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열황제 이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설중매}}
<noinclude>{{설중매}}</noinclude>
{{다른 뜻 설명|성녕 시대에 대한 내용은 [[성녕 시대 (설중매)|성녕 시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다른 뜻 설명|성녕 시대에 대한 내용은 [[성녕 시대 (설중매)|성녕 시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역대 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
{{역대 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1b0e64; font-size:10.5pt"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E3BA62; font-size:10.5pt"
|-
|-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 #E3BA62" | 숙조 인황제 관련 틀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bbf64ff 20%, #ebbf64ff 80%, #C19C22); color: #520000ff" | 고종 열황제 관련 틀
|-
|-
| <div class="mw-customtoggle-Yimyeon_1"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div class="mw-customtoggle-Yimyeon_1"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13번째 줄: 13번째 줄:
|-
|-
| {{궁실 (설중매)}}
| {{궁실 (설중매)}}
----
{{대한 황자/경조 ~ 인덕황제 (설중매)}}
----
{{역대 대한제국 황태자 (설중매)}}
----
----
{{역대 대한제국 태상황 (설중매)}}
{{역대 대한제국 태상황 (설중매)}}
----
----
{{역대 대한제국 황태자 (설중매)}}
{{대한 국가재건공신 (설중매)}}
----
{{역대 안전기획부장 (설중매)}}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450px; font-size:10pt; float:right; border:2px solid #1b0e64"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420px; font-size:10.5pt; float:right; border:2px solid #E3BA62"
! colspan="2"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 #E3BA62" | [[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color|#E3BA62|대한제국 제5대 황제}}]]<br>{{large|숙조 인황제 <nowiki>|</nowiki> 肅祖 仁皇帝}}
! colspan="2"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bbf64ff 20%, #ebbf64ff 80%, #C19C22); color: #520000ff" | <big>[[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color|#520000ff|대한제국 제5대 황제}}]]</big><br><big><big>고종 열황제 <nowiki>|</nowiki> 高宗 烈皇帝</big></big>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숙조 인황제 (설중매).jpg]]</div>
| colspan="2"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고조 성황제 (설중매).png]]</div>
|-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이름
| 이경(李澃) → 이산(李澃)<ref>본명은 이경이나 피휘를 위해 '맑을 경'의 발음을 '산'으로 바꾸는 방식으로 개명하였다. 본래는 고리타분한 관례인 피휘를 폐지하려 하였으나, 사민들의 격렬한 반대와 애원으로 인하여, 빡빡한 피휘의 관례를 수정하여 피휘중 가장 수위가 낮은 방식인 발음을 바꾸는 형식의 개명을 하였다. </ref>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이름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 이면(李矏)
| 천우(天祐)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자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출생
| 안천(安天)
| 1940년 1월 19일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출생
| 1938년 1월 19일
|-
|-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황실병원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황실병원
|-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붕어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붕어
| 2016년 4월 13일  
| 2019년 4월 13일 (향년 79세)
|-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덕수궁 석조전 (향년 77세)
|-
! rowspan="2"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즉위
| 1972년 11월 27일
|-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경복궁 (설중매)|경복궁]] 근정전
|-
! rowspan="6"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재위기간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대한제국 황속'''
|-
|-
| 1972년 9월 19일 ~ 1972년 11월 27일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덕수궁 석조전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대한제국 제5대 황제'''
! rowspan="4"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재위기간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대한제국 제5대 황제'''
|-
|-
| 1972년 11월 27일 2013년 11월 27일
| 1971년 10월 23일 2017년 11월 27일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대한제국 태상황'''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대한제국 태상황제'''
|-
|-
| 2013년 11월 27일 ~ 2016년 4월 13일
| 2017년 11월 27일 ~   2019년 4월 13일
|-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Yimyeon_2"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Yimyeon_2"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65번째 줄: 62번째 줄:
{| style="margin:4.0px 0px -6.0px 0.0px; width:100%; text-align:left; font-size:10.5pt"
{| style="margin:4.0px 0px -6.0px 0.0px; width:100%; text-align:left; font-size:10.5pt"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본관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본관
| [[전주 이씨]]
| [[전주 이씨]]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부모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부모
| 친부 [[승경대원왕|승경대원왕]], 친모 [[단온대원비 (설중매)|단온대원비]]{{구분선}}양부 [[창순군 (설중매)|창순군]], 양모 창순군부인
| 양부 [[신종 효황제 이훈]], 양모 경덕효황후 박씨{{구분선}}친부 [[선정대원왕 이표]], 친모 안선대원비 김씨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형제자매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형제자매
| 2남 1녀 중 차남
| 4남 1녀 중 4남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황후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황후
| [[혜승인황후 (설중매)|혜승인황후]]
| [[현인열황후 (설중매)|현인열황후]]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자녀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자녀  
| 장녀 [[강효공주 (설중매)|강효공주]]<br>장남 [[연조 덕황제 이숭|연조 덕황제]]<br>차남 [[강친왕 (설중매)|강친왕]]
| 장녀 [[강효대장공주 이수아]]<br>장남 [[연종 덕황제 이광]]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학력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학력
| [[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유치원 <small>(수료)</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초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중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고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대학 (설중매)|강학원대학]] 사회과학부 <small>(정치외교학과 / 학사)</small>
| [[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유치원 <small>(수료)</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초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중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고등과 <small>(졸업)</small><br>[[한성제국대학 (설중매)|한성제국대학]] 법학부 <small>(법학 / 학사)</small>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종교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종교
| 유교 <small>(성리학)</small> → 불교
| 유교 <small>(성리학)</small> → 불교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신장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신장
| 178cm
| 178cm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봉호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묘호
| 한경군(漢景君)
| '''고종'''(高宗)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묘호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존호
| '''숙조'''(肅祖)
| 성천태고청열의녕광무요순<br>(聖天太高淸烈義寧光武堯舜)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존호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시호
| 선덕수공이민온은장우태고철용어위<br>(宣德修恭夷敏溫隱莊友太高哲勇御魏)<br>확렬정례열각도량무공양류예결성막<br>(確烈掉禮易恪掉良武共襄類譽潔成幕)<br>흠절신목대녕통청소흥<br>(欽節神穆戴寧通淸昭興)
| 대성강덕문선신효'''열황제 '''<br>(大成康德文宣神孝'''烈皇帝''')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시호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섭정
| 성현사덕기상광정'''인황제'''<br>(聖商思德祈商光定'''仁皇帝''')<ref>완전한 시호는 '''숙조선덕수공이민온은장우태고철용어위확렬정례열각도량무공양류예결성막흠절신목대녕통청소흥성현사덕기상광정인황제(肅祖宣德修恭夷敏溫隱莊友太高哲勇御魏確烈掉禮易恪掉良武共襄類譽潔成幕欽節神穆戴寧通淸昭興聖商思德祈商光定仁皇帝)'''이다.</ref>
| [[인덕황제 이연|황태손 이연]](2011~2017)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연호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연호
| [[성녕 시대 (설중매)|성녕]](成寧, 1973~2013)
| [[성녕 시대 (설중매)|성녕]](成寧, 1975~2017)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계급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계급
| [[대한제국군 (설중매)|대한제국군 육해공군]] 대원수
| [[대한제국군 (설중매)|대한제국군 육해공군]] 대원수
|-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봉호
| 한산공(韓山公)
|-
|-
|}</div></div>
|}</div></div>
112번째 줄: 112번째 줄:
{{-}}
{{-}}
== 개요 ==
== 개요 ==
숙조 인황제 이면(肅祖 仁皇帝 李矏)[[대한제국 (설중매)|대한제국]]의 제5대 [[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황제]]이며 [[승경대원왕|승경선절대원왕]]의 차남이다.  
고종 열황제(高宗 烈皇帝)[[대한제국 (설중매)|대한제국]]의 제5대 [[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황제]]이며 [[선정대원왕 이표|선정대원왕]]의 삼남이다.  


== 생애 ==
휘는 산()이며 자는 천우(天祐)이었다. 1940년 1월 19일에 태어나 2019년 4월 13일 붕어했다. 1971년 10월 23일부터 2017년 11월 27일까지 46년간 재위했고, 시호는 대성강덕문선신효열황제(大成康德文宣神孝烈皇帝)이다.  
=== 유년기 ===
1938년(희승 18년) 1월 19일, 승경군과 단온부대부인 유씨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1938년 4월 17일 창순군 이재형이 후사를 남기지 못하고 사망하는 바람에 창순군이 죽은 이튿날에 양자로 입적하여 한경군(漢景君)에 봉해졌다.


