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Valdemaro Ligioni/3: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3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틀:만주일몽}}
{{틀:리조니 연습장}}
{{:만민공 역대 대총통}}
= 복붙할만한 인물 =
{| class="wikitable" style="width:450px; float: right; font-size:10pt;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text-align: center; border:2px solid #005999;"
 
= 서버폰트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font-size: 0.95em;"
! colspan="2" | Palatino Linotype
|-
! rowspan="4" width="10%" | normal
! 예제
|-
| <syntaxhighlight inline lang="html"><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syntaxhighl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128, #005999 20%, #005999 80%, #001128); color:#FFF;" | [[파일:만민공 대총통장.svg|50px]]<br>만주 민주 공화국 대총통
! 결과
|-
! colspan="2" style="background:#E0E0E0; color:#fff;" "text-align:right;" |<div><div style="margin: -5px -9px"><span style="display: inline-block;">[[파일:코카친 오트건바야르 대총통 오피셜1.png|450px]]</span></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005999; color:#fff;" "text-align:right;" |<div style="margin: -90px">[[파일:만주 민주 공화국 대총통기.svg|100px]]</div>
|-
|-
! width=30% style="background:#005999 ; color:#fff;" "text-align:right;" | 현직
| <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
| align="left" | [[코카친 오트건바야르]]<br>({{글씨 크기|9|{{MongolUnicode|ᠬᠥᠬᠥᠬᠴᠤᠢᠨ<br>ᠣᠲᠭᠣᠨᠪᠠᠶᠠᠷ}}}})<small>/제6대</small>
|-
|-
! width=30% style="background:#005999 ; color:#fff;" "text-align:right;" | 임기
! rowspan="5" | bold
| align="left" | 년 월 일 ~ 년 월 일 (N년)
! 예제
|-
|-
! width=30% style="background:#005999 ; color:#fff;" "text-align:right;" | 정당
| <syntaxhighlight inline lang="html"><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syntaxhighlight>
| align="left" | {{만주 인민민주당}}
|-
|-
! width=30% style="background:#005999 ; color:#fff;" "text-align:right;" | 관저
| <syntaxhighlight inline lang="html"><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 font-weight: bold;">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syntaxhighlight>
| align="left" | [[묵던 수도시(만민공)|묵던 수도시]] [[묵던궁전 (만민공)|묵던궁전]]<br>{{여백|5.4em}}[[묵던 총통관 (만민공)|총통관]]
|-
|-
! width=30% style="background:#005999 ; color:#fff;" "text-align:right;" | 초대
! 결과
| align="left" | [[니어후루 아이싱가]]<br>({{글씨 크기|9|{{MongolUnicode|ᠨᡳᠣᡥᡠᡵᡠ<br>ᠠᡳᠰᡳᠩᡤᠠ}}}})<small>/초대</small>
|-
|-
! width=30% style="background:#005999 ; color:#fff;" "text-align:right;" | 호칭
| <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 font-weight: bold;">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
| align="left" | 각하 (閣下)
|-
|-
! width=30% style="background:#005999 ; color:#fff;" "text-align:right;" | 성립
! rowspan="5" | italic
| align="left" | 1994년 1월 10일
! 예제
|-
|-
! colspan="2"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128, #005999 20%, #005999 80%, #001128); color:#FFF;" | [[파일:만민공 대총통장.svg|50px]]
| <syntaxhighlight inline lang="html"><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syntaxhighlight>
|-
|-
|}
| <syntaxhighlight inline lang="html"><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 font-style:italic;">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syntaxhighlight>
 
|-
 
! 결과
{| class ="wikitable" style="width: 500px; border: 2px solid #005999 ; text-align: center; float: left; ;"
|-
| <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 font-style:italic;">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
|-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만주 묵던궁전 전경.png|500px]]</div>
! rowspan="6" | bold-italic
! 예제
|-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005999 ;" |'''대총통 공식관저 묵던궁전(盛京宮殿)'''
| <syntaxhighlight inline lang="html"><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 font-weight: bold;">''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syntaxhighlight>
|-
|-
|}
| <syntaxhighlight inline lang="html"><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 font-style: italic; font-weight: bold;">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syntaxhighlight>
 
