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분류:MPA분류:자음분류:마찰음분류:치경음 {| class ="wikitable" style="max-width: 450px; border: 2px solid #DF013A; text-align: center; float: right; ;" |- ! colspan="5" style="font-size: 12pt; color: #fff; background:linear-gradient(to left, #DF013A, #DF013A);" | '''<big>치경 마찰음</big>'''<br>'''Alveolar Fricative''' |- | colspan="5" | <center><big><big> '''{{글씨 크기|30|s • z}}''' </big></big> |- | colspan="1" style="font-size:...) |
(→개요)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한국어의 ㅅ와 ㅆ가 [[전설 고모음]]과 그에 대응하는 반모음 앞이 아닐 경우에 이 발음의 무성음에 해당한다. ㅅ는 기식이 들어가 [ sʰ ]으로 발음되고, ㅆ는 강하게 조음되어 [ s͈ ]로 발음된다. 따라서 세계 대부분의 언어에서 쓰이는 일반적인 [ s ]는 이 둘의 중간 정도이다.<ref>그 형태를 고려하면 ㅅ은 거센소리, ㅆ은 된소리에 해당하므로 예사소리 포지션을 갖는 ㅅ이 고대국어에 있었을 수도 있다.</ref> | 한국어의 ㅅ와 ㅆ가 [[전설 고모음]]과 그에 대응하는 반모음 앞이 아닐 경우에 이 발음의 무성음에 해당한다. ㅅ는 기식이 들어가 [ sʰ ]으로 발음되고, ㅆ는 강하게 조음되어 [ s͈ ]로 발음된다. 따라서 세계 대부분의 언어에서 쓰이는 일반적인 [ s ]는 이 둘의 중간 정도이다.<ref>그 형태를 고려하면 ㅅ은 거센소리, ㅆ은 된소리에 해당하므로 예사소리 포지션을 갖는 ㅅ이 고대국어에 있었을 수도 있다.</ref> | ||
일본어 역시 전자는 일반적인 さ행으로 알아듣고, 후자는 어두 이외에 있을 때 앞에 촉음이 첨가된 っさ행 등으로 알아듣는다. 사실 이런식으로 s을 두 가지로 나누는 경우 자체가 한국어와 일본어 외에 거의 없다. | 일본어 역시 전자는 일반적인 さ행으로 알아듣고, 후자는 어두 이외에 있을 때 앞에 촉음이 첨가된 っさ행 등으로 알아듣는다.<ref>정확히는 장자음으로, [ s͈ː ]정도로 표기된다.</ref>사실 이런식으로 s을 두 가지로 나누는 경우 자체가 한국어와 일본어 외에 거의 없다. | ||
==각주== | ==각주== |
2024년 6월 29일 (토) 16:12 기준 최신판
치경 마찰음 Alveolar Fricative | ||||
---|---|---|---|---|
s • z
| ||||
치경 | ||||
중설 | ||||
치찰 마찰 |
개요
혀를 윗잇몸 가까이 가져가 공기를 마찰시키며 내는 소리.
한국어의 ㅅ와 ㅆ가 전설 고모음과 그에 대응하는 반모음 앞이 아닐 경우에 이 발음의 무성음에 해당한다. ㅅ는 기식이 들어가 [ sʰ ]으로 발음되고, ㅆ는 강하게 조음되어 [ s͈ ]로 발음된다. 따라서 세계 대부분의 언어에서 쓰이는 일반적인 [ s ]는 이 둘의 중간 정도이다.[1] 일본어 역시 전자는 일반적인 さ행으로 알아듣고, 후자는 어두 이외에 있을 때 앞에 촉음이 첨가된 っさ행 등으로 알아듣는다.[2]사실 이런식으로 s을 두 가지로 나누는 경우 자체가 한국어와 일본어 외에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