=== 전후 최초의 황족 관료 ===
회종 사후 혼란스러운 정국속에서 9.18 사건을 진압하며 [[신종 효황제 이훈|신종 효황제]]의 양자로 입적되어 황태자로 책봉되었고, 회종 사후 황제로 즉위하였다, 즉위 이후 1895년 반포된 이래 한번도 수정 없이 유지되던 대한국 국제를 폐지하고 대한제국 헌법(신 헌법)을 제정하여 대한제국에 한국적 입헌군주제를 뿌리내리게 했으며, 정치적 위기의 순간마다 중재자 역할을 맡아 압도적인 카리스마를 발휘해 영명한 군주로써 존재감을 과시했다. 또한 '경제 기적'이라고 칭해지는 대한제국의 경제 성장을 스스로 주도했다.
숙조는 유년기부터 재주가 출중하고 유능하여 황실의 촉망받는 인재였고 숙조는 혜종에 청하여 군인이 아닌 관료가 되어 성상을 보필하의다며 종친사환금지법<ref>이 법은 경조 시대 사라진 법이었으나, 한소전쟁 이후 환친왕의 의지로 부활하여 종친의 정치, 관직 참여를 그하는 법이었지만 1975년 숙조의 즉위 이후 폐지된다.</ref>의 제약 없이 고등문관시험에 응시할 자격을 달라 청하였고, 혜종의 윤허를 받아 강학원대학 재학 시절인 22살의 나이로 고등문관시험에 합격하여 공직생활을 시작하였다. 숙조는 고시 합격자들의 선망인 경찰청 커리어에 합격하여 경시청 고등경찰과<ref>숙조 즉위 이후 개편되어 일부는 내무성 공안조사청으로 분리되었고, 다른 부분은 경시청 공안과로 분리되었다.</ref> 특별고등경찰로 임용되어 정보계통 분야에서 주로 근무했다. 1965년부터는 고등경찰과장으로 임명되었으며, 1968년 경찰을 떠나 황족 의원의 자격으로 정치에 입문하였고, 1970년 혜종에 의하여 대한제국의 정보를 총괄하는 정보대의 수장인 정보사가 되었다.


==== 9.18 사건과 즉위 ====
이후 2017년 손자 [[인덕황제 이연|이연]]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태상황이 되어 통수권과 일부 권한을 섭정하며 인덕황제의 치세를 공고히 다졌으며 중국과의 국경분쟁에서 단호한 모습을 보이며 존재감을 과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황후인 현인열황후가 승하한 이후 급속도로 건강이 악화되었고 결국 2019년 4월 13일 덕수궁 석조전에서 붕어한다.
정보사 재임 시절 숙조는 9.18 총격 사건을 통해 조카 뻘 나이의 6촌 친척인 [[소황제 이철|소황제]]를 압박하여 국정의 실권을 장악하였다.<ref>현재까지도 황실과 대한제국 정부는 9.18 총격 사건이 제경군과 연관된 정치자금 수사를 위해 연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우발적인 충돌사건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국내외에서는 당시 황실 여론상 황위 계승에서 지지를 받지 못하던 숙조가 9월 19일에 공포하기로한 (사실상 제경군으로 결정된) 황속(皇續) 책봉 공포를 무산시키고 황위를 차지할 목적으로 군대를 일으켜 제경군과 경신순황후등 자신과 정적 관계에 있었던 반대파들을 제거한 뒤 소황제를 반강제로 퇴위시킨 일종의 친위 쿠데타로 간주한다.</ref> 이후 숙조는 대신들의 추대를 받는 형식으로 '''황속'''<ref>황속(皇續)은 황실예전에 따른 황위 계승자를 뜻하는 칭호이다.</ref>에 봉해졌고, 정통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다시금 승경대원왕의 아들로 입적 되었다.<ref>본래 숙조는 창순군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나 황속으로써 황위를 계승할 경우 향렬과 촌수 문제가 숙조의 발목을 잡았다. 사실 숙조는 국가와 군대를 완벽하게 장악했기에 이러한 문제를 무시해도 그만 이었지만 사실상 황위 찬탈의 형식으로 황위를 계승하였기에 정통성에 민감했고, 이러한 재 입적까지 단행한 것 이었다.</ref><ref>이에 따라 은언궁가의 봉사손으로는 숙부인 (이광과 숙조는 1살 터울로 유년기부터 사실상 형제처럼 지내 친분이 돈독했다.) 이광이 낙점되었고, 창순군의 아들로 이광이 입적되어 이광의 후손들이 은언궁가를 계승하고 있다.</ref>  3개월 후 두려움에 떨던 소황제가 자신이 앓고 있던 병을 명분으로 황속에게 양위 하였고, 황속이었던 이면이 연호를 성녕(咸寧)으로 하여 대한제국의 제5대 황제로 즉위하였다.


=== 재위 초기 ===
== 생애 ==
{| class ="wikitable" style="max-width: 450px; width: 100%; float: left; border: 2px solid #1b0e64; text-align: center; font-size: 10pt"
{{다른 뜻 설명|자세한 내용은 [[고종 열황제/생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 묘호 ==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숙조 즉위 초기.jpeg]]</div>
== 평가 ==
|-
=== 긍정적 평가 ===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 #E3BA62 | 즉위 초의 모습
=== 부정적 평가 ===
|-
그러나 당연히 지금까지 업적과 행보에 대한 비판도 적지 않다. 한국 정치에서 황제는 단순한 입헌군주가 아니다. 대한의 황제들은 능동적인 전제군주로써, 근대화와 열강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했고, 고종은 스스로 전제군주에서 대한제국 헌법이라는 신헌법을 제정해, 백성들에게 민주주의를 '하사'했고, 새로운 정치체제를 대한제국에 안착시켰다. 즉, 대한의 황제는 입헌군주정의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 군주로써의 역할을 훨씬 뛰어넘는, 민주주의의 수호자이자, 성리학적 통치질서의 정점으로 가장 중요한 정치적 행위자로서 권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고종은 긴 재위기간 동안 70년대부터 꾸준하게 신성화된 절대적 권위를 이용해 국가의 조정권자라는 역할을 넘어서, 국왕이 만기친람했던 조선시대 처럼, 고종은 국정 그 자체를 주도하는 절대군주로 자리매김했다.
|}
{{-}}
숙조는 즉위 이후 기존의 기득권을 견제하기 위해 황제 중심의 정치를 강화하고 함흥부와 전주부를 각각 상경 함흥부, 남경 전주부로 승격시켰다.  또한 3S정책과 범죄와의 전쟁 선포를 통해 민심을 얻었고, 나토를 모티브로 동북아시아의 친미 국가들의 군사동맹기구인 NEATO<ref>공식 명칭은 동북아시아 조약 기구, (North-East Asia Treaty Organization)로 영어 발음은 네아토가 된다. </ref>를 창설하고, ECSC와 코메콘을 모방한 아세아경제발전공동체(AEDC)를 창설하여 대한제국을 동아시아의 안보와 경제의 중심으로 성장시켰다.


=== 재위 중반 ===
애초에 성군은 민주주의와 양립가능한 존재가 아니다. 성군이란 자신의 권력으로 나라를 이롭게 한 군주를 부르는 명칭인데, 민주주의에서 모든 권력은 사민으로부터 나와 선출된 대표자들에게 부여되고 세습군주는 어떠한 권력도 쥘 수 없으며 단지 상징으로 존재할 뿐이다. 정상적인 입헌군주제 국가에서 임금은 손에 쥔 권력이 없으니 당연히 성군도 될 수 없다.<ref>물론 입헌군주제의 군주도 상징으로써의 역할이 있으니 이 역할을 잘 수행하면 명군, 성군이라는 칭호가 붙을 수는 있다. 그런 방식으로 불리는 경우가 거의 없는게 사실이지만(...). 단, 민주주의를 이룩하면서도 치적을 남겨 성군 칭호를 받을수 있는 경우가 단 하나 존재하는데 바로 국왕 본인이 민주화를 성취시키거나 최소한 수용하는 경우이다. 부탄의 국왕인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이 그 예시. 전제군주로써 어마어마한 업적을 남겼으니 일반적인 의미의 성군이 맞고 동시에 민주주의를 지키는 경우이다.</ref>
{| class ="wikitable" style="max-width: 450px; width: 100%; float: left; border: 2px solid #1b0e64; text-align: center; font-size: 10pt"
|-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숙조 즉위 중반.jpg]]</div>
|-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d0730, #1b0e64 20%, #1b0e64 80%, #0d0730); color: #E3BA62 | 즉위 중반의 모습
|-
|}
{{-}}