{| class ="wikitable" style="width: 500px; border: 2px solid #005999 ; text-align: center; float: left; ;"
|-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color: #000; background: #fff;" |  <div style="margin: -5.0px -9.0px">[[파일:만주 총통관 전경.png|500px]]</div>
! 결과
|-
|-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005999 ;" |'''대총통 실질관저 총통관(總統舘)'''
| <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 font-style: italic; font-weight: bold;">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
|-
|-
|}
|}
= ㅇㅇ =
* 성좌와 일치
[[파일:교황령 깃발.svg|20px]] [[교황령 (AMDG)|교황령(성좌)]]<sup>맹주</sup><br>
[[파일:시칠리아 연합왕국 깃발.svg|20px]] [[시칠리아 연합왕국 (AMDG)|시칠리아 연합왕국]]<ref>시칠리아의 왕위가 나폴리의 왕위를 동군연합 형식으로 겸임하며 남이탈리아 지역을 지배하는 왕조이다.</ref><br>
[[파일:Flag of the Duchy of Milan (1450).svg|20px]] [[밀라노 공국 (AMDG)|밀라노 공국]]<br>
[[파일:Flag of Genoa.svg|20px]] [[제노바 공화국 (AMDG)|제노바 공화국]]<br>
[[File:State Flag of the Republic of Florence.svg|20px]] [[피렌체 공화국 (AMDG)|피렌체 공화국]]<br>
[[파일:Naval and land fortifications flag of the Republic of Venice (XVIII century-1797 variant).svg|20px]] [[베네치아 공화국 (AMDG)|베네치아 공화국]]<br>
[[파일:Flag_of_the_Habsburg_Monarchy.svg|20px]] [[오스트리아 제국 (AMDG)|오스트리아 제국]]<br>
[[파일:Royal flag of France.svg|20px]] [[프랑스 왕국 (AMDG)|프랑스 왕국]]<br>
[[File:Flag of Franche-Comté.svg|20px]] [[아를 자유백국 (AMDG)|아를 자유백국]]<br>
[[File:Flag of Cross of Burgundy.svg|20px]] [[에스파냐 왕국 (AMDG)|에스파냐 왕국]]<br>
[[File:Flag of Catalonia.svg|20px]] 카탈루냐 아라곤 망명왕조(카탈루냐 백국)<br>
[[File:Royal Standard of Ireland (1542–1801).svg|20px]] 아일랜드 자유국<br>
[[File:Flag of Bavaria (striped).svg|20px]] 바이에른 왕국<br>
[[File:Banner of Baden (3^2).svg|20px]] 바덴바덴 대공국<br>
[[File:Civil Ensign of Luxembourg.svg|20px]] 룩셈부르크 대공국<br>
[[File:Coat of arms of Schleswig.svg|20px]] 슐레슈비히 공작령<br>
[[File:Flag of Hanover (1692).svg|20px]] 하노버 공국<br>
[[File:Canada Pearson Pennant 1964.svg|20px]] 누벨프랑스<br>
[[File:Japanese crest Hana Kurusu.svg|20px]] [[치쿠시 왕국 (AMDG)|치쿠시 왕국]]<br>
[[File:Vexillum Regni Hierosolymae.svg|20px]] [[예루살렘 왕국 (AMDG)|예루살렘 왕국]]<ref>예루살렘 왕국은 십자군 이후, 각 세력의 각축장으로 쓰이고 있다.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가 뒤섞여 있으나 엄연히 전제군주제로써 왕위가 어디에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데 현재는 가톨릭을 기반으로 한 이탈리아계 왕조인 파르네세 가문의 프란치스코 2세가 통치하고 있다. 다만, 예루살렘과 유대 지역을 사실상 지배하고 있는건 파르네세 가문이지만 다마스쿠스를 비롯한 북부 사마리아 지역은 정교회(특히 콘스탄티노플과 일치한 안티오키아 정교회)가 강세인 지역이므로 긴장상태에 있는 지역이다.</ref>


