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군 국가) |
(→바르샤바 혁명)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90번째 줄: | 90번째 줄: | ||
{| style="margin:-6px -10px;" | {| style="margin:-6px -10px;" | ||
! width=20%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날짜 | ! width=20%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날짜 | ||
| 1931년 4월 19일 ~ | | 1931년 4월 19일 ~ 1938년 2월 28일 | ||
|- | |- | ||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장소 |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장소 | ||
141번째 줄: | 141번째 줄: | ||
|} | |} | ||
{{목차}} | {{목차}} | ||
===바르샤바 혁명=== | |||
{| class="wikitable" style="float:right; max-width:450px; border:2px solid #030; color:#000;" | |||
! colspan="2" style="width:450px; background:#030; color:#fff;" | {{large|바르샤바 4월 혁명}}<br>Warsaw April Revolution<br> Warsaw Revolution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eee;" | 바르샤바 4월 혁명의 일부 | |||
|- | |||
| colspan="2" align=center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바르샤바 혁명 사진.jpg|450px]]</div> | |||
|- | |||
| colspan="2" | | |||
{| style="margin:-6px -10px;" | |||
! width=20%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날짜 | |||
| 1936년 4월 7일 ~ 1936년 4월 28일 | |||
|- | |||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장소 | |||
| 폴란드 전역 | |||
|- | |||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원인 | |||
| 친소련 세력의 쿠데타, 임시정부의 억압정책 | |||
|- | |||
!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결과 | |||
| '''폴란드 임시정부 퇴출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ㅤ폴란드 민주주의의 대두'''<br>'''소련의 폴란드 침공''' | |||
|- | |||
|}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교전국 | |||
|- | |||
| width=50% style="vertical-align:top;" | [[파일:폴란드 국기2.svg|23px]] [[폴란드 공화국 (신국)|폴란드 혁명군]]<br> | |||
| style="vertical-align:top;" | [[파일:폴란드 국기2.svg|23px]] [[폴란드 공화국 (신국)|폴란드 사회공화국]]<br>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지휘관 | |||
|- | |||
| style="vertical-align:top;" | [[지그문트 베를링]]† | |||
| style="vertical-align:top;"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병력 | |||
|- | |||
| style="vertical-align:top;" | 혁명군 12만명 | |||
| style="vertical-align:top;" | 정부군 30만명 |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030; color:#fff;" | 피해 | |||
|- | |||
| style="vertical-align:top;" | 혁명군 3만명 사망 | |||
| style="vertical-align:top;" | 정부군 4만명 사망 | |||
|- | |||
|} | |||
{{목차}} | |||
====개요==== | |||
독일 내전 이후 소련에 의해 괴뢰화된 폴란드를 되찾기 위해 벌인 혁명이다.<br> | |||
이 혁명으로 혁명군이 승리해 민주정부를 꾸렸으나 소련의 침공이 시작되었다. | |||
====혁명 발발전==== | |||
혁명 발발전인 1935년 8월 17일부터 이 혁명이 계획되었다. 당시 폴란드 자체 사회주의 정부가 구성되기 전이라 소련의 외교관들이 폴란드의 내각을 구성했는데 이에 반발한 폴란드 의원들이 이 혁명을 계획했다.<br> | |||
1935년 10월 13일 이 혁명 계획이 폴란드 정부의 귀에 들어가게 되었지만 정부는 아랑곳하지 않았다.<br> | |||
1936년 1월 1일 크라쿠프에서 혁명을 조직중에 모임중 혁명에 대한 열기가 차올라 갑작스럽게 크라쿠프에서 전투가 발생했다. 당시 68명 가량이 폭동을 일으켰으며 당시 소규모 폭동이 판을 첬기에 조사를 빠르게 끝나 주동자가 잡히진 않았다.<br> | |||
