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JoeyCharlesJoh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1877년 3월 30일 | | 1877년 3월 30일 | ||
|- | |- | ||
| 한성부 순화방 범숙의궁<br>(現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경 한성부]] [[ | | 한성부 순화방 범숙의궁<br>(現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경 한성부]] [[황성구 (빌레펠트)|황성구]] 효자동·궁정동 일대) | ||
|- | |- |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즉위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즉위 | ||
| 1926년 4월 30일 (49세) | | 1926년 4월 30일 (49세) | ||
|- | |- | ||
|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경 한성부]] [[ | |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경 한성부]] [[황성구 (빌레펠트)|황성구]] 창덕궁 인정문 | ||
|- | |- |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사망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사망 | ||
| 1955년 8월 16일 (향년 78세) | | 1955년 8월 16일 (향년 78세) | ||
|- | |- | ||
|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경 한성부]] [[ | |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경 한성부]] [[황성구 (빌레펠트)|황성구]] 창덕궁 흥복헌 | ||
|- | |- |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능묘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능묘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left;margin-top:-2px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left;margin-top:-2px " | ||
|- | |- | ||
| | | 의숙궁 혜비 정씨<br>인현궁 현비 김씨<br>수현당 귀인 정씨<br>수헌당 귀인 조씨<br>수덕당 숙원 이씨<br>수완당 숙원 김씨<br>수길당 숙원 박씨<br>수광당 귀인 송씨<br>수경당 귀인 김씨<br>수공당 숙원 김씨<br>수재당 귀인 함씨<br>승환궁 순빈 김씨<br>홍명궁 숙빈 홍씨 | ||
|- | |- | ||
|} | |} | ||
77번째 줄: | 77번째 줄: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left;margin-top:-2px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left;margin-top:-2px " | ||
|- | |- | ||
| '''장남''' [[혜종 헌황제 (빌레펠트)|혜종 헌황제]]<br>'''차남''' [[강종 | | '''장남''' [[혜종 헌황제 (빌레펠트)|혜종 헌황제]]<br>'''차남''' [[강종 위황제 (빌레펠트)|강종 위황제]]<br><del>'''삼남''' [[한충공왕 (빌레펠트)|한충공왕]]</del><ref>어린시절 혈통상 5촌 종숙인 한무강왕 이준의 양자로 출계하여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ref><br><del>'''사남''' [[의국공 이해직 (빌레펠트)|의국공 이해직]]</del><ref>전왕가의 후손인 봉의인국공 이헌용의 양자로 출계하여 전효민왕 가문의 가계를 이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ref><br><del>'''오남''' [[예국공 이해창 (빌레펠트)|예국공 이해창]]</del><ref>혈통상 11촌인 대궁의 봉의의국공 이인용에게 출계하여 인평대군의 종가를 이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ref><br>'''장녀''' [[의현공주 (빌레펠트)|의현공주]]<br>'''육남''' [[정철익왕 (빌레펠트)|정철익왕]]<br>'''차녀''' [[의안공주 (빌레펠트)|의안공주]]<br><del>'''칠남''' [[의국공 이해청 (빌레펠트)|의국공 이해청]]</del><ref>계동궁 봉의인국공 이기용의 양자로 출계하여 신소민왕 가문의 종가를 계승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ref><br>'''삼녀''' [[의경공주 (빌레펠트)|의경공주]]<br>'''사녀''' [[의승공주 (빌레펠트)|의승공주]]<br>'''팔남''' [[경강양왕 (빌레펠트)|경강양왕]]<br>'''구남''' [[안순문왕 (빌레펠트)|안순문왕]]<br>'''오녀''' [[화국대장공주 이공 (빌레펠트)|화국대장공주]]<br>'''육녀''' [[의헌공주 (빌레펠트)|의헌공주]]<br>'''십남''' [[승왕 이석 (빌레펠트)|승왕]]<br>'''십일남''' [[문왕 이환 (빌레펠트)|문왕]]<br>'''칠녀''' [[동국대장공주 이용 (빌레펠트)|동국대장공주]]<br>'''십이남''' [[직왕 이정 (빌레펠트)|직왕]]<br>'''팔녀''' [[효국대장공주 이현 (빌레펠트)|효국대장공주]]<br>'''구녀''' [[명국대장공주 이민 (빌레펠트)|명국대장공주]] | ||