{{목차}}
* 콘스탄티노플과 일치
== 개요 ==
[[File:Flag of Greece (1822-1978).svg|20px]] [[그리스 제국 (AMDG)|그리스 제국]]<sup>명목상 맹주</sup><br>
[[만주 민주 공화국]]의 대총통(만주어:{{MongolUnicode|滿<br>ᠠᠮᠪᠠ<br>ᡬᠠᡩᠠᠯᠠᠮᠪᡳ}},몽골어:{{MongolUnicode|蒙<br>ᠭᠧᠨᠧᠷᠠᠯᠢᠰᠰᠢᠮᠣ}},로씨야어:президент, 중국어:大总统)은 만주 민주 공화국의 대률상 국가원수이자 만주 인민군과 향토방위대의 통수권자이다. 만민공의 정치체제는 이원집정부제이므로 국가원수로서 행정부의 수반이다. 현행 대률에 따라 4년의 임기를 지니며 한번 연임할 수 있다.
[[File:Flag of the Romanov Monarchy.svg|20px]] [[러시아 제국 (AMDG)|러시아 제국]]<sup>실질 맹주</sup><br>
== 대률 ==
[[File:Spachides Flag.svg|20px]]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령<br>
대률에서는 대총통에 대해 "[[만주 민주 공화국/대률/조문#제4장 정부(政府)|제4장 정부(政府)]]"의 "[[만주 민주 공화국/대률/조문#제1절 대총통(大總統)|제1절 대총통(大總統)]]"을 통해 상세한 규정을 마련하고 있다. 대총통의 정의와 그 위치는 다음과 같다.
[[File:Flag of the United Principalities of Romania (1862–1866).svg|20px]] 루마니아 왕국<br>
{{인용문1|[[만주 민주 공화국/대률/조문#제53조 (국가원수)|제53조]]
[[File:Naval ensign of Bulgaria (1878–1944).svg|20px]] 불가리아 왕국<br>
대총통은 만주 민주 공화국을 대표하는 국가원수이며, 국내 및 대외정책을 결정하고 대내·대외에서 만주 민주 공화국을 대표하는 최고 공직자이다.}}
[[File:Naval ensign of the Kingdom of Yugoslavia.svg|20px]] 유고슬라비아 왕국<br>
{{인용문1|[[만주 민주 공화국/대률/조문#제54조 (대총통의 기본 의무)|제54조]]
[[File:Flag of the Sacred Band of 1821.svg|20px]] 폰토스 왕국<br>
① 대총통은 국가의 주권, 영토의 보존, 대률 수호의 책임을 진다.<br>
[[File:Flag of the Kingdom of Georgia.svg|20px]] 조지아 왕국<br>
② 대총통은 모든 국가권력기관의 원활한 운영 및 영위와 인민에 대한 기관의 책임을 보장하며, 대총통은 모든 행정과 정책에 책임을 진다.<br>
[[File:Flag of Bogd Khaanate Mongolia.svg|20px]] 동몽골왕국<ref>웅게른 슈텐베르크 성왕이 통치</ref>
③ 대총통은 국가의 주권자인 인민의 전체적 의사를 반영해야 한다.}}
{{인용문1|'''대률판의원 유권해석 玄-甲-012 "대총통의 국가원수 지위의 범위"'''
(초략)대총통은 [[만주 민주 공화국]]을 대표하고 통솔하는 자이다. 대총통은 모든 공무원중 최상위 위계에 있으며, 대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서 군의  모든 통수권을 독점한다. 따라서 대총통은 국가원수로서 모든 권력을 사권분립의 원칙과 법률 안에서 향유할 수 있다, 하지만 대총통은 자신의 직권을 사용하는 것에 있어서 적법한 절차와 공익, 사회의 안녕을 고려해야 한다. 무분별한 권한의 사용은 판결에 따라서 남용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이다.<br>(중략)<br>따라서 대률이 정하는 바에 따라서 대총통은 "외국,국내에 대한 국가의 대표, 만주인민군의 원수이자 향토예비대의 통수권자, 모든 행정의 최종 결재권자, 대률의 수호자"라는 직책을 대률에서 정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대총통은 행정권에 대해서 정무총리의 인가를 통해야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결단에 따라서 민의와 의회의 뜻을 배반하지 않고 법을 준수한다면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 선출 ==
{{인용문1|[[만주 민주 공화국/대률/조문#제55조 (대총통의 선출)|제55조]]
① 대총통은 전인민의 보통·평등·주체·비밀선거와 선거원칙에 의해 선출한다.<br>
② 제53조 1항의 선거에 있어서 최고다득표자가 2인 이상의 경우 의원의 과반 수 이상이 참석한 공개회의에서 양원의 단일후보 찬성으로 당선자를 확정한다.<br>
③ 대총통 후보자가 1인인 경우에는 전유권자의 총계수의 3분의 1 이상이 아니면 대총통으로 당선될 수 없다.<br>
④ 대총통 후보의 요건은 40세 이상이며 행정언어인 만주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며, 만주에 10년이상 거주하였고, 기초·고등 교육을 수료하였으며, 후보출마자 본인이 참정권을 지니어 선거권을 부여받은 만주 민주 공화국의 인민은 대총통 후보로 출마할 수 있다.<br>
⑤ 새로운 대총통 선거는 대률에서 정하는 일자에 개최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대총통의 선출은 선거원칙([[만주 민주 공화국/대률/조문#제2조 (선거원칙)|부칙 제2조]])에 따라서 직선제를 통해 선출한다. 대총통은 40세 이상이어야 하고, 만주에서 10년 이상 거주하였으며 기초교육과 고등교육을 모두 수료하였고 국가 전체에서 사용하는 언어인 행정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어야 하며, 후보자 본인이 참정권을 지닌 자만 대총통 후보로 등록될 수 있다. 과거 건국 초기의 대총통([[니어후루 아이싱가]], [[남춘봉]])과 같은 인물들은 "고등교육기관"으로 통상적으로 인정되는 교육기관을 수료한 것으로 인정되어 대총통직에 취임하였다.
 
