위례신도시가 조성 및 분양되고, 서울공항이 소재하던 신촌지구 일대가 4기 신도시로 지정되며 세가 꾸준히 확장되고 있다.
상징
성남시의 브랜드 슬로건
|
---|
김용 시정에서 제정한 슬로건이다. 신상진 시정에서 제정한 슬로건이 혹평을 받자 취임 직후 복구하였다. |
|
[ 역대 브랜드 슬로건 펼치기 · 접기 ]
|
성남시의 시정구호
|
---|
민선 10기를 맞이하여 선정된 새로운 슬로건인 "삶의 질 세계 100대 도시 - 성남은 합니다!"라는 구호를 통해 드러난 삶의 질 향상과 미래지향적 도시행정을 향한 의지를 강한 느낌의 서체로 표현 |
[ 역대 시정구호 펼치기 · 접기 ]
|
역사
성남시 행정구역 변천사 | ||||||||||||
---|---|---|---|---|---|---|---|---|---|---|---|---|
광주군 중부면, 대왕면, 돌마면, 낙생면 |
→ | 경기도 직할 성남출장소 (城南出張所, 1971) |
→ | 성남시 (城南市, 1973) |
→ | 수정출장소 (壽井出張所, 1988) |
→ | 수정구 (壽井區, 1989) | ||||
중원출장소 (中院出張所, 1988) | ||||||||||||
중원구 (中院區, 1989) |
→ | 중원구 (中院區, 1989) | ||||||||||
분당구 (盆唐區, 1991) |
→ | 분당구 (盆唐區, 1991) | ||||||||||
판교구 (板橋區, 2010) |
성남이라는 지명은 남한산성의 성곽 남쪽의 일원에서 본딴 것으로 성곽 남쪽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 남한산성의 동서남북의 관문 중 남문 앞쪽을 제외한 나머지는 경기도 광주시가 관할하고 있고, 유일하게 남문 앞 지역만이 성남시 관할로 있는데 실제로 남한산성 남문 앞쪽은 성남시 지역에 속한다. 한자 역시 城南이라고 표기하고 있으며 옛 광주군에서 분리되었던 때부터인 1973년에 시로 승격되면서 성남이라는 지명이 공식 사용되었다.
1914년까지는 광주군 세촌면, 대왕면 남부, 돌마면, 낙생면 일대였다. 그러다가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세촌면이 중부면(현 남한산성면)에 흡수되었다.
그러나 구 세촌면 지역의 행정적 불편함으로 인하여 1946년 구 세촌면 지역에 광주군 중부면 성남출장소가 설치되었다. '성남'은 남한산성(城)의 남쪽(南)에 있다는 의미로 지어졌으며, 이때부터 성남이란 지명이 공식적으로 행정상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1964년 중부면 성남출장소가 광주군 직할 성남출장소로 확대되었다. 1971년 광주군 직할 성남출장소가 중부면 일부뿐만 아니라 잔여 대왕면, 돌마면, 낙생면까지 포괄하는 경기도 직할 성남출장소로 확대되었다.
1960~70년대에 서울의 빈민들을 집단 이주시키기 위한 광주대단지가 성남출장소 지역에 조성되었으나, 미흡한 도시계획과 생업의 어려움, 정부의 외면 등 각종 문제점이 노출되어 결국 1971년 광주대단지사건이 발발하였다. 이 때 광주대단지 주민들의 요구사항 중 하나가 성남출장소의 성남시 승격이었고, 서울시가 광주대단지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전부 들어줌에 따라 1973년에 광주군 성남출장소(중부면 일부, 대왕면, 돌마면, 낙생면)가 성남시로 승격되었다.
1988년 수정출장소와 중원출장소를 설치하고, 1989년 5월 1일에 구제(區制)를 실시하여 두 출장소를 수정구, 중원구로 승격 설치하였다. 1991년 9월 17일에 분당신도시를 관할로 하는 분당구를 중원구에서 분리하여 신설하였다.
2010년 이대엽 시장의 주도로 판교신도시가 독립, 분당구가 분당구와 판교구로 분리되었다.
지리
지형
구시가지는 해발고도가 상당히 높은 편으로, 성남동, 중앙동, 단대동 등 평지 지역조차도 해발고도가 60m 이상이다. 특히 태평2~4동, 수진동, 양지동, 산성동, 신흥동, 은행동, 단대동, 상대원 고개 등 구간은 젊은 남성도 헥헥거릴 수준의 경사를 자랑한다. 이로 인해 성남 구시가지의 고등학교는 풍생고와 성남테크노과학고를 제외하고 전부 다 언덕 위에 있다.
분당신도시 대부분은 신갈단층 위에 지어졌다. 성남시 지도를 보면 시가지가 남북으로 뻗어있는 기형적인 도시구조를 볼 수 있는데, 구시가지는 그래도 원형으로 고르게 밀집해있는 반면, 분당신도시는 수인분당선을 따라 10km 가량 남북으로 길게 이어지는 도시구조를 보인다. 위성사진을 보면 경부고속도로를 따라서 서울시 송파구, 성남시, 용인시, 화성시 동탄신도시, 오산시에 이르기까지 길고 좁은 열곡 모양의 지형이 수십km 가량 남북으로 길게 뻗어있는데, 이것이 신갈단층이다.