=== 재위 말기 ===
요컨대 힌국 정치에서 고종은 민주주의를 하사한 전제군주이자, 민주주의의 정체를 불러온 양면적인 '''성군'''이라는 점이다.
== 가계 ==
* 증조부 : [[고조 장황제 이엽|고조 장황제]](高祖 章皇帝, 1860년 ~ 1919년)
* 증조모 : [[원명장황후 (설중매)|원명장황후]](元明章皇后, 1859년 ~ 1888년)
** 조부 : [[열종 인황제 이청|열종 인황제]](烈宗 仁皇帝, 1879 ~ 1943년)
** 조모 : [[순현인황후 (설중매)|순현인황후]](純賢仁皇后, 1876년 ~ 1971년)
*** 부친 : [[선정대원왕 이표|선정의녕대원왕]](宣靖懿寧大院王, 1920년 ~ 1955년)
*** 모친 : [[단온의성대원비 (설중매)|단온의성대원비]](端溫義成大院妃, 1917년 ~ 1967년)
* 황후 : [[현인열황후 (설중매)|현인열황후]](慧勝仁皇后, 1938년 ~ 2018년)
** 딸 :  [[강효대장공주 (설중매)|강효대장공주]](康孝大長公主, 1960년 ~ 현재)
** 아들 : [[연종 덕황제 이광|연종 덕황제]](衍宗 德皇帝, 1961년 ~ 2001년)
*** 며느리 : [[의선황태후 (설중매)|의선황태후]](義宣皇太后, 1961년 ~ 현재)


=== 퇴위와 태상황 ===
==== 호랑이 등에서 내리다 ====
숙조는 고령을 이유로 2013년 손자 이연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자신은 상황으로 물러났다. 즉위식 당시 태손인 이연이 아직 황제가 되고 싶지 않아 태손의 계급인 원수 계급장이 부착된 제복을 착용했는데, 숙조가 자신이 입은 제복의 대원수 견장을 손수 떼어 태손의 견장 자리에 달아주고 자신이 쓰던 원수봉을 태손의 손에 들려준 후에 절하며 "'''황상, 이 대한을 잘 부탁드립니다.'''"하고 예를 갖추니 그 자리에 있던 대신들과 장성이 감격하여 엎드려 통곡했지만, 이연은 이미 돌이킬 수 없게 되었음을 알고 위엄을 지키기 위해 울음을 꾹 참아 화제가 되었다.
숙조는 이연이 황제가 된 이후로도 군권은 여전히 자신이 쥐고 있었고 일부 분야에 대해서도 대리청정을 하였다. 또한 숙조는 중국과의 영토 분쟁에서 적극적으로 강경 대응을 주문하고, 네아토 구성국과의 결속을 위해 여러번 순방을 다니는 등 주도적으로 활약했다. 또한 즉위 1개월 뒤 이연은 상황이라는 칭호로는 숙조의 공적을 기릴 수 없다며 태상황으로 격상시켰다. 이렇게 숙조는 태상황이 되어서도 대한제국의 안정과 손자 이연의 황권 안정을 위해 노력했고, 말년에는 계절에 따라 황성과 서경, 남경과 동경을 오가며 당구와 사냥을 즐기는 등 즐겁게 여생을 보내기도 했다. 게다가 자신이 후계자로 삼은 이연의 뛰어난 자질을 자신의 눈으로 확인하고 이에 만족하는 말도 남겼으며, 순방 도중 일본의 내대신 도쿠가와 이에히로가 이연을 극찬하자 크게 기뻐하기도 했다.
==== 붕어 ====
이렇듯 말년을 평안하게 보내다가 퇴위 2년차부터 갑자기 몸이 안좋아지더니 퇴위 3년 만인 2016년 4월 27일 덕수궁 석조전에서 붕어했다. 사후 이연은 혜종 사후 혼란했던 나라를 다시 일으키시고, 대한을 세계 2위의 경제 대국으로 부흥시킨 공적을 기리기 위해 숙조(肅祖)로 묘호를 제안했고 대신들이 이를 받아들여 숙조로 결정되었다.
== 평가 ==
=== 긍정적 평가 ===
=== 부정적 평가 ===
== 여담 ==
== 여담 ==
* 외모가 준수하고 유머 감각과 언변이 좋으며 사교성이 활발하여 유년기부터 황실의 아이돌로 불렸고 여성에게 인기가 많았다. 특히 재학 시절 고등문관시험에 당당히 합격하여 명실상부한 황실의 스타로 거듭났었다. 이러한 인기에 걸맞게 강학원대학 재학 시절 수많은 여성들의 구애를 받았으나 오직 훗날의 황후인 최씨의 구애를 받아들였다. 재학 시절부터 숙조와 순의덕황후는 대학을 대표하는 컴퍼스 커플로 유명했고 금슬이 좋았다.
* 외모가 준수하고 유머 감각과 언변이 좋으며 사교성이 활발하여 유년기부터 황실의 아이돌로 불렸고 여성에게 인기가 많았다. 특히 재학 시절 고등문관시험에 당당히 합격하여 명실상부한 황실의 스타로 거듭났었다. 이러한 인기에 걸맞게 강학원대학 재학 시절 수많은 여성들의 구애를 받았으나 오직 훗날의 황후인 최씨의 구애를 받아들였다. 재학 시절부터 고종과 현인열황후는 대학을 대표하는 컴퍼스 커플로 유명했고 금슬이 좋았다.


* '''최초로 평민과 자유연애를 통해 결혼한 최초의 황족'''이다. 이에 혜종과 황족들이 이를 윤허하지 않자 "지희<ref>순의덕황후의 휘</ref>가 아니면 결혼하지 않겠습니다!!"라고 선언한다. 이에 황실은 발칵 뒤집어졌고 순의덕황후는 주변의 엄청난 직ㆍ간접적 압력에 부담을 느껴 숙조에게 이별을 통보했다. 이에 한경군은 손을 붙잡고 "내 일생을 널 지키는데 쓰겠다"라며 청혼했다. 마침 강학원대학을 취재하던 KBS가 이를 촬영하여 그날 저녁 뉴스에 대서특필 되었다.<ref>이 당시 황실은 KBS가 황족의 사생활을 유출했다며 격분했지만, 한경군의 간곡한 설득을 받은 혜종이 선처를 베풀었다.</ref> 결국 당시 한경군의 고집에 혜종이 결혼을 윤허하였다. 이러한 결혼 과정에서의 우여곡절은 젊은 미남 황족과 아름다운 평민 여성이 우연히 대학에서 만나 사랑에 빠져 연애 끝에 결혼하게 된 아름답고 낭만적인 로맨스 이야기로 화제가 되었다.
* '''최초로 평민과 자유연애를 통해 결혼한 최초의 황족'''이다. 이에 신종과 황족들이 이를 윤허하지 않자 "지희<ref>현인열황후의 휘</ref>가 아니면 결혼하지 않겠습니다!!"라고 선언한다. 이에 황실은 발칵 뒤집어졌고 현인열황후는 주변의 엄청난 직ㆍ간접적 압력에 부담을 느껴 고종에게 이별을 통보했다. 이에 한산공은 손을 붙잡고 "내 일생을 널 지키는데 쓰겠다"라며 청혼했다. 마침 한성제국대학을 취재하던 KBS가 이를 촬영하여 그날 저녁 뉴스에 대서특필 되었다.<ref>이 당시 황실은 KBS가 황족의 사생활을 유출했다며 격분했지만, 한산공의 간곡한 설득을 받은 신종이 선처를 베풀었다.</ref> 결국 당시 한산공의 고집에 신종이 결혼을 윤허하였다. 이러한 결혼 과정에서의 우여곡절은 젊은 미남 황족과 아름다운 평민 여성이 우연히 대학에서 만나 사랑에 빠져 연애 끝에 결혼하게 된 아름답고 낭만적인 로맨스 이야기로 화제가 되었다.


* 숙조가 즉위 이후 혜종의 은혜를 기리는 발언을 수시로 한 것에서 알 수 있듯 숙조와 혜종의 관계는 매우 좋았다. 혜종은 숙조의 자유분방함을 자신의 어린 시절처럼 여기며 총애했고, 황실 내의 반대 여론에도 숙조를 종친사환금지법의 예외로 인정하여 숙조가 권력에 다가서는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숙조 또한 혜종을 몹시 따르며 ''''강녕전께서는 따뜻한 맛이 있는데 교태전과 경근당에는 냉담함만이 있다''''라고 발언하거나 정보사로써 참석한 첫 어전화의에서 혜종을 보고 “그 말투며 태도며 실로 경복하기에 부족한 것이 없다"고 칭송하기도 했다.
* 고종이 즉위 이후 신종의 은혜를 기리는 발언을 수시로 한 것에서 알 수 있듯 고종과 신종의 관계는 매우 좋았다. 신종은 고종의 자유분방함을 자신의 어린 시절처럼 여기며 총애했고, 황실 내의 반대 여론에도 고종을 종친사환금지법의 예외로 인정하여 고종이 권력에 다가서는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고종 또한 신종을 몹시 따르며 ''''강녕전께서는 따뜻한 맛이 있는데 교태전과 경근당에는 냉담함만이 있다''''라고 발언하거나 안기부장으로써 참석한 첫 어전회의에서 신종을 보고 “그 말투며 태도며 실로 경복하기에 부족한 것이 없다"고 칭송하기도 했다.


