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출전(出典) == | == 출전(出典) == | ||
{{인용문 (한나라)|「初春令月、氣淑風和、梅披鏡前之粉、蘭薰珮後之香。」<br>「초봄의 길한 달, 기운 상서롭고 바람 평온하니, 매화는 거울 앞 가루를 날리고, 난초는 살결 같은 향을 풍기네.」|『萬葉集』 「卷五」 梅花の歌 三十二首 序<br>『만엽집(만요슈)』 「제5권」 매화의 노래 32수의 서문 中}} | |||
{{인용문 (한나라)|「佛殿神臺一瓣香 釀'''{{color|green|成和}}'''氣滿玄黃」<br>「불전이랑 신대에 분향하고 치성하여 '''{{color|green|빚어낸 화기}}'''가 하늘땅에 가득한지라.」|『목은고(牧隱藁)』 제20권 中}} | |||
'''성화(成和)라는 새 연호는 대한제국의 유고집인 [[목은고 (한나라)|목은고]] 제20권에 수록된 시에서 따온 것이다.''' | |||
== 연호 발표 == | == 연호 발표 == | ||
32번째 줄: | 36번째 줄: | ||
|- | |- | ||
|} | |} | ||
{{인용문|'''새로운 연호는 '성화'입니다.'''|[[문재인 (한나라)|문재인]] 당시 내각관방장관의 새 연호 발표}} | {{인용문 (한나라)|'''새로운 연호는 '성화'입니다.'''|[[문재인 (한나라)|문재인]] 당시 내각관방장관의 새 연호 발표}} | ||
선대 황제인 [[유종 수황제 (한나라)|명정제]]의 붕어 직후인 [[2005년]](헤이세이 31년) [[7월 17일]] 오후 12시 10분에 [[을지로 1번가 (한나라)|을지로 1번가]]에서 열린 임시 각료 회의를 통해 성화를 새로운 연호로 결정했으며, 같은 날 오후 3시 11분경 당시 [[대한제국 내각관방 (한나라)|내각관방장관]]이었던 [[문재인 (한나라)|문재인]]이 을지로 1번가에서 기자회담을 통해 새로운 연호를 정식으로 발표하였다. | 선대 황제인 [[유종 수황제 (한나라)|명정제]]의 붕어 직후인 [[2005년]](헤이세이 31년) [[7월 17일]] 오후 12시 10분에 [[을지로 1번가 (한나라)|을지로 1번가]]에서 열린 임시 각료 회의를 통해 성화를 새로운 연호로 결정했으며, 같은 날 오후 3시 11분경 당시 [[대한제국 내각관방 (한나라)|내각관방장관]]이었던 [[문재인 (한나라)|문재인]]이 을지로 1번가에서 기자회담을 통해 새로운 연호를 정식으로 발표하였다. | ||
당시 연호 결정을 위해 소집된 임시 각료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되었으나 이 날 언론에서 공식적으로 보도한 자료에 의하면, 연호 결정 과정에서 ???에서 따온 '''1(1)''', ???에서 따온 '''2(2)''', ???에서 따온 '''성화(成和)''', ???에서 따온 '''4(4)'''까지, 총 4개 안이 최종 후보로 올랐으나, 최종적으로는 ???에서 따온 성화가 연호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 당시 연호 결정을 위해 소집된 임시 각료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되었으나 이 날 언론에서 공식적으로 보도한 자료에 의하면, 연호 결정 과정에서 ???에서 따온 '''1(1)''', ???에서 따온 '''2(2)''', ???에서 따온 '''성화(成和)''', ???에서 따온 '''4(4)'''까지, 총 4개 안이 최종 후보로 올랐으나, 최종적으로는 ???에서 따온 성화가 연호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 ||
[[노무현 (한나라)|노무현]]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한나라)|내각총리대신]]은 연호 발표 직후 진행된 담화에서, " | [[노무현 (한나라)|노무현]]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한나라)|내각총리대신]]은 연호 발표 직후 진행된 담화에서, "?을 연호에 담았다"고 연호 선정 이유를 밝혔다. | ||
