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중추원의원 총선거 (빌레펠트)

JoeyCharlesJohn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22일 (일) 11:39 판 (→제도)
공지
| 빌레펠트 연재부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틀:역대 대한국 중추원

제1회 중추원의원 총선거
第一回中樞院議員總選擧
(최초 선거) 1897년 7월 8일
제1회 중추원선
1901년 모월 모일
제2회 중추원선
투표율 95.5%
선거 결과

보국 127석 (35.88%)
(32.49%) 115석 독립
정당 지역구 총합 비율
보국협회 127석 127석 35.88%
독립협회 115석 115석 32.49%
광제동지회 22석 22석 6.21%
대성회 9석 9석 2.54%
평안정우회 9석 9석 2.54%
무소속 72석 72석 20.34%

개요

배경

1896년 7월 17일 대한국 헌법이 반포됨에 따라 중추원이 입법기구로서의 지위를 확립하였으며, 이후 선거법이 제정됨에 따라 중추원의원들을 새로이 선출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선거 당시 정부는 김홍집 정부였다.

제도

  • 선거구
    각 지방의 등급에 따라 선출의원수에 차등을 두는 방식의 중대선거구 제도를 채택하였다. 전국 228개 경·부·목·군·현을 각각의 선거구로 나누었으며, 5경(京)이 각각 5인씩 25인, 6부(府)가 각각 4인씩 24인, 17목(牧)이 각각 3인씩 51인, 54군(郡)이 각각 2인씩 108인, 146현(縣)이 각각 1인씩 146인 총 354인의 의원을 선출하였다. 당시 프랑스 조차지였던 강화도와 간도도독부로 관리받던 간도지역은 선거구가 설정되지 않았다.
  • 선거권 · 피선거권
    신민 중 '1년 이상 대한국 본토에 거주하고 75냥 이상의 직접국세를 내는 25세 이상 성인 남성'에게만 선거권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여성들은 투표에 참여도 할 수 없었고, 성인 남성이라도 중상류층 이하면 투표에 참여할 수가 없었다. 다만 선거법 제정 당시 참고하였던 일본의 중의원의원선거법과 달리 해당 지역에 거주할 것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아 유권자가 적은 지역에서는 위장전입 등을 이용한 부정선거가 일어나기도 했다. 피선거권 규정은 연령제한을 30세 이상으로 설정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선거권 규정과 동일하였다.
  • 임기
    현재와 마찬가지로 중추원 해산이 없는 이상 임기는 4년이었다.

선거 결과

지역별 결과

경기

정당 의석수 비율 총합
보국협회 30석 69.77% 43석
독립협회 13석 30.23%

호서

정당 의석수 비율 총합
독립협회 17석 45.95% 37석
보국협회 10석 27.03%
광제동지회 8석 21.62%
대성회 2석 5.41%

호남

정당 의석수 비율 총합
보국협회 23석 39.66% 58석
독립협회 15석 25.86%
광제동지회 14석 24.14%
무소속 6석 10.34%

영남

정당 의석수 비율 총합
독립협회 39석 50% 78석
보국협회 14석 17.95%
대성회 6석 7.69%
무소속 19석 24.36%

강원

정당 의석수 비율 총합
보국협회 14석 56% 25석
독립협회 1석 4%
대성회 1석 4%
무소속 9석 36%

관북

정당 의석수 비율 총합
보국협회 14석 35.9% 39석
독립협회 12석 30.77%
무소속 13석 33.33%

관서

정당 의석수 비율 총합
보국협회 10석 20.41% 49석
평안정우회 9석 18.37%
독립협회 8석 16.33%
무소속 22석 44.9%

해서

정당 의석수 비율 총합
보국협회 12석 48% 25석
독립협회 10석 40%
무소속 3석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