* 앞서  ''''강녕전께서는 따뜻한 맛이 있는데 교태전과 경근당에는 냉담함만이 있다''''라고 한 것에서 알 수 있듯 당시 황후였던 경신순황후와 황실의 대다수 종친들과의 관계는 냉담했다. 보수적인 황실의 이단아였던 숙조와 폐습에 찌든 황족들과 종친들과의 관계는 당연히 좋지 않았고, 심지어는 방계 종친들과 주먹다짐까지 벌여 숙조가 이들을 전부 때려눕히는 일도 있을 정도였다. 이런 상황에서 유일하게 숙조를 감싼이들은 삼촌뻘인 환명군과 형 예친왕이 전부였다. 하지만 숙조가 황위에 오르자 상황이 역전되어 경신순황후는 평생을 별궁에 갇혀지냈고, 황족들의 특권과 재산은 숙조에 의해 엄청나게 축소되었다.
* 앞서  '''강녕전께서는 따뜻한 맛이 있는데 교태전과 경근당에는 냉담함만이 있다''''라고 한 것에서 알 수 있듯 당시 황후였던 경신순황후와 황실의 대다수 종친들과의 관계는 냉담했다. 보수적인 황실의 이단아였던 고종과 폐습에 찌든 황족들과 종친들과의 관계는 당연히 좋지 않았고, 심지어는 방계 종친들과 주먹다짐까지 벌여 고종이 이들을 전부 때려눕히는 일도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고종이 황위에 오르자 상황이 역전되어 경신순황후는 평생을 별궁에 갇혀지냈고, 황족들의 특권과 재산은 고종에 의해 엄청나게 축소되었다.


* 대단한 애처가였다. 본처인 혜승인황후와 금실이 매우 좋았고 여색에 별다른 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남편을 내조하는 역할만을 하길 원하던 황실의 관례를 깨고 외출 할 때도 항상 황후와 대동했고 국정에서도 그녀의 의견을 많이 참고했다. 혜승인황후의 정치적 식견도 훌륭해서 어전회의에서 황후의 의견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심지어는 애처가를 넘어서 후궁 제도에 매우 부정적이라 즉위 이후 친히 후궁 제도를 아에 폐지하기도 했다.  
* 대단한 애처가였다. 현인열황후와 금실이 매우 좋았고 여색에 별다른 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남편을 내조하는 역할만을 하길 원하던 황실의 관례를 깨고 외출 할 때도 항상 황후와 대동했고 국정에서도 그녀의 의견을 많이 참고했다. 현인열황후의 정치적 식견도 훌륭해서 어전회의에서 황후의 의견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심지어는 애처가를 넘어서 후궁 제도에 매우 부정적이라 즉위 이후 친히 후궁 제도를 아에 폐지하기도 했다.  


* 현대적이고 자유분방한 사고방식을 가졌던 황후가 가장 보수적인 황실에서 여성의 사회 생활은 엄격히 금지되며 단순히 남편을 내조하는 역할만을 요구받으며 황후가 했던 단순한 행동<ref>외국인이 보기에는 지극히 평범함 그 자체인 인터뷰 등이 오만한 것으로 지적받기까지 할 정도였다.</ref>까지 지적 받고 많은 황실 사람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며 궁중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자 "한번만 더 황후를 욕보이면 대역죄로 단죄하겠다"며 황후를 몸소 보호했다.  
* 현대적이고 자유분방한 사고방식을 가졌던 황후가 가장 보수적인 황실에서 여성의 사회 생활은 엄격히 금지되며 단순히 남편을 내조하는 역할만을 요구받으며 황후가 했던 단순한 행동<ref>외국인이 보기에는 지극히 평범함 그 자체인 인터뷰 등이 오만한 것으로 지적받기까지 할 정도였다.</ref>까지 지적 받고 많은 황실 사람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며 궁중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자 "한번만 더 황후를 욕보이면 대역죄로 단죄하겠다"며 황후를 몸소 보호했다.  


* 자식들과 손주들에게도 좋은 아버지이자 할아버지였다. 숙조의 장남인 [[연조 덕황제 이숭|인영태자]]의 성격은 자기 아버지와는 다르게 온화했고 착했다고 하는데 그런 아들의 성격을 질책하기보다는 아들의 성격을 그대로 존중해 주었다. 손자인 이연이 인영태자를 닮아 착하고 똑부러지자 크게 기뻐하기도 했으며, 이연이 강학원대학 대신 돈명대학에 진학하자 이를 존중하며 이연을 감쌌다.
* 자식들과 손주들에게도 좋은 아버지이자 할아버지였다. 고종의 장남인 [[연종 덕황제 이광|인효태자]]의 성격은 자기 아버지와는 다르게 온화했고 착했다고 하는데 그런 아들의 성격을 질책하기보다는 아들의 성격을 그대로 존중해 주었다. 손자인 이연이 인효태자를 닮아 착하고 똑부러지자 크게 기뻐하기도 했으며, 이연이 강학원대학 대신 돈명대학에 진학하자 황실 내에서 존재하던 반대 여론에 직접 '''나도 강대<ref>강학원대학의 약칭.</ref> 안나와서 황제 하는데 니들은 꼴랑 강대 나와서 백성들 등골이나 뽑아 처먹으면서 헛소리 작작해라. 내 손주가 그딴데 안가도 니들보다 잘났다.'''라며 종친들을  갈구고, 이연을 감쌌다.


* 9.18 사건을 통해 황위에 올랐지만 아들을 잃는 불행을 당했다. 인영태자가 29세의 나이에 뇌출혈로 요절하자 숙조는 국사도 제치고 황실병원에 무작정 달려가 한참을 오열했고 너무 슬퍼서 끼니를 거르자 대신들과 주치의들이 겨우 뜯어말렸다. 숙조는 태자의 요절을 매우 비통해하며 직접 글을 지어 태자를 애도했다. 또한 며느리가 되는 인영태자의 비인 순의덕황후 한씨를 안타깝게 여겨 남편을 일찍 여읜 한씨에게 궁궐에 머무르게 했고, 며느리가 착하고 효성이 깊다고 자주 칭찬했다. 그리고 훗날 손자 이연이 태자가 되자 본인이 직접 주도하여 인영태자를 연조 덕황제(衍祖 德皇帝)로 추존하고 장명승덕태흠이인돈역(章明勝德太欽彛仁敦易)이라는 시호를 내려 태자를 위로했다.
* 즉위 이후 아들을 잃는 불행을 당했다. 인효태자가 29세의 나이에 뇌출혈로 요절하자 고종은 국사도 제치고 황실병원에 무작정 달려가 한참을 오열했고 너무 슬퍼서 끼니를 거르자 대신들과 주치의들이 겨우 뜯어말렸다. 고종은 태자의 요절을 매우 비통해하며 직접 글을 지어 태자를 애도했다. 또한 며느리가 되는 인효태자의 비인 의선황태후 한씨를 안타깝게 여겨 남편을 일찍 여읜 한씨에게 궁궐에 머무르게 했고, 며느리가 착하고 효성이 깊다고 자주 칭찬했다. 그리고 훗날 손자 이연이 태자가 되자 본인이 직접 주도하여 인효태자를 연종 덕황제(衍宗 德皇帝)로 추존하고 장명승덕태흠이인돈효(章明勝德太欽彛仁敦孝)라는 시호를 내려 태자를 위로했다.


* 시절부터 황실의 고루한 관습에 불만이 많았고, 즉위 이후 황실의 관습을 현대적으로 개량하거나 철폐하였다. 직접 황족들과 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황실에 적응하지 못하던 황후를 위해 황실의 악폐습을 과감하게 철폐하여 국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이에 황족을 대표하여 강은군이 반대하자 격분하여 재떨이를 집어 던지고 '차마 듣지 못할 하교'를 내렸다고 숙조실록에 적혀있다.
* 한산공 시절부터 황실의 고루한 관습에 불만이 많았고, 즉위 이후 황실의 관습을 현대적으로 개량하거나 철폐하였다. 대표적으로 고종이 즉위하고, 피휘가 너무 번거롭고 행정적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아에 피휘라는 제도 자체를 폐지하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피휘로 가장 불편할 시민들이 '아름다운 고금의 전통을 페지하지 말아 달라'며 대규모 집회와 만인소, 유소를 벌이자''', 어쩔 수 없이 피휘중 가장 수위가 약한 방식을 적용하여 어휘(御諱)의 음만 바꾸어 읽는 형태로 피휘의 관례를 수정하였다. 또한 직접 황족들과 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황실에 적응하지 못하던 황후를 위해 황실의 악폐습을 과감하게 철폐하여 사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이에 황족을 대표하여 강은군이 반대하자 격분하여 재떨이를 집어 던지고 '차마 듣지 못할 하교'를 내렸다고 고종실록에 적혀있다.