[[니어후루 아이싱가]]의 경우는 '''프룬체 사관학교'''를 졸업하였고, [[남춘봉]]의 경우는 '''황푸군관학교'''와 '''동방노력자공산대학'''을 졸업해 고등기관의 교육을 수료한 것으로 인정되었다. 이외 모든 대총통들은 대학교를 나온 이들이다. 이외의 대총통의 선풀은 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고, 감리원에서 특히 엄중하게 검사하는데 통상적으로 1~3회정도 개표도중 감리원이 긴급개입하여 조작의심이 있는 표들을 모두 몰수해 검사하는 일이 있을 정도이다.
[[파일:묵던궁전 광장.png|섬네일|오른쪽|350px|취임식과 각종 행사가 이루어지는 광장]]
투표자가 동표가 나온다면 의원의 과반 수 이상이 참석한 공개회의에서 양원의 단일후보 찬성으로 당선자를 확정한다. 또한 후보자가 한명이라면 전체 유권자 수의 3분의 1 이상이 찬성하지 않는다면 당선될 수 없다. 당선이 확정되면 ''당선인'''신분을 부여받고 대총통의 퇴위 이전까지 인수인계를 받게된다. 대률상으로 1월의 두번째주 수요일에 [[묵던 궁전(만민공)|묵던 궁전]]의 동원의 대정전 앞 광장인 '''왕정광장(王亭廣場)'''에서 취임식을 치르게 된다.
{{인용문1|나는 만주 민주 공화국의 주권을 절대적으로 수호하며, 전인민의 권리를 보장하고 건국정신을 수호하며 오족조화를 실천하며 대률의 수호자이자 국가의 대표자로서 철저히 법을 준수하고 국가권력의 원천인 인민에게 봉사하며, 대총통으로서 부여된 직책과 귀중한 의무를 성실히 실천할 것임을 전 인민에게 약속하며 하늘에 맹세합니다.}}
위와 같은 대률에서 정하고 있는([[만주 민주 공화국/대률/조문#제57조 (선서)|제57조]]) 선서 내용을 모두 낭독한 후 연사를 마치면 의례적인 악수와 공연 등이 끝나고 대총통으로서 처음 국새를 찍게되는 안건으로 "대총통 임명의 안 결재"를 수행하게 된다. 역사적으로 최초의 업무는 모두 이것으로 시작한 관례가 있다.
 
