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솔피/2

총무처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한국
중앙행정기관
1부 12부 22청 [ 펼치기 · 접기 ]

대한국 내각
[ 펼치기 · 접기 ]
총무처
總務處 | Ministry of General Secretariat
약칭 MGS
설립일 건흥 23년(1948) 7월 17일
전신 총무청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구 209 (세종로)
내각총리대신 주호영
정무대신 하단 표 참조
총무장관
차장
차장
차장
하위 기관 국무총리비서실
국가안보실
내각인사국
내각공보국
직원 수 1421명
 |  |  |  | 
총무처가 있는 내각중앙청사 갑호관 전경

개요

정부조직법 제14조(내각사무처)
①국무회의의 의안정리 및 서무, 법령 및 조약의 공포, 국무총리의 직무 보좌, 중앙행정기관의 행정의 지휘ㆍ감독, 정책 조정 및 사회위험ㆍ갈등의 관리, 정부업무평가 및 규제개혁, 공무원의 인사관리, 행정기관의 조직 및 정원의 관리, 행정사무의 개선, 상훈, 공무원연금, 공무원교육훈련의 제도 및 계획, 정부청사의 수급 및 관리에 관한 사무, 기타 서무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게 하기 위하여 국무총리소속하에 내각사무처를 둔다.

내각사무처는 내각사무처장관이 이끄는 한국의 행정기관 중 중추기관으로, 국무총리를 직접적으로 보좌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국무총리의 보좌, 내각(행정)의 국무. 주요 정책의 기획·입안·조정등을 담당한다.

역사

구성과 직제

내각사무처장관

내각사무처의 수장은 내각사무처장관이다. 사무처장관은 국무총리처 장관을 겸하면서 내각사무처를 통솔하고 내각의 여러 사무에 대해 행정 부서간의 조정 역할을 담당하며, 또한 내각 사무에 대해 국회 원내교섭단체간의 조정 역할도 담당한다. 그리고 정부의 공식 정견을 발표하는 대변인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내각사무처장관은 한국 내에서 매우 강력한 정치적 위치를 가지는데, 집무실이 총리 집무실 바로 옆에 있으며 총리와 동일한 수준의 공무비를 배정받으며, 관료집단 최상위층의 인사권을 쥔 내각인사국을 통제하는 직위이기 떄문이다. 또한 모든 부서 및 행정기관을 총망라하며 업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사무처장관은 차기 총리의 등용문 격으로 인식된다. 총리와 함께 언론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아서 인지도가 높고 그에 걸맞게 내각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높은 직위이다. 총리의 측근이 임명되는게 보통이다. 통산·연속 최장기 사무처장관은 원희룡이다. 그는 2011년 12월부터 2017년 4월까지 5년 5개월을 오세훈 내각의 사무처장관으로 재직하였다. 역대 관방장관의 면면을 살펴보면 이명박, 오세훈 등 사무처장관직을 거쳐 거쳐 총리에 오른 사례가 여럿 존재한다.

역대 내각사무처장관

틀:역대 내각사무처장관 (90년 체제)

근무

사건·사고·논란


대한제국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대한제국 관련 문서


대한제국
大韓帝国 | Empire of Korea
국기 국장
광명천지
상징
국가 애국가
국화 이화문 (관습상)[1]
역사
[ 펼치기 · 접기 ]
• 건국 1392년 8월 5일