* 즉위 초기 사진을 보면 알 수 있지만 30대에 흰머리가 되었다. 본래도 부친인 승경대원왕의 유전으로 새치가 많았고 30대가 넘어가자 아에 머리카락이 전부 흰머리가 되었다. 이로 인해 자신도 흰 머리를 여러 번 흑발로 염색했지만 흰머리가 너무 빨리 자라기도 하고 황후가 흰머리를 좋아해 황위에 오른 이후 염색을 포기했다. 그러나 70대가 넘어 흑발이 나자 신이 나서 대신들을 접견 할 때 이를 여러 번 자랑하기도 했다.
* 즉위 초기 사진을 보면 알 수 있지만 30대에 흰머리가 되었다. 본래도 부친인 승경대원왕의 유전으로 새치가 많았고 30대가 넘어가자 아에 머리카락이 전부 흰머리가 되었다. 이로 인해 자신도 흰 머리를 여러 번 흑발로 염색했지만 흰머리가 너무 빨리 자라기도 하고 황후가 흰머리를 좋아해 황위에 오른 이후 염색을 포기했다. 그러나 70대가 넘어 흑발이 나자 신이 나서 대신들을 접견 할 때 이를 여러 번 자랑하기도 했다.


* 엄청난 애연가였다고 한다. 공식 석상에서 담배를 피워대는 모습은 당시 사진이나 방송영상에서 꽤 많이 보여왔고, 9.18 사건의 그날에는 사령부를 차린 을2호벙커 안에서 줄담배를 피울 정도였다. 당시 전매청(현 KT&G)에서 숙조가 피는 담배는 최고급 연초만을 엄선해서 납품했다고 한다. 처음 담배를 피울때는 형 예친왕의 화랑 담배를 몰래 가져다 피웠고, 1958년부터는 아리랑을 피웠다. 1982년 이후로는 장미를 피웠지만 2001년 태자가 훙서한 이후 나이도 많고 해서 건강을 위해 담배를 끊었다.
* 엄청난 애연가였다고 한다. 공식 석상에서 담배를 피워대는 모습은 당시 사진이나 방송영상에서 꽤 많이 보여왔고, 9.18 사건의 그날에는 사령부를 차린 을2호벙커 안에서 줄담배를 피울 정도였다. 당시 전매청(현 KT&G)에서 고종이 피는 담배는 최고급 연초만을 엄선해서 납품했다고 한다. 처음 담배를 피울때는 형 예친왕의 화랑 담배를 몰래 가져다 피웠고, 1958년부터는 아리랑을, 1969년부터는 당시 최초의 고급 담배였던 청자를 피웠고, 1982년 이후로는 장미를 피웠지만 2001년 인효태자가 훙서한 이후 나이도 많고 해서 건강을 위해 담배를 끊었다.


* 유교 국가인 대한제국에서 불교를 믿은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군주이다. 재위 말기 인영태자가 요절한 뒤 실의에 빠진 숙조와 혜승인황후는 불교 사찰을 찾아다니며 명복을 빌었다. 그러다 아내 혜승인황후마저 죽으면서 생애 종반에는 아예 불교로 개종했다. 대한제국의 국시는 성리학이었지만 숙조의 권위가 하늘을 찔렀으며 대한제국에서 신도가 제일 많은 종교가 불교이기에 호의적인 반응들이 대다수를 차지했다고 한다. 다만 소수의 유학자들의 반발이 존재했지만, 그런 소수의 부류는 폐하를 비판했다며 극우파의 표적이 되기도 했다.
* 유교 국가인 대한제국에서 불교를 믿은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군주이다. 재위 말기 인효태자가 요절한 뒤 실의에 빠진 고종과 현인열황후는 불교 사찰을 찾아다니며 명복을 빌었다. 그러다 아내 현인열황후마저 죽으면서 생애 종반에는 아예 불교로 개종했다. 대한제국의 국시는 성리학이지만 고종의 권위가 하늘을 찔렀으며 대한제국에서 신도가 제일 많은 종교가 불교이기에 호의적인 반응들이 대다수를 차지했다고 한다. 다만 소수의 유학자들의 반발이 존재했지만, 그런 소수의 부류는 폐하를 비판했다며 극우파의 표적이 되기도 했다.


== 가계 ==
== 대중 매체에서 ==
* 증조부 : [[성조 태황제 이엽|성조 태황제]](聖祖 太皇帝, 1860년 ~ 1910년)
* 1984년 MBC 드라마 《대한왕조 육백년》 - 한산군 왕자님에서는 배우 이정길이 연기했다. 한산군 왕자님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 고종이 주인공이며, 강학원 고등과에서 학생운동을 주도하는 고종의 모습이 1화, 고종이 황위에 오르는 것이 마지막회이다. 즉, 즉위 이전까지 고종의 일생을 다룬 작품. 고종 역의 이정길은 소름돋을 정도로 엄청난 연기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와 대비되는 역할인 경신효황후와 제천공은은 각각 김혜자와 최상훈이 맡아 열연했다.
* 증조모 : [[원순태황후 (설중매)|원순태황후]](元順太皇后, 1859년 ~ 1888년)
** 조부 : [[환친왕 (설중매)|환친왕]](桓親王, 1899년 ~ 1975년)
** 조모 : [[환친왕비 (설중매)|환친왕비 최씨]](桓親王妃 崔氏, 1896년 ~ 1970년)
*** 부친 : [[승경대원왕 (설중매)|승경선절대원왕]](勝慶宣節大院王, 1921년 ~ 1945년)
*** 모친 : [[단온대원비 (설중매)|단온의성대원비]](端溫義成大院妃, 1885년 ~ 1967년)
* 황후 : [[혜승인황후 (설중매)|혜승인황후]](慧勝仁皇后, 1938년 ~ 2012년)
** 딸 :  [[강효공주 (설중매)|강효공주]](康孝公主, 1969년 ~ 현재)
** 아들 : [[연조 덕황제 이숭|연조 덕황제]](衍祖 德皇帝, 1971년 ~ 2001년)
*** 며느리 : [[순의덕황후 (설중매)|순의덕황후]](順懿皇后, 1971년 ~ 현재)
** 아들 : [[강친왕 (설중매)|강친왕]](康親王, 1973년 ~ 현재)
*** 며느리 : [[강친왕비 (설중매)|강친왕비 유씨]](康親王妃 柳氏, 1973년 ~ 현재)