1936년 3월 30일 계획 일자를 잘못 알아들은 혁명군 3대대가 바르샤바를 행진하던 도중 계획날이 아니였음을 직감하고 바로 작전기지로 후퇴했다. | |||
정부는 정신나간놈들이라 생각하고 6명을 체포한 뒤에 조사를 종료했다.<br> | |||
1936년 3월 6일 새벽 혁명군 중앙기지가 정부군에 의해 들통났지만 빠르게 주거구역으로 꾸미며 사건을 일단락 되었다.<br> | |||
1936년 3월 7일 오전 4시 35분 혁명군 1사단,2사단,3사단이 차례대로 바르샤바,크라쿠프,그단스크에서 혁명을 일으키며 바르샤바 4월 혁명이 시작되었다.<br> | |||
====혁명 진행과정==== | |||
1936년 3월 7일 오전 7시 33분부터 오전 9시 12분까지 혁명군 대표가 민주주의에 대한 연설을 하였다.<br> | |||
1936년 3월 7일 오후 12시 02분 1사단이 바르샤바 중앙정부청사를 폭격했다.<br> | |||
1936년 3월 10일 오후 8시 19분 소련이 폴란드 정부의 지원요청을 거부했다.<br> | |||
1936년 3월 14일 오후 4시 41분 3사단이 그단스크를 끝내 점령하지 못하고 바르샤바로 후퇴했다.<br> | |||
1936년 3월 20일 바르샤바 전역에서 시민들이 혁명에 참여했다.<br> | |||
1936년 3월 26일 오전 2시 24분 크라쿠프 전투에서 2만 6000천명의 사상자를 내며 혁명군이 전투에서 승리했다.<br> | |||
1936년 3월 27일 오후 11시 35분 정부군 대부분이 대열에서 이탈하여 해산되기 시작했다.<br> | |||
1936년 3월 28일 오전 2시 55분 폴란드 정부가 혁명군에게 항복 의사를 전달했다.<br> | |||
1936년 3월 28일 오전 5시 03분 혁명군이 혁명이 종식되었음을 알렸다. | |||
====혁명? 내전?==== | |||
이 사건이 혁명인지 내전인지 햇갈려하는 사람이 많다. 계획된 군사작전은 내전이 틀림 없으나 혁명을 일으킨 군 이름도 애초에 "혁명군"이고 많은 폴란드인이 참여했기때문에 혁명이라고 보는게 옳다. | |||
===.=== | |||
==신군 정당== | ==신군 정당== | ||
2023년 3월 24일 (금) 00:34 기준 최신판
신군 전쟁
독일 내전
독일 내전 german civil war The Great german War | |||||||||
---|---|---|---|---|---|---|---|---|---|
독일 내전의 일부 | |||||||||
| |||||||||
교전국 | |||||||||
독일 군사정부 → 나치 독일 |
독일 인민공화국 지원 세력 | ||||||||
지휘관 | |||||||||
힌덴부르크† |
에른스트 텔만 | ||||||||
병력 | |||||||||
독일군 약 600만명 슈츠슈타펠 약 30만명 |
혁명대 300만명 이상 독일 인민공화국 340만명 | ||||||||
피해 | |||||||||
나치 독일군 70만명 사망 나치 독일 민간인 120만명 사망 |
혁명대 132만명 이상 사망 독일 인민군 30만명 이상 사망 |
스페인 내전
이베리아 내전 Spain civil war Iberia civil war | |||||||||
---|---|---|---|---|---|---|---|---|---|
이베리아 내전의 일부 | |||||||||
| |||||||||
교전국 | |||||||||
스페인 왕국 스페인 통합위원회 지원 세력 |
스페인 공화국 지원 세력 | ||||||||
지휘관 | |||||||||
알폰소 13세 |
부에나벤투라 두루티 | ||||||||
병력 | |||||||||
왕당파 스페인 세력 총 500만명 | 공화파 스페인 세력 총 470만명 | ||||||||
피해 | |||||||||
왕당파 스페인 세력 총 110만명 사망하거나 부상 | 공화파 스페인 세력 총 65만명 사망하거나 부상 |
바르샤바 혁명
바르샤바 4월 혁명 Warsaw April Revolution Warsaw Revolution | |||||||||
---|---|---|---|---|---|---|---|---|---|
바르샤바 4월 혁명의 일부 | |||||||||
| |||||||||
교전국 | |||||||||
폴란드 혁명군 |
폴란드 사회공화국 | ||||||||
지휘관 | |||||||||
지그문트 베를링†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 ||||||||
병력 | |||||||||
혁명군 12만명 | 정부군 30만명 | ||||||||
피해 | |||||||||
혁명군 3만명 사망 | 정부군 4만명 사망 |
개요
독일 내전 이후 소련에 의해 괴뢰화된 폴란드를 되찾기 위해 벌인 혁명이다.
이 혁명으로 혁명군이 승리해 민주정부를 꾸렸으나 소련의 침공이 시작되었다.
혁명 발발전
혁명 발발전인 1935년 8월 17일부터 이 혁명이 계획되었다. 당시 폴란드 자체 사회주의 정부가 구성되기 전이라 소련의 외교관들이 폴란드의 내각을 구성했는데 이에 반발한 폴란드 의원들이 이 혁명을 계획했다.
1935년 10월 13일 이 혁명 계획이 폴란드 정부의 귀에 들어가게 되었지만 정부는 아랑곳하지 않았다.
1936년 1월 1일 크라쿠프에서 혁명을 조직중에 모임중 혁명에 대한 열기가 차올라 갑작스럽게 크라쿠프에서 전투가 발생했다. 당시 68명 가량이 폭동을 일으켰으며 당시 소규모 폭동이 판을 첬기에 조사를 빠르게 끝나 주동자가 잡히진 않았다.
1936년 3월 30일 계획 일자를 잘못 알아들은 혁명군 3대대가 바르샤바를 행진하던 도중 계획날이 아니였음을 직감하고 바로 작전기지로 후퇴했다.
정부는 정신나간놈들이라 생각하고 6명을 체포한 뒤에 조사를 종료했다.