|- | |- | ||
|} | |} | ||
108번째 줄: | 108번째 줄: | ||
|- | |- | ||
!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시호 | !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시호 | ||
| 성역강명문무신덕''' | | 성역강명문무신덕'''무황제'''<br>(成易康明文武神德'''武皇帝)'''<ref>정식 시호는 '성조광익장양위무숙흥성환광무신공승천성역강명문무신덕무황제(成祖光翼莊襄威武肅興成桓光武神功承天成易康明文武神德武皇帝)'가 된다.</ref> | ||
|- | |- | ||
!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연호 | !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연호 | ||
121번째 줄: | 121번째 줄: | ||
{{목차}} | {{목차}} | ||
=개요= | =개요= | ||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의 제3대 황제이다. 묘호는 '''성조'''(成祖), |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의 제3대 황제이다. 묘호는 '''성조'''(成祖), 휘는 강(堈), 자는 사강(士岡)이다. 정식 시호는 성조광익장양위무숙흥성환광무신공승천성역강명문무신덕무황제(成祖光翼莊襄威武肅興成桓光武神功承天成易康明文武神德武皇帝)로, 줄여서 '''무황제'''(武皇帝)로 불린다. 절일은 수경성절(壽慶聖節). 재위기간동안 사용한 연호는 '''평장'''(平章)이다. 아버지와 형이 각각 연호에서 따온 광무황제, 융희황제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것과 같이 본인 또한 그 빈도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평장황제(平章皇帝), 평장제 등으로도 불린다. | ||
[[고종 태황제 (빌레펠트)|고종]] 대에 한국이 근대국가로 성장하고, [[순종 효황제 (빌레펠트)|순종]] 대에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졌다면, 성조의 치세는 [[제2차 벨트크리그]]에서 국체를 보존하고 | [[고종 태황제 (빌레펠트)|고종]] 대에 한국이 근대국가로 성장하고, [[순종 효황제 (빌레펠트)|순종]] 대에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졌다면, 성조의 치세는 [[제2차 벨트크리그]]에서 국체를 보존하고 입헌민주주의 제도가 정착되어 현대의 대한국을 형성한 시기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업적으로 인해 성조는 한국사에서 역대 대한국 황제 중에서도 명군으로 유명하지만, 무력개입을 최대한 자제하였던 선대 순종과 달리 그의 치세에 잦은 해외출병 등 군국주의적 행보가 나타난 점, 성조 이후의 황제-정부 관계가 입헌군주제적 관계로 정착되었다곤 하나 정작 본인의 치세 상당수는 아버지 [[고종 태황제 (빌레펠트)|고종]]과 별반 다르지 않은 전제군주제적 특성을 띄었다는 점에서 치세나 업적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당대에도 성군(聖君)은 아니란 평이 꽤 있었다. 여기에 더해 현대에 와서는 본인의 여성편력과 아들 [[혜종 헌황제 (빌레펠트)|혜종]]과의 불화가 재조명되며 과거에 비해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 군주이다. | ||
이러한 업적으로 인해 성조는 한국사에서 | |||
황제 즉위 이전 친왕시절의 작호인 '''의왕'''(義王)이나 그 별칭인 '''의친왕'''(義親王)이 잘 알려져 있으며, 피휘로 인해 자주 거론되지는 않으나 본명인 '''이강''' 또한 유명하다. | 황제 즉위 이전 친왕시절의 작호인 '''의왕'''(義王)이나 그 별칭인 '''의친왕'''(義親王)이 잘 알려져 있으며, 피휘로 인해 자주 거론되지는 않으나 본명인 '''이강''' 또한 유명하다. | ||
=생애= | =생애= | ||
=[[성조 | =[[성조 무황제/평가 (빌레펠트)|평가]]= | ||
{{본문|성조 | {{본문|성조 무황제/평가 (빌레펠트)}} | ||
=가족 관계= | =가족 관계= | ||
=[[성조 | =[[성조 무황제/여담 (빌레펠트)|여담]]= | ||
{{본문|성조 | {{본문|성조 무황제/여담 (빌레펠트)}} | ||
=대중매체= | =대중매체= | ||
=관련문서= | =관련문서= | ||
=둘러보기= | =둘러보기= | ||
{{빌레펠트 하단}} | {{빌레펠트 하단}} |
2024년 11월 21일 (목) 22:21 기준 최신판
공지 | | 빌레펠트 연재부 |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대한국 황제 |
---|
[ 펼치기 · 접기 ] |