== 어록 ==
== 어록 ==
{{인용문|내 일생을 널 지키는데 쓰겠다|훗날의 혜승인황후에게 청혼하며}}
{{인용문|내 일생을 널 지키는데 쓸게.|훗날의 현인열황후에게 청혼하며}}
{{인용문|이 개새끼들아! 세상이 안 무섭지? 너희가 망하는 것 똑똑히 볼 거야, 내가!|종친들의 전횡에 항의하며 종친들을 때려눕히면서, 이후 숙조가 집권하자 이때 숙조와 주먹다짐을 벌인 종친들은 응보의 단죄를 받게 된다. }}
{{인용문|이 개새끼들아! 세상이 안 무섭지? 너희가 망하는 것 똑똑히 볼 거야, 내가!|종친들의 전횡에 항의하며 종친들을 때려눕히면서, 이후 고종이 집권하자 이때 고종과 주먹다짐을 벌인 종친들은 응보의 단죄를 받게 된다. }}
{{인용문|성즉군왕 패즉역적(成則君王敗則逆賊)이라 했습니다. 이기면 관군, 지면 역적 아니겠습니까?|9.18 사건을 계획하며}}
{{인용문|짐은 이 대한을 고쳐 종사의 만년 대계를 꾀하겠소. 폐습을 고치고 타국의 좋은 제도를 받아들이겠소. 이로써 황제가 황제의 책무를 다하고 대신이 대신의 책무를 다하여 억조창생이 편안한 나라를 만들겠소. 이곳이 바로 짐이 바라는 대한의 모습이오. 그리고 만약, 이 과업을 완성하는 데 방해가 되는 자가 있다면 그게 누구든, 엄히 다스릴 것이오. 이를 가슴에 새기고, 잘 따라주길 바라오.|즉위칙서를 반포한 후 고종의 선언}}
{{인용문|짐은 이 대한을 고쳐 종사의 만년 대계를 꾀하겠소. 폐습을 고치고 타국의 좋은 제도를 받아들이겠소. 이로써 황제가 황제의 책무를 다하고 대신이 대신의 책무를 다하여 억조창생이 편안한 나라를 만들겠소. 이곳이 바로 짐이 바라는 대한의 모습이오. 그리고 만약, 이 과업을 완성하는 데 방해가 되는 자가 있다면 그게 누구든, 엄히 다스릴 것이오. 이를 가슴에 새기고, 잘 따라주길 바라오.|즉위칙서를 반포한 후 숙조의 선언}}
{{인용문|제국은 고금을 통틀어 작금의 자유 민주 체제보다 더 훌륭한 제도를 아직 갖지 못했다. 그러나 아무리 훌륭한 제도라 하더라도 이를 지킬 수 있는 능력이 없을 때에는 이 민주 제도처럼 취약한 제도도 또한 없는 것이다.|신 헌법 공포에 관한 칙유 中 (1972.2.17.)}}
{{인용문|한 세대의 생존은 유한하나, 조국과 민족의 생명은 영원하오. 오늘 나와 경이 그리고 만백성이 땀 흘려 이룩하는 모든 것이 결코 오늘을 잘 살고자 함이 아니요, 이를 후손 앞에 물려주어 겨레의 영원한 생명을 생동케 하고자 하는 것이오.|한성제국대학 총장에게 보내는 친서 中 (1976.3.16.)}}
{{인용문|이 새끼 너 건방져!|황실의 악폐습을 철폐하려 하던 당시 돈녕원경이던 강은군의 반대에  재떨이를 강은군에게 던지며.}}
{{인용문|이 새끼 너 건방져!|황실의 악폐습을 철폐하려 하던 당시 돈녕원경이던 강은군의 반대에  재떨이를 강은군에게 던지며.}}
{{인용문|'''황상, 이 대한을 잘 부탁드립니다.'''|이연의 즉위식에서 자신의 대원수 견장과 원수봉을 태손의 손에 쥐어준 후 절하며}}
{{인용문|역사적 사실과 유적은 영광스러운 것이든 굴욕적인 것이든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 사민들은 영광스러운 사적에서 긍지와 자부심을 얻고, 굴욕적인 사건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역사적 유적은 어떤 것이든 소멸시켜서는 안 된다. 사민들에게 교훈이 될 수 있도록 병자호란 때 인묘께서 청장(淸將)에게 항복했던 장소인 삼전도를 훌륭하게 복원하라.|1981년 4월 삼전도비 일대 재정비를 지시하며}}
{{인용문|황상이 문왕과 무왕처럼 올바르고 영명한데 뭘 걱정하고 아쉬해|이연의 나이가 어려 우려하는 순정군에게 이연의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고 만족해하며}}
{{인용문|우리 일본대사<ref>당시 주한일본대사는 마에다 토시카즈였다.</ref> 어디 갔어? 일본대사 축배 안 드나?|1981년 남경 올림픽 유치가 확정되고 경복궁 태극전에서 열린 환영만찬회 축사를 하며}}
{{인용문|이 나라의 진정한 주인은 바로 농민들이다.|1983년 삼남순행중 남경 전주부 인근의 농지를 시찰하며}}
{{인용문|토지가 백성이라면, 황제란 비료에 지나지 않는다. 여기서 종자(種子)는 만백성의 이상이다.|1988년 신년사}}
{{인용문|천하에 내 뜻을 이어받을 사람은 오직 태손 너뿐이다.|인효태자 사후 후계 문제에 대한 논란 당시 이를 일소하며}}
{{인용문|나<ref>고종은 짐이라는 지칭을 그닥 좋아하지 않았다. 때문에 공식 석상에서도 짐이라는 지칭과 나라는 지칭을 번갈아 가며 사용하였다.</ref> 또한 인간인 이상 나라를 다스리는 데 시행착오가 없지 않았소. 그러나 짐은 지금 당장의 칭송을 받기 위해 일하지 않았고, 후세 사가(史家)들이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를 항상 염두에 두고 일해 왔네. 그리고 "어떻게 하면 우리도 다른 나라처럼 당당하고 자유롭게 살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머리에서 떠난 일이 없네.|생전 퇴위 기자회견에서 기자들과의 환담 中 (2017년 봄)}}
{{인용문|'''성상, 이 대한을 잘 부탁드립니다.'''|이연의 즉위식에서 자신의 대원수 견장과 원수봉을 태손의 손에 쥐어준 후 절하며}}
{{인용문|연이가 문왕과 무왕처럼 똑부러지고 잘하는데 내가 뭘 걱정하고 아쉬해|이연의 나이가 어려 우려하는 순정군에게 이연의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고 만족해하며}}
{{인용문|'''잘 해가라. 그럼 난 죽어도 여한이 없어.'''|이연에게 남긴 마지막 }}
{{인용문|'''잘 해가라. 그럼 난 죽어도 여한이 없어.'''|이연에게 남긴 마지막 }}


== 대중 매체에서 ==
== 각종 타이틀 ==
== 관련 서적 ==
== 각종 친필 및 그림들 ==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 둘러보기 ==
== 둘러보기 ==
{{대한제국 황실 (설중매)}}
{{대한제국 황실}}
----
----
{{각주}}
{{각주}}
[[분류:설중매]] [[분류:숙조 인황제 (설중매)]]
[[분류:설중매]] [[분류:고종 열황제 (설중매)]]

2024년 9월 29일 (일) 08:23 기준 최신판

[ 소개 ]
매화 핀 진목정엔 잔설이 누웠는데
화사하게 웃는 설중매 담장 너머로 매향을 흩뿌리며
고운 자태 뽐내고 오가는 마실사람 눈웃음치며 유혹하네
김씨네가 살다가 도회로 가버린 초가지붕 용마루는 세월의 횡포 속에
사르르 녹아내렸고 마당에는 지게 갈퀴 쟁기대가리 홀태
써레 홍두깨 호미자루
잡살뱅이들이 널부러져 푸서리 속에 나뒹굴고 있네
조상의 숨결이 열려있는 초가삼간 설중매
"설중매"는 "현대까지 대한제국이 존속한다면?" 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브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이 문서는 설중매의 공식 설정입니다. 연재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대한제국 대황제
[ 펼치기 · 접기 ]

고종 열황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궁실(宮室)
[ 펼치기 · 접기 ]

대한 황자
경조 ~ 인덕황제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황태자
[ 펼치기 · 접기 ]
고조 열종 신종
이청
(열종)
이훈
(신종)
이만
(광효태자)
이숙
(효성태자)
황태손

이만
(광효태자)
신종 고종 인덕황제
이영
(회종)
이광
(인효태자)
황사

이해
(강친왕)
황태손

이연
(인덕황제)
이창
태상황 · 대황제 · 황후 · 황태자비
고조선 · 부여 · 원삼국 · 고구려 · 백제 · 가야
신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국


대한제국 태상황제
[ 펼치기 · 접기 ]
대황제 · 황태자 · 황후 · 황태자비
고조선 · 부여 · 원삼국 · 고구려 · 백제 · 가야
신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

대한 국가재건공신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제5대 황제
고종 열황제 | 高宗 烈皇帝
이름 이경(李澃) → 이산(李澃)[1]
천우(天祐)
출생 1940년 1월 19일
황성 한성부 황실병원
붕어 2019년 4월 13일 (향년 79세)
황성 한성부 덕수궁 석조전
재위기간 대한제국 제5대 황제
1971년 10월 23일 ~ 2017년 11월 27일
대한제국 태상황제
2017년 11월 27일 ~ 2019년 4월 13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부모 양부 신종 효황제 이훈, 양모 경덕효황후 박씨

친부 선정대원왕 이표, 친모 안선대원비 김씨
형제자매 4남 1녀 중 4남
황후 현인열황후
자녀 장녀 강효대장공주 이수아
장남 연종 덕황제 이광
학력 강학원 유치원 (수료)
강학원 초등과 (졸업)
강학원 중등과 (졸업)
강학원 고등과 (졸업)
한성제국대학 법학부 (법학 / 학사)
종교 유교 (성리학) → 불교
신장 178cm
묘호 고종(高宗)
존호 성천태고청열의녕광무요순
(聖天太高淸烈義寧光武堯舜)
시호 대성강덕문선신효열황제
(大成康德文宣神孝烈皇帝)
섭정 황태손 이연(2011~2017)
연호 성녕(成寧, 1975~2017)
계급 대한제국군 육해공군 대원수
봉호 한산공(韓山公)

개요

고종 열황제(高宗 烈皇帝)는 대한제국의 제5대 황제이며 선정대원왕의 삼남이다.

휘는 산(澃)이며 자는 천우(天祐)이었다. 1940년 1월 19일에 태어나 2019년 4월 13일 붕어했다. 1971년 10월 23일부터 2017년 11월 27일까지 46년간 재위했고, 시호는 대성강덕문선신효열황제(大成康德文宣神孝烈皇帝)이다.

회종 사후 혼란스러운 정국속에서 9.18 사건을 진압하며 신종 효황제의 양자로 입적되어 황태자로 책봉되었고, 회종 사후 황제로 즉위하였다, 즉위 이후 1895년 반포된 이래 한번도 수정 없이 유지되던 대한국 국제를 폐지하고 대한제국 헌법(신 헌법)을 제정하여 대한제국에 한국적 입헌군주제를 뿌리내리게 했으며, 정치적 위기의 순간마다 중재자 역할을 맡아 압도적인 카리스마를 발휘해 영명한 군주로써 존재감을 과시했다. 또한 '경제 기적'이라고 칭해지는 대한제국의 경제 성장을 스스로 주도했다.