== 임기 ==
{{인용문1|[[만주 민주 공화국/대률/조문#제58조 (임기)|제58조]]
만주 민주 공화국의 대총통의 임기는 대률기준력을 기준으로 4년이며 한번 중임할 수 있다.}}
[[만주 민주 공화국]]의 대총통은 4년의 임기를 지내고 한번 중임할 수 있다. 중도사임한 [[그레고리 아나톨로프]]와 현임 대총통인 [[코카친 오트건바야르]]를 제외하고선 모두 4년 이상의 임기를 지냈다. 예외적인 경우는 제4,5대 대총통을 지낸 [[푸차 자이탄]]이 있다. 대총통의 임기는 여타 공직들의 임기와 마찬가지로 정부력으로도 사용되는 '''대률기준력'''을 사용한다. 대률기준력은 부칙에서 정하고 있는데, 부칙 제1조는 '''대률기준력은 1582년 로마 가톨릭 교회의 교황 그레고리오 13세가 정한 태양력인 “서력”을 기준으로 한다.'''라고 정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대부분 국가들이 사용하는 양력(陽歷)을 사용한다는 뜻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대률에 삽입한 이유는 다름아닌 만주 인민 공화국에서 자행되었던 임기를 속여 독재를 자행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만약 탄핵소추를 당한다면 직무가 정지되고 [[대률판의원(만민공)|대률판의원]]의 판결 전까지 잔여 임기를 지낸다. 판결 이후 효력이 발생하면 때를 기준으로 임기는 종료되고 권력계승서열에 따라서 부총통이 권한대행을 지낸다. 이후 정무총리가 정하는 바에 따라 재선거 일정이 잡하고, 재선거가 온전히 종료되면 부총통의 권한대행 임기는 종료된다.
* 비칼케돈파
{{-}}
[[File:Flag of Lebanon (1943-1995).svg|20px]] 레바논 의회 공화국<sup>사실상 중립지대</sup><ref>엄밀히 따지면 로마와 일치한 마론파가 다수종교로써, 그 다음가는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일치한 안티오키아 정교회, 그리고 안티오키아 정교회에서 로마와 일치하여 갈라져 나온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이 주류이며 소수의 종파(시리아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비칼케돈)가 있다. 그 외 순니파 무슬림들이 거주하지만 지배적 세력은 그리스도교 종파이며, 종교인과 세속인이 5:5 비율로 구성되는 국가의회에서 마론파 출신이 관례적으로 지도자로 당선된다. 따라서 대체로 성좌와 일치하는 듯 보이지만 각축장의 형세가 갖추어져 사실상 중립지대가 되었다.</ref><br>
[[File:Flag of the Patriarchate of Alexandria.svg|20px]]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콥트교)령 알렉산드리아 자치구역<br>
[[File:Flag of Ethiopia (1897–1974).svg|20px]] 에티오피아 제국<br>
[[File:Royal Standard of the Principality of Khachen (1214-1261).svg|20px]] 아르메니아 왕국


== 역대 ==
* 프로테스탄트
[[File:War flag of the Holy Roman Empire (1200-1350).svg|20px]] 스위스 연방국<br>
[[File:Coat of arms of Schleswig.svg|20px]] 홀슈타인 공작령<br>
[[File:Wurttflag.png|20px]] 뷔르템베르크 왕국<ref>가톨릭과 개신교의 동거지역, 왕실은 루터교.</ref><br>
[[File:Prinsenvlag.svg|20px]] 저지대 17주 연합 공화국(회중교회 및 침례회)<br>
[[File:Flag of Urburschenschaft.svg|20px]] 북독일연방(루터교)<br>
[[File:Naval Ensign of Sweden (1844-1905).svg|20px]] 칼마르 동맹(루터교)<br>
[[File:Flag of England.svg|20px]] 잉글랜드 왕국(성공회)<br>
[[File:Flag of Scotland.svg|20px]] 스코틀랜드 왕국(장로회)<br>
[[File:Confederate Rebel Flag.svg|20px]] 아메리카 연합국(다양함, 대체로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등)<br>
[[File:First Bear Flag of California (1846).svg|20px]] 캘리포니아 서부 공화국 동맹<ref>무정부 지대인 중부 너머 여러 광산과 농지를 소유한 각기 다른 도시국가들의 느슨한 연합체이다.)(감리교 초강세)</ref>