대한국 제3대 황제 성조 | 成祖 | ||||||||||||||||||||||||||||||||||||||||
---|---|---|---|---|---|---|---|---|---|---|---|---|---|---|---|---|---|---|---|---|---|---|---|---|---|---|---|---|---|---|---|---|---|---|---|---|---|---|---|---|
출생 | 1877년 3월 30일 | |||||||||||||||||||||||||||||||||||||||
한성부 순화방 범숙의궁 (現 한경 한성부 황성구 효자동·궁정동 일대) | ||||||||||||||||||||||||||||||||||||||||
즉위 | 1926년 4월 30일 (49세) | |||||||||||||||||||||||||||||||||||||||
한경 한성부 황성구 창덕궁 인정문 | ||||||||||||||||||||||||||||||||||||||||
사망 | 1955년 8월 16일 (향년 78세) | |||||||||||||||||||||||||||||||||||||||
한경 한성부 황성구 창덕궁 흥복헌 | ||||||||||||||||||||||||||||||||||||||||
능묘 | ||||||||||||||||||||||||||||||||||||||||
태릉(太陵) | ||||||||||||||||||||||||||||||||||||||||
재위기간 | 조선국 의화군 | |||||||||||||||||||||||||||||||||||||||
1892년 1월 28일 ~ 1897년 10월 12일 (음력 신묘년 신축월 기미일 ~ 광무 4년 10월 12일) | ||||||||||||||||||||||||||||||||||||||||
대한국 의왕 | ||||||||||||||||||||||||||||||||||||||||
1897년 10월 12일 ~ 1926년 4월 30일 (광무 4년 10월 12일 ~ 융희 7년 4월 30일) | ||||||||||||||||||||||||||||||||||||||||
대한국 제3대 황제 | ||||||||||||||||||||||||||||||||||||||||
1926년 4월 30일 ~ 1955년 8월 16일 (융희 7년 4월 30일 ~ 평장 29년 8월 16일)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대한국의 제3대 황제이다. 묘호는 성조(成祖), 휘는 강(堈), 자는 사강(士岡)이다. 정식 시호는 성조광익장양위무숙흥성환광무신공승천성역강명문무신덕무황제(成祖光翼莊襄威武肅興成桓光武神功承天成易康明文武神德武皇帝)로, 줄여서 무황제(武皇帝)로 불린다. 절일은 수경성절(壽慶聖節). 재위기간동안 사용한 연호는 평장(平章)이다. 아버지와 형이 각각 연호에서 따온 광무황제, 융희황제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는것과 같이 본인 또한 그 빈도는 상대적으로 적으나 평장황제(平章皇帝), 평장제 등으로도 불린다.
고종 대에 한국이 근대국가로 성장하고, 순종 대에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졌다면, 성조의 치세는 제2차 벨트크리그에서 국체를 보존하고 입헌민주주의 제도가 정착되어 현대의 대한국을 형성한 시기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업적으로 인해 성조는 한국사에서 역대 대한국 황제 중에서도 명군으로 유명하지만, 무력개입을 최대한 자제하였던 선대 순종과 달리 그의 치세에 잦은 해외출병 등 군국주의적 행보가 나타난 점, 성조 이후의 황제-정부 관계가 입헌군주제적 관계로 정착되었다곤 하나 정작 본인의 치세 상당수는 아버지 고종과 별반 다르지 않은 전제군주제적 특성을 띄었다는 점에서 치세나 업적에 대한 논란이 있으며 당대에도 성군(聖君)은 아니란 평이 꽤 있었다. 여기에 더해 현대에 와서는 본인의 여성편력과 아들 혜종과의 불화가 재조명되며 과거에 비해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 군주이다.
황제 즉위 이전 친왕시절의 작호인 의왕(義王)이나 그 별칭인 의친왕(義親王)이 잘 알려져 있으며, 피휘로 인해 자주 거론되지는 않으나 본명인 이강 또한 유명하다.
생애
평가
가족 관계
여담
대중매체
관련문서
둘러보기
- ↑ 어린시절 혈통상 5촌 종숙인 한무강왕 이준의 양자로 출계하여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
- ↑ 전왕가의 후손인 봉의인국공 이헌용의 양자로 출계하여 전효민왕 가문의 가계를 이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
- ↑ 혈통상 11촌인 대궁의 봉의의국공 이인용에게 출계하여 인평대군의 종가를 이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
- ↑ 계동궁 봉의인국공 이기용의 양자로 출계하여 신소민왕 가문의 종가를 계승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
- ↑ 정식 시호는 '성조광익장양위무숙흥성환광무신공승천성역강명문무신덕무황제(成祖光翼莊襄威武肅興成桓光武神功承天成易康明文武神德武皇帝)'가 된다.
ㅤ ㅤ | ||||||
ⓒ 2024. ERIA Co. All rights reserved. | ||||||
ERIA 빌레펠트연재팀 정보 ▼
|
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