이후 2017년 손자 이연에게 황위를 물려주고, 태상황이 되어 통수권과 일부 권한을 섭정하며 인덕황제의 치세를 공고히 다졌으며 중국과의 국경분쟁에서 단호한 모습을 보이며 존재감을 과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황후인 현인열황후가 승하한 이후 급속도로 건강이 악화되었고 결국 2019년 4월 13일 덕수궁 석조전에서 붕어한다.

생애

묘호

평가

긍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그러나 당연히 지금까지 업적과 행보에 대한 비판도 적지 않다. 한국 정치에서 황제는 단순한 입헌군주가 아니다. 대한의 황제들은 능동적인 전제군주로써, 근대화와 열강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지대한 영향을 했고, 고종은 스스로 전제군주에서 대한제국 헌법이라는 신헌법을 제정해, 백성들에게 민주주의를 '하사'했고, 새로운 정치체제를 대한제국에 안착시켰다. 즉, 대한의 황제는 입헌군주정의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 군주로써의 역할을 훨씬 뛰어넘는, 민주주의의 수호자이자, 성리학적 통치질서의 정점으로 가장 중요한 정치적 행위자로서 권력을 행사한다는 것이다. 고종은 긴 재위기간 동안 70년대부터 꾸준하게 신성화된 절대적 권위를 이용해 국가의 조정권자라는 역할을 넘어서, 국왕이 만기친람했던 조선시대 처럼, 고종은 국정 그 자체를 주도하는 절대군주로 자리매김했다.

애초에 성군은 민주주의와 양립가능한 존재가 아니다. 성군이란 자신의 권력으로 나라를 이롭게 한 군주를 부르는 명칭인데, 민주주의에서 모든 권력은 사민으로부터 나와 선출된 대표자들에게 부여되고 세습군주는 어떠한 권력도 쥘 수 없으며 단지 상징으로 존재할 뿐이다. 정상적인 입헌군주제 국가에서 임금은 손에 쥔 권력이 없으니 당연히 성군도 될 수 없다.[2]

요컨대 힌국 정치에서 고종은 민주주의를 하사한 전제군주이자, 민주주의의 정체를 불러온 양면적인 성군이라는 점이다.

가계

여담

  • 외모가 준수하고 유머 감각과 언변이 좋으며 사교성이 활발하여 유년기부터 황실의 아이돌로 불렸고 여성에게 인기가 많았다. 특히 재학 시절 고등문관시험에 당당히 합격하여 명실상부한 황실의 스타로 거듭났었다. 이러한 인기에 걸맞게 강학원대학 재학 시절 수많은 여성들의 구애를 받았으나 오직 훗날의 황후인 최씨의 구애를 받아들였다. 재학 시절부터 고종과 현인열황후는 대학을 대표하는 컴퍼스 커플로 유명했고 금슬이 좋았다.
  • 최초로 평민과 자유연애를 통해 결혼한 최초의 황족이다. 이에 신종과 황족들이 이를 윤허하지 않자 "지희[3]가 아니면 결혼하지 않겠습니다!!"라고 선언한다. 이에 황실은 발칵 뒤집어졌고 현인열황후는 주변의 엄청난 직ㆍ간접적 압력에 부담을 느껴 고종에게 이별을 통보했다. 이에 한산공은 손을 붙잡고 "내 일생을 널 지키는데 쓰겠다"라며 청혼했다. 마침 한성제국대학을 취재하던 KBS가 이를 촬영하여 그날 저녁 뉴스에 대서특필 되었다.[4] 결국 당시 한산공의 고집에 신종이 결혼을 윤허하였다. 이러한 결혼 과정에서의 우여곡절은 젊은 미남 황족과 아름다운 평민 여성이 우연히 대학에서 만나 사랑에 빠져 연애 끝에 결혼하게 된 아름답고 낭만적인 로맨스 이야기로 화제가 되었다.
  • 고종이 즉위 이후 신종의 은혜를 기리는 발언을 수시로 한 것에서 알 수 있듯 고종과 신종의 관계는 매우 좋았다. 신종은 고종의 자유분방함을 자신의 어린 시절처럼 여기며 총애했고, 황실 내의 반대 여론에도 고종을 종친사환금지법의 예외로 인정하여 고종이 권력에 다가서는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고종 또한 신종을 몹시 따르며 '강녕전께서는 따뜻한 맛이 있는데 교태전과 경근당에는 냉담함만이 있다'라고 발언하거나 안기부장으로써 참석한 첫 어전회의에서 신종을 보고 “그 말투며 태도며 실로 경복하기에 부족한 것이 없다"고 칭송하기도 했다.
  • 앞서 강녕전께서는 따뜻한 맛이 있는데 교태전과 경근당에는 냉담함만이 있다'라고 한 것에서 알 수 있듯 당시 황후였던 경신순황후와 황실의 대다수 종친들과의 관계는 냉담했다. 보수적인 황실의 이단아였던 고종과 폐습에 찌든 황족들과 종친들과의 관계는 당연히 좋지 않았고, 심지어는 방계 종친들과 주먹다짐까지 벌여 고종이 이들을 전부 때려눕히는 일도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고종이 황위에 오르자 상황이 역전되어 경신순황후는 평생을 별궁에 갇혀지냈고, 황족들의 특권과 재산은 고종에 의해 엄청나게 축소되었다.
  • 대단한 애처가였다. 현인열황후와 금실이 매우 좋았고 여색에 별다른 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남편을 내조하는 역할만을 하길 원하던 황실의 관례를 깨고 외출 할 때도 항상 황후와 대동했고 국정에서도 그녀의 의견을 많이 참고했다. 현인열황후의 정치적 식견도 훌륭해서 어전회의에서 황후의 의견을 소개하기도 하였다. 심지어는 애처가를 넘어서 후궁 제도에 매우 부정적이라 즉위 이후 친히 후궁 제도를 아에 폐지하기도 했다.
  • 현대적이고 자유분방한 사고방식을 가졌던 황후가 가장 보수적인 황실에서 여성의 사회 생활은 엄격히 금지되며 단순히 남편을 내조하는 역할만을 요구받으며 황후가 했던 단순한 행동[5]까지 지적 받고 많은 황실 사람들에게 괴롭힘을 당하며 궁중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자 "한번만 더 황후를 욕보이면 대역죄로 단죄하겠다"며 황후를 몸소 보호했다.
  • 자식들과 손주들에게도 좋은 아버지이자 할아버지였다. 고종의 장남인 인효태자의 성격은 자기 아버지와는 다르게 온화했고 착했다고 하는데 그런 아들의 성격을 질책하기보다는 아들의 성격을 그대로 존중해 주었다. 손자인 이연이 인효태자를 닮아 착하고 똑부러지자 크게 기뻐하기도 했으며, 이연이 강학원대학 대신 돈명대학에 진학하자 황실 내에서 존재하던 반대 여론에 직접 나도 강대[6] 안나와서 황제 하는데 니들은 꼴랑 강대 나와서 백성들 등골이나 뽑아 처먹으면서 헛소리 작작해라. 내 손주가 그딴데 안가도 니들보다 잘났다.라며 종친들을 갈구고, 이연을 감쌌다.
  • 즉위 이후 아들을 잃는 불행을 당했다. 인효태자가 29세의 나이에 뇌출혈로 요절하자 고종은 국사도 제치고 황실병원에 무작정 달려가 한참을 오열했고 너무 슬퍼서 끼니를 거르자 대신들과 주치의들이 겨우 뜯어말렸다. 고종은 태자의 요절을 매우 비통해하며 직접 글을 지어 태자를 애도했다. 또한 며느리가 되는 인효태자의 비인 의선황태후 한씨를 안타깝게 여겨 남편을 일찍 여읜 한씨에게 궁궐에 머무르게 했고, 며느리가 착하고 효성이 깊다고 자주 칭찬했다. 그리고 훗날 손자 이연이 태자가 되자 본인이 직접 주도하여 인효태자를 연종 덕황제(衍宗 德皇帝)로 추존하고 장명승덕태흠이인돈효(章明勝德太欽彛仁敦孝)라는 시호를 내려 태자를 위로했다.
  • 한산공 시절부터 황실의 고루한 관습에 불만이 많았고, 즉위 이후 황실의 관습을 현대적으로 개량하거나 철폐하였다. 대표적으로 고종이 즉위하고, 피휘가 너무 번거롭고 행정적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아에 피휘라는 제도 자체를 폐지하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피휘로 가장 불편할 시민들이 '아름다운 고금의 전통을 페지하지 말아 달라'며 대규모 집회와 만인소, 유소를 벌이자, 어쩔 수 없이 피휘중 가장 수위가 약한 방식을 적용하여 어휘(御諱)의 음만 바꾸어 읽는 형태로 피휘의 관례를 수정하였다. 또한 직접 황족들과 대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황실에 적응하지 못하던 황후를 위해 황실의 악폐습을 과감하게 철폐하여 사민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았다. 이에 황족을 대표하여 강은군이 반대하자 격분하여 재떨이를 집어 던지고 '차마 듣지 못할 하교'를 내렸다고 고종실록에 적혀있다.
  • 즉위 초기 사진을 보면 알 수 있지만 30대에 흰머리가 되었다. 본래도 부친인 승경대원왕의 유전으로 새치가 많았고 30대가 넘어가자 아에 머리카락이 전부 흰머리가 되었다. 이로 인해 자신도 흰 머리를 여러 번 흑발로 염색했지만 흰머리가 너무 빨리 자라기도 하고 황후가 흰머리를 좋아해 황위에 오른 이후 염색을 포기했다. 그러나 70대가 넘어 흑발이 나자 신이 나서 대신들을 접견 할 때 이를 여러 번 자랑하기도 했다.
  • 엄청난 애연가였다고 한다. 공식 석상에서 담배를 피워대는 모습은 당시 사진이나 방송영상에서 꽤 많이 보여왔고, 9.18 사건의 그날에는 사령부를 차린 을2호벙커 안에서 줄담배를 피울 정도였다. 당시 전매청(현 KT&G)에서 고종이 피는 담배는 최고급 연초만을 엄선해서 납품했다고 한다. 처음 담배를 피울때는 형 예친왕의 화랑 담배를 몰래 가져다 피웠고, 1958년부터는 아리랑을, 1969년부터는 당시 최초의 고급 담배였던 청자를 피웠고, 1982년 이후로는 장미를 피웠지만 2001년 인효태자가 훙서한 이후 나이도 많고 해서 건강을 위해 담배를 끊었다.
  • 유교 국가인 대한제국에서 불교를 믿은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군주이다. 재위 말기 인효태자가 요절한 뒤 실의에 빠진 고종과 현인열황후는 불교 사찰을 찾아다니며 명복을 빌었다. 그러다 아내 현인열황후마저 죽으면서 생애 종반에는 아예 불교로 개종했다. 대한제국의 국시는 성리학이지만 고종의 권위가 하늘을 찔렀으며 대한제국에서 신도가 제일 많은 종교가 불교이기에 호의적인 반응들이 대다수를 차지했다고 한다. 다만 소수의 유학자들의 반발이 존재했지만, 그런 소수의 부류는 폐하를 비판했다며 극우파의 표적이 되기도 했다.