본래 선임 황제가 붕어하면 새로운 내각으로 새로운 황제를 보필다는 의미를 담아, [[제5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한나라)|국회를 해산하고]] [[제20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한나라)|총선을 진행했지만]]<ref>[[한창수 내각 (한나라)|한창수 내각]] 시절 때부터 행해진 유서 깊은 관례다.</ref>, [[노무현 내각 (한나라)|노무현 내각]]에는 국회 해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 (한나라)|한나라당]]은 '새로운 황제 폐하를 낡아빠진 내각으로 보필하려는 것이냐'며 국회 해산 및 총선 실시를 촉구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ref>당시 노무현 내각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던 이들이 53%나 되었기 때문에, 이런 와중에 국회를 해산하고 총선을 실시하면 [[열린우리당 (한나라)|열린우리당]]이 폭망할 것이 분명했기 때문.</ref> | 본래 선임 황제가 붕어하면 새로운 내각으로 새로운 황제를 보필다는 의미를 담아, [[제5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한나라)|국회를 해산하고]] [[제20대 민의원 의원 총선거 (한나라)|총선을 진행했지만]]<ref>[[한창수 내각 (한나라)|한창수 내각]] 시절 때부터 행해진 유서 깊은 관례다.</ref>, [[노무현 내각 (한나라)|노무현 내각]]에는 국회 해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 (한나라)|한나라당]]은 '새로운 황제 폐하를 낡아빠진 내각으로 보필하려는 것이냐'며 국회 해산 및 총선 실시를 촉구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ref>당시 노무현 내각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던 이들이 53%나 되었기 때문에, 이런 와중에 국회를 해산하고 총선을 실시하면 [[열린우리당 (한나라)|열린우리당]]이 폭망할 것이 분명했기 때문.</ref> |
2022년 9월 12일 (월) 14:19 판
한닷은 현재 진실·화해를위한한닷사정리위원회를 통해 리뉴얼되고 있습니다! | ×
|
| ||
이 문서는 한나라닷컴의 공식 문서입니다. 한나라닷컴 연재자 외 수정을 금지합니다. |
대한제국의 연호 |
---|
[ 펼치기 · 접기 ]
|
성화 시대 成和時代 | |
---|---|
개막 | 2005년 7월 17일 ~ 현재(18년) |
황제 | 성화제 |
이전 | 명정(明定) |
개요
서기 2023년은 성화 18년이다. |
성화제가 대한제국의 제5대 황제로 즉위한 2005년 7월 17일 0시 00분 00초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대한제국의 연호이자 시대 구분. 한국상 역사상 25번째로 사용된 연호이자, 대한제국 역사상 5번째로 사용된 연호.
출전(出典)
「初春令月、氣淑風和、梅披鏡前之粉、蘭薰珮後之香。」 「초봄의 길한 달, 기운 상서롭고 바람 평온하니, 매화는 거울 앞 가루를 날리고, 난초는 살결 같은 향을 풍기네.」 |
『萬葉集』 「卷五」 梅花の歌 三十二首 序 |
「佛殿神臺一瓣香 釀成和氣滿玄黃」 「불전이랑 신대에 분향하고 치성하여 빚어낸 화기가 하늘땅에 가득한지라.」 |
『목은고(牧隱藁)』 제20권 中 |
성화(成和)라는 새 연호는 대한제국의 유고집인 목은고 제20권에 수록된 시에서 따온 것이다.
연호 발표
새로운 연호를 발표하는 기자회견 장면.[1] 4:3 아날로그 화면이 인상적이다. |
새로운 연호는 '성화'입니다. |
문재인 당시 내각관방장관의 새 연호 발표 |
선대 황제인 명정제의 붕어 직후인 2005년(헤이세이 31년) 7월 17일 오후 12시 10분에 을지로 1번가에서 열린 임시 각료 회의를 통해 성화를 새로운 연호로 결정했으며, 같은 날 오후 3시 11분경 당시 내각관방장관이었던 문재인이 을지로 1번가에서 기자회담을 통해 새로운 연호를 정식으로 발표하였다.
당시 연호 결정을 위해 소집된 임시 각료 회의는 비공개로 진행되었으나 이 날 언론에서 공식적으로 보도한 자료에 의하면, 연호 결정 과정에서 ???에서 따온 1(1), ???에서 따온 2(2), ???에서 따온 성화(成和), ???에서 따온 4(4)까지, 총 4개 안이 최종 후보로 올랐으나, 최종적으로는 ???에서 따온 성화가 연호로 결정되었다고 한다.
노무현 내각총리대신은 연호 발표 직후 진행된 담화에서, "?을 연호에 담았다"고 연호 선정 이유를 밝혔다.
본래 선임 황제가 붕어하면 새로운 내각으로 새로운 황제를 보필다는 의미를 담아, 국회를 해산하고 총선을 진행했지만[2], 노무현 내각에는 국회 해산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은 '새로운 황제 폐하를 낡아빠진 내각으로 보필하려는 것이냐'며 국회 해산 및 총선 실시를 촉구했으나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3]
사건
연도 표기는 성화 연호와 서기 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