1936년 3월 6일 새벽 혁명군 중앙기지가 정부군에 의해 들통났지만 빠르게 주거구역으로 꾸미며 사건을 일단락 되었다.
1936년 3월 7일 오전 4시 35분 혁명군 1사단,2사단,3사단이 차례대로 바르샤바,크라쿠프,그단스크에서 혁명을 일으키며 바르샤바 4월 혁명이 시작되었다.
혁명 진행과정
1936년 3월 7일 오전 7시 33분부터 오전 9시 12분까지 혁명군 대표가 민주주의에 대한 연설을 하였다.
1936년 3월 7일 오후 12시 02분 1사단이 바르샤바 중앙정부청사를 폭격했다.
1936년 3월 10일 오후 8시 19분 소련이 폴란드 정부의 지원요청을 거부했다.
1936년 3월 14일 오후 4시 41분 3사단이 그단스크를 끝내 점령하지 못하고 바르샤바로 후퇴했다.
1936년 3월 20일 바르샤바 전역에서 시민들이 혁명에 참여했다.
1936년 3월 26일 오전 2시 24분 크라쿠프 전투에서 2만 6000천명의 사상자를 내며 혁명군이 전투에서 승리했다.
1936년 3월 27일 오후 11시 35분 정부군 대부분이 대열에서 이탈하여 해산되기 시작했다.
1936년 3월 28일 오전 2시 55분 폴란드 정부가 혁명군에게 항복 의사를 전달했다.
1936년 3월 28일 오전 5시 03분 혁명군이 혁명이 종식되었음을 알렸다.
혁명? 내전?
이 사건이 혁명인지 내전인지 햇갈려하는 사람이 많다. 계획된 군사작전은 내전이 틀림 없으나 혁명을 일으킨 군 이름도 애초에 "혁명군"이고 많은 폴란드인이 참여했기때문에 혁명이라고 보는게 옳다.
.
신군 정당
신군 국가/단체
독일 인민공화국
독일 인민공화국
People's Republic of Germany | ||||
| ||||
Proletarier aller Länder, vereinigt Euch!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
상징 | ||||
국가 | 혁명을 위한 나날들 | |||
존속 기간 | ||||
1927년 4월 27일 ~ 1933년 6월 5일 | ||||
정치 | ||||
국가원수 | 중앙의회 의장 | |||
정부수반 | 혁명위원회 군사상임위원장 | |||
정치채제 | 단원제,일당제,민주집중제,중앙집권제,연방 | |||
주요 지도자 | 빌헬름 피크 에른스트 텔만 |
개요
베를린 대혁명이 성공한 이후에 만들어진 국가이다. 베를린 대혁명을 주도하며 많은 노동자들을 혁명에 참여시켰지만 갈수록 많아지는 반대파와 빌헬름 피크가 사망하며 당시 중립을 선언한 나치당에 거의 흡수되었다.
여러 문제
독일인민공화국은 시작부터 나사가 빠져있었다. 독일인민공화국이 선포된 이후 혁명대인원이 혁명위원회로 오길 장려했지만 극히 일부가 갔을뿐 대부분의 혁명대는 독일인민공화국의 독자적인 세력으로 활동했다. 이러한 이유때분에 독일인민공화국의 정부수반, 국가원수 모두 꼭두각시일 뿐이였고 이후 내전에서 혁명대가 나치당에 흡수되자 빠르게 나라가 점령되어 멸망했다.
정치적인 문제
여러 복합적인 정치적인 문제또한 존재했다. 처음 나라가 선포되었을 당시, 중앙의회 의장인 발터 울브리히트가 권력을 쥐고 있었는데 이후 혁명대의 지지를 받은 빌헬름 피크가 마음대로 혁명위원회를 조직하여 정부의 수반이 되었고 발터 울브리히트는 나라가 멸망한 후까지 권력한번 쥐어보지도 못하고 독일군에 잡혀 대외 선전수단으로 사용되기까지 했다. 심지어 혁명위원회는 혁명대보다 아래였기에 독일인민공화국 국민들은 지도자가 누군지 많이 했갈려했다.
경제적인 문제
독일인민공화국은 영국과 프랑스에게 지원을 거부당했고 소련또한 안보가 위험해진다며 지원을 꺼렸다. 결국 독일인민공화국은 아무런 지원도 못받고 내전에 임해야했고 자국내에서 많드는 자원도 한계가 있었기에 독일인민공화국은 내내 식량난과 물자난에 시달렸다.
외교적인 문제
소련과 영국,프랑스에게 지원을 거부당한 만큼 외교는 아예 엄두도 못냈으며 당시 정부수반이였던 에른스트 텔만은 소련이 폴란드를 지원했다는 소식을 듣고 매우 화를 냈다고 한다. 그나마 중립국이였던 미국과 적지만 몇개의 외교 관계를 맺는데 성공했으나 나라가 멸망하면서 모두 나치독일로 대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