• 태조 고황제 즉위 1392년 8월 13일
중조 장황제 즉위 1849년
경술정사 1851년
• 조미선린조약 1854년
무오경장 1859년
성조 대제 즉위 1863년
유구 국왕 책봉 1887년
한청전쟁 1887년~1888년
칭제건원 1888년 7월 17일
대한국 국제 공포 1889년
한노전쟁 1905년
서수국왕 책봉 1905년
서수통감부 설치 1906년
서백리 출병 1918년
순종 황제 즉위 1924년
혁신 내각 수립 1932년
문조 황제 즉위 1946년
대한제국 헌법 공포 1947년 11월 3일
한양올림픽 1964년
플라자 합의 1985년
문경황제 즉위 1993년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경성 한성부(京城 漢城府)[2]
최대 도시
면적
2,662,180km²
주변국
서수국, 북지나, 노서아 연방, 몽강국, 몽골국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인구 1억 5,307만 3,797명 (2023년)
밀도 57.49명/㎢
출산율 1.39명 (2022년)
민족 구성 한인 (93.13%)
서수인 (2.43%)
지나인 (1.87%)
외국인 (2.57%)
공용어 한국어 (사실상)[3]
공용 문자 국문, 한문 (법정 문자)
종교 국교 없음 (정교 분리)
구성 성리학 (21%)
불교 (15%)
천도교 (13%)
대종교 (3%)
기독교 (2%)
무종교 및 기타 (44.63%)
군대 대한제국군
주둔군 주한미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가급지방조직 13(道), 1(島), 4(府)
나급지방조직 35부 220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4], 자유민주주의, 단일국가, 의원내각제, 양원제, 일당 우위 정당제, 다당제, 성문법주의(대륙법계)
민주주의 지수 8.99점, 완전한 민주주의 (2023년)
(167개국 중 16위, 아시아 1위)
대황제[5]
(국가원수)
이율
정부
요인
내각의정대신
(정부수반)
주호영
귀족원 의장 강창희
민의원 의장 김진표
대심원 장관 이종석
여당 틀:신보수당 (산성)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자본주의시장 경제
GDP
(PPP)
전체 GDP $4조 4,231억(2023년 IMF 기준) | 세계 8위
1인당 GDP $54,036(2023년 IMF 기준) | 세계 36위
GDP
(명목)
전체 GDP $3조 1,120억(2023년 IMF 기준) | 세계 7위
1인당 GDP $38,019(2023년 IMF 기준) | 세계 28위
국부 $13조 8,330억(2023년) | 세계 7위
무역 수출 $$6,445.4억(2023년)
수입 $$6,150.5억(2023년)
외환보유액 $1,483억 8,700만(2023년)
신용 등급 무디스 Aa2
S&P AA
Fitch AA-
화폐 공식 화폐 대한국 원(₩, won)
ISO 4217 KRW
단위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문경(咸和)
시간대 UTC+9 (대한국 표준시)
도량형 SI 단위[6]
운전석
(통행방향)
오른쪽(우측통행)
외교
[ 펼치기 · 접기 ]
유엔 가입 1949년 2월 15일
유엔회원국
승인여부
192개국 승인
수교국 192개국
ccTLD
.kr, .한국
국가 코드
410, KOR, KR
국제전화코드
+82[7]
차량 통행 방향
오른쪽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개요

8K로 촬영된 대한의 수도 경성의 모습

대한국(大韓國)은 동아시아의 한반도에 위치한 입헌군주국이다.. 약칭 대한(大韓), 한국(韓國)이다. 국호인 대한국은 1946년에 시행된 대한국 헌법에 의해 성립되었다. 대한국은 정치적으로는 양원제 의원내각제입헌군주제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대한 헌법 제1조에 따라 '통치권을 총람'하며 동시에 '대한국 국민의 총의에 의하여 군림'[8]하는 대황제가 국가원수의 지위[9]를 맡으며, 귀족 작위를 수여 받거나, 칙선 의관으로 구성된 중추원(상원)과 국민의 직접 선거를 통해 선출된 민의원(하원)으로 구성되는 대한국 국회가 병존한다. 정부의 수반은 국회의원 가운데에서 선출되는[10] 내각총리대신이 담당하며, 대한국 총리는 국가행정의 책임자로서 총무처를 구성[11]하고 중앙부청을 지휘한다. 현재의 대황제는 이창, 국회의 집권여당은 대한독립당이며 내각총리대신은 주호영이다. 대한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선진국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강대국이다. 한국 원은 대한국의 높은 경제 수준과 안전성으로 안전자산으로 평가받기도 하는 신뢰성이 높은 통화이다. 이 때문에 원화는 미국 달러, 유로, 엔화, 위안, 영국 파운드와 함께 무역통화로 꼽힌다. 대한의 GDP는 프랑스에 이은 세계 7위이며, PPP는 세계 10위, 금 보유고 세계 5위, 주식시장 규모 세계 7위, 대외순자산 규모 세계 3위 및 국제통화기금(IMF) 투표권은 세계 5위이다. 비서양권 국가 중 일본과 더불어 유일한 G7 회원국이자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참여국, 아시아개발은행(ADB) 참여국이며, 유네스코 예산 분담률 6위, UN 분담률 5위로서 전세계적으로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는 국가이다.