신촌지구는 서울공항 후적지에 건설된 신도시로, 서울공항 활주로가 위치했던 탓에 대왕판교로 동측 부분은 광활한 평지 위에 지어졌다. 서쪽으로는 범바위산과 인릉산이 서울특별시와의 경계를 나누고 있다.
인구
성남시 인구 추이 (1975년~현재) |
1973년 광주군 성남출장소(중부면 일부, 대왕면, 돌마면, 낙생면) → 성남시로 승격 |
1975년 272,470명 |
1980년 376,822명 |
1985년 447,647명 |
1990년 540,690명 |
1995년 886,663명 |
2000년 924,390명 |
2005년 983,075명 |
2010년 980,190명 |
2015년 971,424명 |
2020년 940,064명 |
2025년 913,391명 |
2030년 1,083,153명 |
2035년 1,356,452명 |
2038년 1월 1,449,551명 |
행정동별 인구 통계 | |||||||||||||||||||||||||||||||||||||||||||||||||||||||||||||||||||
---|---|---|---|---|---|---|---|---|---|---|---|---|---|---|---|---|---|---|---|---|---|---|---|---|---|---|---|---|---|---|---|---|---|---|---|---|---|---|---|---|---|---|---|---|---|---|---|---|---|---|---|---|---|---|---|---|---|---|---|---|---|---|---|---|---|---|---|
[ 펼치기 · 접기 ]
|
성남시의 인구수 변화를 보면 1990년에 50만을 넘긴 이후 2005년에 98만여 명까지 증가했으나, 이후 분당지역 아파트의 재건축으로 인해 인구가 꾸준히 감소해 2025년에는 91만 명까지 떨어졌다. 하지만 중원구의 재개발이 완료되기 시작하며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분당 지역 아파트 재건축이 완료되며 꾸준히 인구가 증가하였고, 신촌지구 입주까지 시작되며 2030년대 들어 인구가 폭등하기 시작했다. 앞으로 신촌지구 입주가 완료된다면 인구가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성남시 내부 갈등
분당, 판교, 위례, 신촌신도시 거주민들에게 어디에 사냐고 물었을 때 각각 분당, 판교, 위례, 신촌에 산다고 하지 성남에 산다고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중장년층처럼 노골적으로 서로의 지역을 비난하거나 무시하진 않지만, 은연 중에 지역 이야기가 나오면 미묘한 분위기가 생기는 현상이 아직 학생들에게도 많이 남아있다. 용인시처럼 도심과 지역 중심이 떨어져 있기 때문이 아니라, 사실상 원도심 지역에 대한 우월 의식이 포함된 것으로, 본시가지 주민들은 분당, 판교, 위례도 성남이라며 화를 낸다.
일부 신도시 주민들이 수정구, 중원구에 대해 못 사는 동네라는 식의 비하 발언을 하여 일부 주민들 간에 감정이 안좋은 경우도 많다. 이러한 감정의 원인에는 성남시 당국의 분당구민에 대한 노골적인 '돈줄' 취급에 대한 분노가 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페이스북에서 분당구민들이 중원구, 수정구 지역을 '구성남' 혹은 '구시가지'라고 지칭했을 때 수정구, 중원구 주민들의 반발이 상당하다. 물론, 이에 맞서 수정구, 중원구에서 분당을 까는 발언으로는 똥통(糞당)이 있다. 개발이전의 분당지역은 대부분 논밭이었기 때문에 나온 이야기이다.
수정구와 중원구민들은 서울 개발 과정에서 쫓겨난 가난한 이주민인 만큼, 이러한 비하를 참기 어려운 것은 당연하다. 한편 분당 토박이들은 분당시 독립[7]까지 주장했던 사람들인 만큼, 이러한 갈등이 나오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분당과 판교 안에서도 미묘하게 갈등이 존재한다. 분당에서는 집값이 비싼 서현시범단지, 정자동 등이 집값이 낮은 야탑과 미금 등에 비해 우월하다고 주장하는 글들이 부동산 관련 사이트에서는 상당수 존재한다. 판교신도시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집값이 더 비싼 동판교(백현동/삼평동)가 집값이 낮은 서판교(판교동/운중동)보다 더 우월하다고 주장하는 글들이 부동산 관련 사이트에 상당수 존재한다.
