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eyCharlesJoh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JoeyCharlesJoh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64번째 줄: | 64번째 줄: | ||
|- | |- | ||
!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자녀 | ! style="background:#e3ba62 ; color:#b22222;" | 자녀 | ||
| <div class="mw-customtoggle-tjdrnsqkawktlr"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none; color:none;"><div style="margin: -3px 0px">''' | | <div class="mw-customtoggle-tjdrnsqkawktlr"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none; color:none;"><div style="margin: -3px 0px">'''12남 9녀 [ 펼치기 · 접기 ]'''</div></div> |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tjdrnsqkawktlr"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 10pt;"> |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tjdrnsqkawktlr"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 10pt;">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left;margin-top:-2px "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left;margin-top:-2px " | ||
|- | |- | ||
| '''장남''' [[혜종 헌황제 (빌레펠트)|혜종 헌황제]]<br>'''차남''' [[강종 무황제 (빌레펠트)|강종 무황제]]<br>'''장녀''' [[의현공주 (빌레펠트)|의현공주]]<br>''' | | '''장남''' [[혜종 헌황제 (빌레펠트)|혜종 헌황제]]<br>'''차남''' [[강종 무황제 (빌레펠트)|강종 무황제]]<br><del>'''삼남''' [[한충공왕 (빌레펠트)|한충공왕]]</del><ref>어린시절 혈통상 5촌 종숙인 한무강왕 이준의 양자로 출계하여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ref><br><del>'''사남''' [[의국공 이해직 (빌레펠트)|의국공 이해직]]</del><ref>은왕가의 후손인 진충인국공 이헌용의 양자로 출계하여 은왕가의 가계를 이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ref><br><del>'''오남''' [[예국공 이해창 (빌레펠트)|예국공 이해창]]</del><ref>대궁의 진충의국공 이인용에게 출계하여 인평대군의 종가를 이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ref><br>'''장녀''' [[의현공주 (빌레펠트)|의현공주]]<br>'''육남''' [[정철익왕 이곤 (빌레펠트)|정철익왕]]<br>'''차녀''' [[의안공주 (빌레펠트)|의안공주]]<br><del>'''칠남''' [[의국공 이해청 (빌레펠트)|의국공 이해청]]</del><ref>계동궁 진충인국공 이기용의 양자로 출계하여 신소민왕 가문의 종가를 계승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성조의 아들이 아니다.</ref><br>'''삼녀''' [[의경공주 (빌레펠트)|의경공주]]<br>'''사녀''' [[의승공주 (빌레펠트)|의승공주]]<br>'''팔남''' [[경강양왕 이현 (빌레펠트)|경강양왕]]<br>'''구남''' [[안순문왕 이갑 (빌레펠트)|안순문왕]]<br>'''오녀''' [[의영공주 (빌레펠트)|의영공주]]<br>'''육녀''' [[의헌공주 (빌레펠트)|의헌공주]]<br>'''십남''' [[승왕 이석 (빌레펠트)|승왕]]<br>'''십일남''' [[달왕 이환 (빌레펠트)|달왕]]<br>'''칠녀''' [[의효공주 (빌레펠트)|의효공주]]<br>'''십이남''' [[직왕 이정 (빌레펠트)|직왕]]<br>'''팔녀''' [[의덕공주 (빌레펠트)|의덕공주]]<br>'''구녀''' [[의명공주 (빌레펠트)|의명공주]] | ||
|- | |- | ||
|} | |} |
2024년 9월 29일 (일) 03:52 판
공지 | | 빌레펠트 연재부 |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대한국 제3대 황제 성조 | 聖祖 | |||||||||||||||||||||||||||||||||||||||||||
---|---|---|---|---|---|---|---|---|---|---|---|---|---|---|---|---|---|---|---|---|---|---|---|---|---|---|---|---|---|---|---|---|---|---|---|---|---|---|---|---|---|---|---|
출생 | 1877년 3월 30일 | ||||||||||||||||||||||||||||||||||||||||||
한성부 순화방 범숙의궁 (現 한경 한성부 사대문구 효자동·궁정동 일대) | |||||||||||||||||||||||||||||||||||||||||||
즉위 | 1926년 4월 30일 (49세) | ||||||||||||||||||||||||||||||||||||||||||
한경 한성부 사대문구 창덕궁 인정문 | |||||||||||||||||||||||||||||||||||||||||||
사망 | 1955년 8월 16일 (향년 78세) | ||||||||||||||||||||||||||||||||||||||||||
한경 한성부 사대문구 창덕궁 흥복헌 | |||||||||||||||||||||||||||||||||||||||||||
능묘 | |||||||||||||||||||||||||||||||||||||||||||
태릉(太陵) | |||||||||||||||||||||||||||||||||||||||||||
재위기간 | 대한국 제3대 황제 | ||||||||||||||||||||||||||||||||||||||||||
1926년 4월 30일 ~ 1955년 8월 16일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대한국의 제3대 황제이다. 묘호는 성조(聖祖), 시호는 인황제(仁皇帝). 휘는 강(堈), 자는 사강(士岡)이다. 정식 시호는 성인강명문무신덕인황제(成仁康明文武神德仁皇帝). 절일은 경춘성절(慶春聖節). 재위기간동안 사용한 연호는 천개(天開)다.
고종 대에 한국이 근대국가로 성장하고, 순종 대에 민주주의의 초석을 다졌다면, 성조의 치세는 제2차 벨트크리그에서 국체를 보존하고 융희 데모크라시를 완수하면서 입헌민주주의 국가로서의 현대의 대한국을 형성한 시기라고 여겨진다.
이러한 업적으로 인해 성조는 한국사에서 손에 꼽는 명군 중 하나로 여겨진다. 성조가 없었더라면 제2차 벨트크리그에서 한국이 패망하지 않았더라도 현재의 지위를 유지할 수 없었을거라는 것도 마냥 비약이 아니다.
황태제 책봉 이전의 작위인 의친왕(義親王)과 본명인 이강으로도 유명하다.
생애
평가
자세한 내용은 성조 인황제/평가 (빌레펠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가족 관계
여담
자세한 내용은 성조 인황제/여담 (빌레펠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