{| class="wikitable"
* 이슬람 세계
|+
[[File:Naval ensign of Iran (1964–1979).svg|20px]] 카자르 왕조 이란 숭고국<br>
! colspan="9" | '''소속 정당 :''' {{Legend2|#dddddd|무소속|border=1px solid #aaaaaa}}{{Wrap}}, {{Legend2|#C60C30|[[만주 인민민주당]]|border=1px solid #aaaaaa}}{{Wrap}}, {{Legend2|#00137F|[[만주 공화당]]|border=1px solid #aaaaaa}}{{Wrap}}
[[File:Flag of the Ottoman Empire (eight pointed star).svg|20px]] 튀르크 오스만왕조<br>
|-
[[File:Flag of Kurdistan.svg|20px]] 쿠르디스탄 술탄국<br>
!대수
[[File:Flag of the Syrian Arab Army.svg|20px]] 시리아 자미프왕조 술탄국<br>
! colspan="3" |대총통
[[File:Flag of Egypt (1922–1952).svg|20px]] 이집트 왕국<br>
!내각
[[File:Black flag.svg|20px]] 후 하프스 칼리파국<ref>하프스 왕조의 대가 끊겼다가 이어졌다가 하였으며, 근래 들어서 이권에 의해 스페인에 의해 옹립되었다.</ref><br>
!임기
[[File:Flag of the Emirate of Ha'il.svg|20px]] 헤자즈 왕국<br>
!생몰
자발 샴마르 토후국<br>
!선거
나지드 사우드 토후국<br>
!비고
예멘 왕국<br>
|-
오스만 예멘 왕국<br>
|<center>초대</center>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br>
| style="background-color:#C60C30 |
아부다비 토후국<br>
|[[파일:니어후루 아이싱가1.jpg|80px]]
룹알할리 토후국<br>
|[[니어후루 아이싱가]]
카타르 왕국<br>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홍길동]]
이라크 맘루크 왕조<br>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보굴롯 와키란]]
히바 칸국<br>
|<center>1994~1998</center>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1932년 ~
2010년


(향년 77세)
* 레드월
|직선제
[[File:Flag of the Russian Soviet Federative Socialist Republic (1918–1925).svg|20px]]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AMDG)|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br>
[[File:Socialist Confederation of America.svg|20px]] [[미주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AMDG)|미주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br>
[[File:Flag of Libya (1977–2011).svg|20px]] [[리비아 자마히리야 (AMDG)|리비아 자마히리야]] <ref>이슬람 사회주의</ref><br>
[[File:Flag of the Mongolian People's Republic (1930–1940).svg|20px]] 몽골혁명정부


1993
* 제3세계
|만주족 대총통
'''아프리카'''<br>
|-
마다가스카르 왕국<br>
|<center>제2대</center>
'''인도'''<br>
| style="background-color:#C60C30 |
[[File:Alam of the Mughal Empire.svg|20px]] 무굴 제국<br>
|[[파일:남춘봉1.jpg|80px]]
[[File:Flag of Nepal (1743–1962).svg|20px]] 네팔 왕국<br>
|[[남춘봉]]
[[File:Flag of Bhutan (1949–1956).svg|20px]] 부탄 왕국<br>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보굴롯 와키란]]
[[File:Flag of Sikkim (1877-1914; 1962-1967).svg|20px]] 시킴 왕국<br>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왕용정]]
[[File:Flag of the Maratha Empire.svg|20px]] 마가다 왕국<br>
|<center>1998~2002</center>
'''동아시아&동남아시아'''<br>
|1923년 ~
[[File:Flag of China (1889–1912).svg|20px]] 청나라<br>
 
