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종 태황제/평가 (빌레펠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7번째 줄: 7번째 줄:


=긍정적 평가=
=긍정적 평가=
==외치==
==성공적인 확장 정책==
아버지 흥선대원왕이 청과의 전쟁에서 간도<ref>현재 연화도의 일부</ref>를 확보하며 그 기반을 다졌다면, 고종은 그 기반을 통해 영토를 크게 넓혔다. 비전과 연해주 일대<ref>현재 연화도와 북위부의 일부</ref>를 제외한다면 현대 한국 판도는 사실상 고종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해도 무방하다. 특히나 이 과정에서 고종은 근대화와 자주국가로서 가장 넘기 어려운 ‘러시아’라는 관문을 통과했다. 러시아를 무너뜨림으로서 한국은(비록 당시에는 일본의 경제블록에 속해있었지만) 러시아의 위협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주독립국가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었다.  
아버지 흥선대원왕이 청과의 전쟁에서 간도<ref>현재 연화도의 일부</ref>를 확보하며 그 기반을 다졌다면, 고종은 그 기반을 통해 영토를 크게 넓혔다. 비전과 연해주 일대<ref>현재 연화도와 북위부의 일부</ref>를 제외한다면 현대 한국 판도는 사실상 고종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해도 무방하다. 특히나 이 과정에서 고종은 근대화와 자주국가로서 가장 넘기 어려운 ‘러시아’라는 관문을 통과했다. 러시아를 무너뜨림으로서 한국은(비록 당시에는 일본의 경제블록에 속해있었지만) 러시아의 위협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주독립국가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었다.  


그 후에도 고종은 훗날 다가올 일본과의 전쟁에 대비해 군사력 증진에 힘 썻다. 당시 한국과 일본의 체급 차이를 생각해본다면 이는 한국 재정에 상당히 부담이 가는 것이었으나, 고종의 이러한 군증 정책은 [[제1차 벨트크리그]] 당시 한국군이 일본을 막아낼 수 있게 해주었다. 결과적으로 바라본다면 고종의 외치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한러 전쟁]]이나 [[제1차 벨트크리그]]에서 한번만이라도 패배했었다면 현재까지도 한국의 국부로 추앙 받는 흥선대원왕의 개혁이 무색하게도 지금의 한국은 찾아볼 수 없었을 것이다.
그 후에도 고종은 훗날 다가올 일본과의 전쟁에 대비해 군사력 증진에 힘 썻다. 당시 한국과 일본의 체급 차이를 생각해본다면 이는 한국 재정에 상당히 부담이 가는 것이었으나, 고종의 이러한 군증 정책은 [[제1차 벨트크리그]] 당시 한국군이 일본을 막아낼 수 있게 해주었다. 결과적으로 바라본다면 고종의 외치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한러 전쟁]]이나 [[제1차 벨트크리그]]에서 한번만이라도 패배했었다면 현재까지도 한국의 국부로 추앙 받는 흥선대원왕의 개혁이 무색하게도 지금의 한국은 찾아볼 수 없었을 것이다.
=부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논란이 있는 평가=
=논란이 있는 평가=

2024년 8월 10일 (토) 18:14 판

공지
| 빌레펠트연재부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가입 후 15일이 지나야 편집 가능한 문서입니다.

개요

조선의 26대 국왕이자 대한국의 초대 황제로서 고종의 치세는 한국 근현대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 손꼽힌다. 그러나 그의 치세동안 이뤄진 대부분의 업적은 친부 흥선헌문대원왕에 의해 이뤄진 것이었으며, 아버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 본격적으로 왕권을 행사한 시기의 행적들은 현재까지 큰 논란거리 중 하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국의 초대 황제"라는 역사 속에서의 위치 때문에 이제는 100년이나 지난 시점의 이야기임에도 공적인 자리에서 고종의 치세에 대한 논쟁을 꺼내는 것은 매우 꺼려진다.

긍정적 평가

성공적인 확장 정책

아버지 흥선대원왕이 청과의 전쟁에서 간도[1]를 확보하며 그 기반을 다졌다면, 고종은 그 기반을 통해 영토를 크게 넓혔다. 비전과 연해주 일대[2]를 제외한다면 현대 한국 판도는 사실상 고종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해도 무방하다. 특히나 이 과정에서 고종은 근대화와 자주국가로서 가장 넘기 어려운 ‘러시아’라는 관문을 통과했다. 러시아를 무너뜨림으로서 한국은(비록 당시에는 일본의 경제블록에 속해있었지만) 러시아의 위협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주독립국가로서의 입지를 굳힐 수 있었다.

그 후에도 고종은 훗날 다가올 일본과의 전쟁에 대비해 군사력 증진에 힘 썻다. 당시 한국과 일본의 체급 차이를 생각해본다면 이는 한국 재정에 상당히 부담이 가는 것이었으나, 고종의 이러한 군증 정책은 제1차 벨트크리그 당시 한국군이 일본을 막아낼 수 있게 해주었다. 결과적으로 바라본다면 고종의 외치는 매우 성공적이었으며, 한러 전쟁이나 제1차 벨트크리그에서 한번만이라도 패배했었다면 현재까지도 한국의 국부로 추앙 받는 흥선대원왕의 개혁이 무색하게도 지금의 한국은 찾아볼 수 없었을 것이다.

부정적 평가

논란이 있는 평가

  1. 현재 연화도의 일부
  2. 현재 연화도와 북위부의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