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특별행정구
|
중화민국 홍콩 특별행정구 中華民國香港特別行政區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of the Republic of China
|
|
|
깃발
|
휘장
|
勇氣 智慧 也永不滅 용기 지혜는 영원히 불멸한다
|
상징
|
|
역사
|
[ 펼치기 · 접기 ]
|
지리
|
[ 펼치기 · 접기 ]
수도
|
중사이구(빅토리아 시티) 북위 22°17′12″ 동경 114°09′18″
|
최대도시
|
면적
|
1,105.6km2 | 세계 173위
|
내수면 비율
|
4.6%
|
접경국
|
중국
|
|
인문환경
|
[ 펼치기 · 접기 ]
인구
|
총 인구
|
7,571,777명(2022년) | 세계 103위
|
민족 구성
|
중국인 (92.0%)
|
인도네시아인 및 필리핀인 (4.6%) 백인 (0.8%) 기타 (2.6%)
|
인구 밀도
|
6,777명/km2
|
출산율
|
1.05명 (2021년)
|
기대수명
|
85.4세 (2021년)
|
언어
|
공용어
|
영어, 중국어(사실상 광둥어)
|
공용문자
|
로마자, 한자
|
종교
|
국교
|
없음 (정교 분리)
|
분포
|
불교 21.2% 도교 14.1% 기독교 11.8% 이슬람교 3.1% 힌두교 0.5% 시크교 0.1% 무종교·기타 49.2%
|
군대
|
없음[1]
|
인간개발지수
|
0.949(2020년) | very high | 세계 4위
|
|
하위 행정구역
|
[ 펼치기 · 접기 ]
|
정치
|
[ 펼치기 · 접기 ]
정치 체제
|
중국의 특별행정구, 단일제, 의원내각제, 단원제, 대륙법계
|
민주주의 지수
|
7.99점, 결함있는 민주주의 (2021년) (167개국 중 22위, 아시아 5위)
|
중국 총통 (국가원수)
|
후춘화
|
정부 요인
|
행정장관 (정부수반)
|
우치와이
|
입법회 주석
|
네이선 로
|
정무사장
|
앨빈 양
|
여당
|
틀:민주파(홍콩) (민국 38)
|
|
경제
|
[ 펼치기 · 접기 ]
경제 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 경제
|
GDP (PPP)
|
전체
|
$4,723억 1,080만(2022년 IMF 기준) | 세계 43위
|
1인당
|
$62,838(2022년 IMF 기준) | 세계 19위
|
GDP (명목)
|
전체
|
$3,686억 1,096만(2022년 IMF 기준) | 세계 30위
|
1인당
|
$49,036(2022년 IMF 기준) | 세계 9위
|
국부
|
$3조 1,670억(2020년) | 세계 18위
|
무역
|
수출
|
$1,260억 1,800만(2020년)
|
수입
|
$3,130억 5,700만(2020년)
|
외환보유액
|
$4,657억 1,700만(2020년)
|
신용 등급
|
무디스 Aa2 S&P AA+ Fitch AA+
|
화폐
|
공식 화폐
|
홍콩 달러(HK$, 港元)
|
ISO 4217
|
HKD
|
국가 예산
|
1년 세입
|
$482억 3,000만(2020년)
|
1년 세출
|
$956억 442만(2020년)
|
|
단위
|
[ 펼치기 · 접기 ]
법정연호
|
서력기원[2]
|
시간대
|
UTC+8 (홍콩 시간)
|
도량형
|
SI 단위
|
|
외교
|
[ 펼치기 · 접기 ]
|
ccTLD
|
.hk, .hk.cn, .香港
|
국가 코드
|
HK, HKG
|
행정구역 한자 약칭
|
港
|
국제전화코드
|
+852
|
차량 통행 방향
|
왼쪽
|
|
중화민국 홍콩 특별행정구(中華民國香港特別行政區, Hong Kong Special Administrative Region), 약칭 홍콩(香港, Hong Kong)은 동아시아의 도시이자 중화민국에 속한 특별행정구이다. 1842년 8월 29일 난징 조약으로 영국의 식민지가 되었으나 중영공동선언을 거쳐 일국양제 시행에 합의 후 1997년 7월 1일에 중국에 특별행정구로 편입되었다. 서비스업을 비롯해 물류와 금융업이 매우 발달해 있는데, 아시아에서는 물론 국제 금융의 중심지로서 뉴욕, 런던과 함께 세계 3대 금융허브로 꼽힌다.
- ↑ 주홍콩 중화민국 국군이 방위를 전담하고 있으며 이외의 무장경찰과 국경경찰등의 준군사 조직은 홍콩 행정부가 운용 중이다.
- ↑ 영내의 일부 본토계 주민들을 중심으로 민국기년이 쓰이기도 한다.
- ↑ 마카오, 청나라 소조정, 간덴포드랑과 동시 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