조선<br>
2007년
일본<br>
 
광남국(응우옌씨 정권)<br>
(향년 84세)
대월국(찐씨 정권 )<br>
|직선제
참파국<br>
1997
캄보디아 왕국(크메르 왕조)<br>
|조선족 대총통
루앙프라방 왕국<br>
|-
비엔티안 왕국<br>
|<center>제3대</center>
짬빠싹 왕국<br>
| style="background-color:#00137F |
아유타야 왕국<br>
|[[파일:마지총1.jpg|80px]]
잉와(아바) 왕국<br>
|[[마지총]]
란나 왕국<br>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왕용정]]
저지대령 인도네시아<br>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시데리 도단]]
그외 말레이반도 군소왕국
|<center>2002~2006</center>
|1951년 ~
생존
|직선제
2001
|회족 대총통
|-
|<center>제4·5대</center>
| style="background-color:#00137F |
|[[파일:푸차 자이탄1.jpg|80px]]
|[[푸차 자이탄]]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토야깅 네르구이]]<br>[[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복철재]]<br>[[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아를라 바승]]<br>[[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에토 아수욧]]<br>[[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바실리 주라블레프]]
|<center>2006~2014</center>
|1943년 ~
생존
|직선제
2005<br>2009
|최초로 연임에 성공
|-
|<center>제6대</center>
| style="background-color:#00137F |
|[[파일:룽쉬안2.png|80px]]
|[[룽쉬안]]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바실리 주라블레프]]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심효철]]
|<center>2014~2018</center>
|1951년 ~
생존
|직선제
2013
|한족 대총통
|-
|<center>제7대</center>
| style="background-color:#00137F |
|[[파일:그레고리 아나톨로프2.jpg|80px]]
|[[그레고리 야코블레비치 아나톨로프|그레고리 야코블레비치]]
[[그레고리 야코블레비치 아나톨로프|아나톨로프]]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콘스탄틴 마트베예프]]
|<center>2018~2019</center>
|1952년 ~
생존
|직선제
2017
|오로첸족 대총통
|-
|<center>권한<br>대행</center>
| style="background-color:#808080 |
|[[파일:안드레이 스미르노프1.jpg|80px]]
|[[안드레이 스미르예비치 스미르노프|안드레이 스미르예비치]]
[[안드레이 스미르예비치 스미르노프|스미르노프]]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고롤로 에푸쿠]]
|<center>2019~2020</center>
|1976년 ~
생존
|직선제
2017
|궐위사태와 권한대행
|-
|<center>제8대</center>
| style="background-color:#C60C30 |
|[[파일:코카친 오트건바야르 대총통 오피셜1.png|80px]]
|[[코카친 오트건바야르]]
|[[만주 민주 공화국의 정무총리#역대|고롤로 에푸쿠]]
[[구왈기야 아산]]
|<center>2020~2024</center>
|1961년 ~
생존
|직선제
2020
|몽골족 대총통,<br>녀성 대총통
|}

2024년 10월 8일 (화) 00:58 기준 최신판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복붙할만한 인물 틀

서버폰트

Palatino Linotype
normal 예제
<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
결과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
bold 예제
<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
<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 font-weight: bold;">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
결과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
italic 예제
<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
<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 font-style:italic;">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
결과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
bold-italic 예제
<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 font-weight: bold;">''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
<span style="font-family: 'Palatino Linotype'; font-style: italic; font-weight: bold;">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span>
결과
The Quick Brown Fox Jumps Over The Lazy Dog

ㅇㅇ

  • 성좌와 일치

교황령(성좌)맹주
시칠리아 연합왕국[1]
밀라노 공국
제노바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베네치아 공화국
오스트리아 제국
프랑스 왕국
아를 자유백국
에스파냐 왕국
카탈루냐 아라곤 망명왕조(카탈루냐 백국)
아일랜드 자유국
바이에른 왕국
바덴바덴 대공국
룩셈부르크 대공국
슐레슈비히 공작령
하노버 공국
누벨프랑스
치쿠시 왕국
예루살렘 왕국[2]