물론 시간이 지나면서 여수동과 도촌동, 야탑동 사이의 간극이 빼곡한 개발로 메워지고, 본시가지 지역도 전면 재개발을 통해 깔끔한 신도시로 거듭나고 있는 만큼 이러한 갈등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도시 구조
성남 본시가지
신촌신도시
분당구
판교구
교통
자세한 내용은 성남시/교통 (플로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경제
산업
상권
금융
생활문화
교육
공원
영화관
전시장
의료기관
스포츠
정치
하위 행정구역
여담
대중문화 속의 성남
출신 인물
자매도시
하위문서
둘러보기
- ↑ 2038년 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 ↑ 성남시 가선거구 (수정구 신흥1동, 신흥2동, 신흥3동, 단대동, 산성동, 양지동): 김틀니
성남시 나선거구 (수정구 태평1동, 태평2동, 태평3동, 태평4동, 수진1동, 수진2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다선거구 (수정구 복정동, 위례1동, 위례2동, 위례3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라선거구 (수정구 신촌동, 오야동,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김틀니,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마선거구 (수정구 둔전동, 고등1동, 고등2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바선거구 (중원구 은행1동, 은행2동, 금광1동, 금광2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상대원4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사선거구 (중원구 하대원동, 중앙동, 성남동, 여수동, 도촌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아선거구 (분당구 서현1동, 서현2동, 서현3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자선거구 (분당구 서현4동, 분당동, 장안동): 김틀니
성남시 차선거구 (분당구 수내1동, 수내2동, 수내3동, 정자동,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 정자4동): 김틀니,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카선거구 (분당구 금곡동, 구미동, 구미1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타선거구 (판교구 백현1동, 백현2동, 삼평동, 판교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파선거구 (판교구 이매1동, 이매2동, 야탑1동, 야탑2동, 야탑3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하선거구 (판교구 운중동, 석운동, 산운동, 대장동): 김틀니 - ↑ 성남시 가선거구 (수정구 신흥1동, 신흥2동, 신흥3동, 단대동, 산성동, 양지동): 김틀니
성남시 나선거구 (수정구 태평1동, 태평2동, 태평3동, 태평4동, 수진1동, 수진2동): 김틀니
성남시 다선거구 (수정구 복정동, 위례1동, 위례2동, 위례3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라선거구 (수정구 신촌동, 오야동,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김틀니
성남시 마선거구 (수정구 둔전동, 고등1동, 고등2동): 김틀니
성남시 바선거구 (중원구 은행1동, 은행2동, 금광1동, 금광2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상대원4동): 김틀니
성남시 사선거구 (중원구 하대원동, 중앙동, 성남동, 여수동, 도촌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아선거구 (분당구 서현1동, 서현2동, 서현3동): 김틀니
성남시 자선거구 (분당구 서현4동, 분당동, 장안동): 김틀니
성남시 차선거구 (분당구 수내1동, 수내2동, 수내3동, 정자동,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 정자4동): 김틀니
성남시 카선거구 (분당구 금곡동, 구미동, 구미1동): 김틀니
성남시 타선거구 (판교구 백현1동, 백현2동, 삼평동, 판교동): 김틀니, 김틀니
성남시 파선거구 (판교구 이매1동, 이매2동, 야탑1동, 야탑2동, 야탑3동): 김틀니
성남시 하선거구 (판교구 운중동, 석운동, 산운동, 대장동): 김틀니 - ↑ 성남시 바선거구 (중원구 은행1동, 은행2동, 금광1동, 금광2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상대원4동): 김틀니
- ↑ 성남시 제1선거구 (수정구 신흥1동, 신흥2동, 신흥3동, 단대동, 산성동, 양지동): 김틀니
성남시 제2선거구 (수정구 태평1동, 태평2동, 태평3동, 태평4동, 수진1동, 수진2동)
성남시 제3선거구 (수정구 복정동, 위례1동, 위례2동, 위례3동): 김틀니
성남시 제4선거구 (수정구 신촌동, 오야동, 심곡1동, 심곡2동, 심곡3동): 김틀니
성남시 제5선거구 (수정구 둔전동, 고등1동, 고등2동): 김틀니
성남시 제6선거구 (중원구 은행1동, 은행2동, 금광1동, 금광2동, 상대원1동, 상대원2동, 상대원3동, 상대원4동): 김틀니
성남시 제7선거구 (중원구 하대원동, 중앙동, 성남동, 여수동, 도촌동): 김틀니
성남시 제8선거구 (분당구 서현1동, 서현2동, 서현3동): 김틀니
성남시 제9선거구 (분당구 서현4동, 분당동, 장안동): 김틀니
성남시 제10선거구 (분당구 수내1동, 수내2동, 수내3동, 정자동, 정자1동, 정자2동, 정자3동, 정자4동): 김틀니
성남시 제11선거구 (분당구 금곡동, 구미동, 구미1동): 김틀니
성남시 제12선거구 (판교구 백현1동, 백현2동, 삼평동, 판교동): 김틀니
성남시 제13선거구 (판교구 이매1동, 이매2동, 야탑1동, 야탑2동, 야탑3동): 김틀니
성남시 제14선거구 (판교구 운중동, 석운동, 산운동, 대장동): 김틀니 - ↑ 과천구로 연결되는 도로는 없어 의왕시와 안양시를 지나가야 한다.
- ↑ 단순히 성남시민으로 사는게 싫었다기보단 당시 분당구민은 대부분 강남에서 내려온 부유층이 주류였고, 따라서 분당구의 세금으로 성남시 전체를 먹여살릴 정도였다. 내가 낸 세금이 내가 살지않는 지역발전에 이용되고 있었으니 이런 주장이 나온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