국가 상징

국명

국기

국장

국가

역사

자연 환경

인문환경

행정구역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단위

창작물

서수국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틀:서수 관련 문서 (산성)


서수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서수국
瑞穗国 | State of Mizuho
파일:서수국 국기 (산성).svg
국기 국장
상징
국가 기미가요
국화 세 잎 접시꽃, 벚꽃
국조 서수꿩
역사
[ 펼치기 · 접기 ]
지리
[ 펼치기 · 접기 ]
수도 강도부
북위 35°1′15.7″ 동경 135°45′20.1″
최대 도시 강도부
북위 34°41′10.8″ 동경 135°31′11.5″
면적 내수면 비율 3.5%
접경국
(인접국)
틀:나라자료 대한제국 (산성) (해상접경국)
틀:나라자료 유구국 (산성) (해상접경국)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총 인구 60,372,010명(2029년) | 세계 n위
인구 밀도 n명/km2
민족 구성 서수족 (99.8%)
기타 (0.2%)
출산율 1.nn명 (2023년)
기대수명 84.74세 (2023년)
언어 공용어 서수어
공용문자 한자, 가나 문자
종교 국교 없음 (정교 분리)
분포 불교 36.7%
기독교 1.6%
무종교 57.0%
군대 서수군
인간개발지수 0.919(2023년) | very high | 세계 n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시정촌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입헌군주제, 자유민주주의, 의원내각제, 다당제, 양원제, 단일국가
민주주의 지수 8.15점, 민주주의 (2022년)
(167개국 중 78위, 아시아 n위)
국왕
(국가원수)
도쿠가와 츠네나리
정부
요인
내무경
(정부수반)
nnn
참의원 의장 nnn
중의원 의장 nnn
평리원
장관
nnn
여당 틀:Nn당 (산성)
  1. 사실 제국은 한 번도 국화(国花)를 법으로 정한 적은 없다. 이화문대한국 황실의 상징으로 여권 등에 쓰이나 공식적인 국화는 아니다.
  2. 흔히 타국에서 수도의 지위가 근대적 법률이나 헌법에 명시된것과 달리 한경부의 지위는 태종 4년에 수도를 한성으로 정한 바에 따라 수도의 지위를 얻게 되었고, 성천 36년(1982년) 법률 제3600호 수도권정비계획법(首都圈整備計劃法)에서 수도권을 '한성부와 칙령으로 정하는 그 주변지역'으로 정의하고 있어 수도가 한성부임을 상정하고 있고, '한성부 행정특례에 관한 법률 (漢城府行政特例에관한法律)'에서 성문법으로 수도로서의 지위가 규정되어 있으나, 엄밀히 말해 한성이 수도임을 명확히 규정한 것이 아니라 태종 4년의 조치에 따른 당연한 것으로 전제하고, 수도로서의 한성에 대해 규율하고 있다. 또한 최근 수도 이전 논의가 나오는 것도 모두 한성을 수도로 상정하고 있어 한성이 수도임을 부정하는 근거는 없다.
  3. 대한의 공용어를 한국어로 정한다는 법은 없으므로 이론상으로는 공식적인 장소에서 한국어 뿐 아니라 일본어나 중국어 등 어떤 언어로 연설이나 발표 등을 해도 무관하다.
  4. 서수와 더불어 동아에서 유일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5. 대한제국 헌법 제1조에서 "대황제는 주권을 지닌 대한국 국민의 총의에 의하여 군림하며, 이 헌법에 따라 통치권을 총람한다."라는 내용이 나온다.
  6. 관습상 척관법 혼용
  7. 해외에서 전화할 시 유선전화 지역번호(02, 031 등)나 이동전화 식별번호(010)에서 앞자리 0을 빼고 전화해야 한다. ex) 010-1234-5678에 전화를 건다고 가정하면: +821012345678로 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8. 대한국 헌법 제1조 '대황제는 주권을 지닌 대한국 국민의 총의에 의하여 군림하며, 이 헌법에 따라 통치권을 총람한다. 大皇帝는 主權을 지닌 大韓國 國民의 總意에 의하여 君臨하며、이 憲法에 따라 統治權을 總攬한다。)'에 근거한다.
  9. 헌법에 명시된 대황제의 지위는 없으나, 대한국의 헌법학계는 관습법적 인식, 헌법하의 제위계승법(帝位繼承法)의 존재 및 대한국 헌법 제7조 등을 근거로 사실상 대한국 대황제가 대한국의 국가원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대한국 헌법 제7조는 대황제의 직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군상대권(君上大權)'라고 한다.
  10. 대한국 헌법 제69조 중 '내각총리대신은 국회의원 중에서 대황제가 지명하여 민의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에 근거한다.
  11. 대한국 헌법 제68조 1항 '내각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 그 수장인 내각총리대신 및 그외 각부대신으로 이를 조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