  • 콘스탄티노플과 일치

그리스 제국명목상 맹주
러시아 제국실질 맹주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령
루마니아 왕국
불가리아 왕국
유고슬라비아 왕국
폰토스 왕국
조지아 왕국
동몽골왕국[3]

  • 비칼케돈파

레바논 의회 공화국사실상 중립지대[4]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콥트교)령 알렉산드리아 자치구역
에티오피아 제국
아르메니아 왕국

  • 프로테스탄트

스위스 연방국
홀슈타인 공작령
뷔르템베르크 왕국[5]
저지대 17주 연합 공화국(회중교회 및 침례회)
북독일연방(루터교)
칼마르 동맹(루터교)
잉글랜드 왕국(성공회)
스코틀랜드 왕국(장로회)
아메리카 연합국(다양함, 대체로 장로교, 감리교, 침례교 등)
캘리포니아 서부 공화국 동맹[6]

  • 이슬람 세계

카자르 왕조 이란 숭고국
튀르크 오스만왕조
쿠르디스탄 술탄국
시리아 자미프왕조 술탄국
이집트 왕국
후 하프스 칼리파국[7]
헤자즈 왕국
자발 샴마르 토후국
나지드 사우드 토후국
예멘 왕국
오스만 예멘 왕국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
아부다비 토후국
룹알할리 토후국
카타르 왕국
이라크 맘루크 왕조
히바 칸국
아프가니스탄 아미르국

  • 레드월

러시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미주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리비아 자마히리야 [8]
몽골혁명정부

  • 제3세계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 왕국
인도
무굴 제국
네팔 왕국
부탄 왕국
시킴 왕국
마가다 왕국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청나라
조선
일본
광남국(응우옌씨 정권)
대월국(찐씨 정권 )
참파국
캄보디아 왕국(크메르 왕조)
루앙프라방 왕국
비엔티안 왕국
짬빠싹 왕국
아유타야 왕국
잉와(아바) 왕국
란나 왕국
저지대령 인도네시아
그외 말레이반도 군소왕국

  1. 시칠리아의 왕위가 나폴리의 왕위를 동군연합 형식으로 겸임하며 남이탈리아 지역을 지배하는 왕조이다.
  2. 예루살렘 왕국은 십자군 이후, 각 세력의 각축장으로 쓰이고 있다. 유대교와 기독교, 이슬람교가 뒤섞여 있으나 엄연히 전제군주제로써 왕위가 어디에 있느냐가 가장 중요한데 현재는 가톨릭을 기반으로 한 이탈리아계 왕조인 파르네세 가문의 프란치스코 2세가 통치하고 있다. 다만, 예루살렘과 유대 지역을 사실상 지배하고 있는건 파르네세 가문이지만 다마스쿠스를 비롯한 북부 사마리아 지역은 정교회(특히 콘스탄티노플과 일치한 안티오키아 정교회)가 강세인 지역이므로 긴장상태에 있는 지역이다.
  3. 웅게른 슈텐베르크 성왕이 통치
  4. 엄밀히 따지면 로마와 일치한 마론파가 다수종교로써, 그 다음가는 콘스탄티노폴리스와 일치한 안티오키아 정교회, 그리고 안티오키아 정교회에서 로마와 일치하여 갈라져 나온 멜키트 그리스 가톨릭이 주류이며 소수의 종파(시리아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비칼케돈)가 있다. 그 외 순니파 무슬림들이 거주하지만 지배적 세력은 그리스도교 종파이며, 종교인과 세속인이 5:5 비율로 구성되는 국가의회에서 마론파 출신이 관례적으로 지도자로 당선된다. 따라서 대체로 성좌와 일치하는 듯 보이지만 각축장의 형세가 갖추어져 사실상 중립지대가 되었다.
  5. 가톨릭과 개신교의 동거지역, 왕실은 루터교.
  6. 무정부 지대인 중부 너머 여러 광산과 농지를 소유한 각기 다른 도시국가들의 느슨한 연합체이다.)(감리교 초강세)
  7. 하프스 왕조의 대가 끊겼다가 이어졌다가 하였으며, 근래 들어서 이권에 의해 스페인에 의해 옹립되었다.
  8. 이슬람 사회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