대중 매체에서

  • 1984년 MBC 드라마 《대한왕조 육백년》 - 한산군 왕자님에서는 배우 이정길이 연기했다. 한산군 왕자님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 고종이 주인공이며, 강학원 고등과에서 학생운동을 주도하는 고종의 모습이 1화, 고종이 황위에 오르는 것이 마지막회이다. 즉, 즉위 이전까지 고종의 일생을 다룬 작품. 고종 역의 이정길은 소름돋을 정도로 엄청난 연기력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와 대비되는 역할인 경신효황후와 제천공은은 각각 김혜자와 최상훈이 맡아 열연했다.

어록

내 일생을 널 지키는데 쓸게.
훗날의 현인열황후에게 청혼하며
이 개새끼들아! 세상이 안 무섭지? 너희가 망하는 것 똑똑히 볼 거야, 내가!
종친들의 전횡에 항의하며 종친들을 때려눕히면서, 이후 고종이 집권하자 이때 고종과 주먹다짐을 벌인 종친들은 응보의 단죄를 받게 된다.
짐은 이 대한을 고쳐 종사의 만년 대계를 꾀하겠소. 폐습을 고치고 타국의 좋은 제도를 받아들이겠소. 이로써 황제가 황제의 책무를 다하고 대신이 대신의 책무를 다하여 억조창생이 편안한 나라를 만들겠소. 이곳이 바로 짐이 바라는 대한의 모습이오. 그리고 만약, 이 과업을 완성하는 데 방해가 되는 자가 있다면 그게 누구든, 엄히 다스릴 것이오. 이를 가슴에 새기고, 잘 따라주길 바라오.
즉위칙서를 반포한 후 고종의 선언
제국은 고금을 통틀어 작금의 자유 민주 체제보다 더 훌륭한 제도를 아직 갖지 못했다. 그러나 아무리 훌륭한 제도라 하더라도 이를 지킬 수 있는 능력이 없을 때에는 이 민주 제도처럼 취약한 제도도 또한 없는 것이다.
신 헌법 공포에 관한 칙유 中 (1972.2.17.)
한 세대의 생존은 유한하나, 조국과 민족의 생명은 영원하오. 오늘 나와 경이 그리고 만백성이 땀 흘려 이룩하는 모든 것이 결코 오늘을 잘 살고자 함이 아니요, 이를 후손 앞에 물려주어 겨레의 영원한 생명을 생동케 하고자 하는 것이오.
한성제국대학 총장에게 보내는 친서 中 (1976.3.16.)
이 새끼 너 건방져!
황실의 악폐습을 철폐하려 하던 당시 돈녕원경이던 강은군의 반대에 재떨이를 강은군에게 던지며.
역사적 사실과 유적은 영광스러운 것이든 굴욕적인 것이든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 사민들은 영광스러운 사적에서 긍지와 자부심을 얻고, 굴욕적인 사건에서 교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역사적 유적은 어떤 것이든 소멸시켜서는 안 된다. 사민들에게 교훈이 될 수 있도록 병자호란 때 인묘께서 청장(淸將)에게 항복했던 장소인 삼전도를 훌륭하게 복원하라.
1981년 4월 삼전도비 일대 재정비를 지시하며
우리 일본대사[7] 어디 갔어? 일본대사 축배 안 드나?
1981년 남경 올림픽 유치가 확정되고 경복궁 태극전에서 열린 환영만찬회 축사를 하며
이 나라의 진정한 주인은 바로 농민들이다.
1983년 삼남순행중 남경 전주부 인근의 농지를 시찰하며
토지가 백성이라면, 황제란 비료에 지나지 않는다. 여기서 종자(種子)는 만백성의 이상이다.
1988년 신년사
천하에 내 뜻을 이어받을 사람은 오직 태손 너뿐이다.
인효태자 사후 후계 문제에 대한 논란 당시 이를 일소하며
[8] 또한 인간인 이상 나라를 다스리는 데 시행착오가 없지 않았소. 그러나 짐은 지금 당장의 칭송을 받기 위해 일하지 않았고, 후세 사가(史家)들이 어떻게 기록할 것인가를 항상 염두에 두고 일해 왔네. 그리고 "어떻게 하면 우리도 다른 나라처럼 당당하고 자유롭게 살 수 있을까?"하는 생각이 머리에서 떠난 일이 없네.
생전 퇴위 기자회견에서 기자들과의 환담 中 (2017년 봄)
성상, 이 대한을 잘 부탁드립니다.
이연의 즉위식에서 자신의 대원수 견장과 원수봉을 태손의 손에 쥐어준 후 절하며
연이가 문왕과 무왕처럼 똑부러지고 잘하는데 내가 뭘 걱정하고 아쉬해
이연의 나이가 어려 우려하는 순정군에게 이연의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고 만족해하며
잘 해가라. 그럼 난 죽어도 여한이 없어.
이연에게 남긴 마지막

각종 타이틀

관련 서적

각종 친필 및 그림들

관련 문서

둘러보기


대한제국 황실
[ 펼치기 · 접기 ]

  1. 본명은 이경이나 피휘를 위해 '맑을 경'의 발음을 '산'으로 바꾸는 방식으로 개명하였다. 본래는 고리타분한 관례인 피휘를 폐지하려 하였으나, 사민들의 격렬한 반대와 애원으로 인하여, 빡빡한 피휘의 관례를 수정하여 피휘중 가장 수위가 낮은 방식인 발음을 바꾸는 형식의 개명을 하였다.
  2. 물론 입헌군주제의 군주도 상징으로써의 역할이 있으니 이 역할을 잘 수행하면 명군, 성군이라는 칭호가 붙을 수는 있다. 그런 방식으로 불리는 경우가 거의 없는게 사실이지만(...). 단, 민주주의를 이룩하면서도 치적을 남겨 성군 칭호를 받을수 있는 경우가 단 하나 존재하는데 바로 국왕 본인이 민주화를 성취시키거나 최소한 수용하는 경우이다. 부탄의 국왕인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이 그 예시. 전제군주로써 어마어마한 업적을 남겼으니 일반적인 의미의 성군이 맞고 동시에 민주주의를 지키는 경우이다.
  3. 현인열황후의 휘
  4. 이 당시 황실은 KBS가 황족의 사생활을 유출했다며 격분했지만, 한산공의 간곡한 설득을 받은 신종이 선처를 베풀었다.
  5. 외국인이 보기에는 지극히 평범함 그 자체인 인터뷰 등이 오만한 것으로 지적받기까지 할 정도였다.
  6. 강학원대학의 약칭.
  7. 당시 주한일본대사는 마에다 토시카즈였다.
  8. 고종은 짐이라는 지칭을 그닥 좋아하지 않았다. 때문에 공식 석상에서도 짐이라는 지칭과 나라는 지칭을 번갈아 가며 사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