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국민당 (개화):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5번째 줄: 65번째 줄:
|-
|-
! style="color:#023AA7;"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023AA7;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이념
! style="color:#023AA7;"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023AA7;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이념
| 보수주의 ([[녹우크라이나의 보수주의 (개화)|녹오]])<br>내셔널리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개화)|녹오]])<br>[[태평양주의 (개화)|태평양주의]]{{구분선}}'''내부 계파:''' <br>국민보수주의<br>자유보수주의<br>우익대중주의{{구분선}}'''역사적 :'''<br>보수주의 (-1940s)<br>자유민주주의 (1950s-1980s)<br>자유보수주의 (1990s-2000s)
| 보수주의 ([[녹우크라이나의 보수주의 (개화)|녹오]])<br>국민주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개화)|녹오]])<br>[[태평양주의 (개화)|태평양주의]]{{구분선}}'''내부 계파:''' <br>국민보수주의<br>자유보수주의<br>우익대중주의{{구분선}}'''역사적 :'''<br>보수주의 (-1940s)<br>자유민주주의 (1950s-1980s)<br>자유보수주의 (1990s-2000s)
|-
|-
! style="color:#023AA7;"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023AA7;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스펙트럼
! style="color:#023AA7;"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023AA7; text-shadow: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px #F7F8FA, 0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 -0.7px 0.7px #F7F8FA;">스펙트럼

2024년 5월 18일 (토) 15:52 판

녹오극란의 보수주의 정당
국민당 국민당
국민당 국민당 현재
+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여당

우크라이나 국민당
95석

우크라이나 민주연합
82석
야당

국민노동당
64석

인민의 종
33석

파스치
21석

기독교 민주당
9석
무소속 4석
공석 2석
재적 299석
우크라이나 국민당
영어명
Ukrainian Nationalist Party / UNP
오어명
Українська Націоналістична Партія[1] / УНAПA[2]
창당일
1931년 모월 모일
전신
진보당[3], 기독교 사회당[4], 국민혁명동맹[5]
당대표
미하일로 데흐타렌코
원내대표
올렉산드르 가가멜 / 4선
이념
보수주의 (녹오)
국민주의 (녹오)
태평양주의

내부 계파:
국민보수주의
자유보수주의
우익대중주의

역사적 :
보수주의 (-1940s)
자유민주주의 (1950s-1980s)
자유보수주의 (1990s-2000s)
스펙트럼
우익 빅텐트

역사적:
우익 빅텐트 (-1940s)
민주주의 빅텐트 (1950s-1980s)
중도우파 (1990s-2000s)
최고의회의원
95석 / 301석 (31.6%)
시·주지사
8석 / 16석 (50.0%)
당색
청색 (#023AA7)
당원 수
13만 6천 명
국제조직
국제민주연합
선거연합
틀:미래를 향한 연합 (개화)
공식 사이트
SNS
 |  |  |  | 

1.개요

1999년 우크라이나 국민당 전당대회

녹우크라이나의 보수주의 우익 정당. 1931년 창당된, 녹우크라이나의 최고(最古) 정당으로, 녹우크라이나의 굴곡진 현대사를 모두 경험한 역사의 산증인(?)이다. 현 대통령세르히 푸르할이 속해있는 집권여당이기도 하다. 국회에서는 자유주의 우파 정당인 민주연합과 함께 미래를 향한 연합이라는 이름의 선거연합을 형성하고 있다.

2.역사

2.1.제1공화국

우크라이나 국민당 지지 집회 (1935년, 볼로디스히드)

1918년 제1공화국 헌법 제정 이후 녹오 최고 라다는 정당정치보다는 계파 중심의 정치가 이루어지고 있었고, 우파 정당들은 국민전선이라는 이름의 느슨한 정치동맹만을 형성하고 있었다. 대공황의 혼란 속에서 치러진 1930년 대선에서 중도좌파 성향의 코스트 안드루셴코가 중도우파 성향의 현직 대통령 이반 모졸레우스키를 누르고 당선되는 일이 벌어졌다. 범우파 진영에게는 크나큰 충격이 아닐 수 없었다. 이에 진보당, 기독교사회연합, 국민혁명동맹 등 원내의 보수-민족주의 성향 세력이 통합해 우크라이나 국민당을 창당하기로 합의했고, 1931년 7월, 볼로디스히드 야로슬라우 광장에서 창당대회를 열어 창당을 선포했다. 창당 후 첫 선거였던 1932년 총선에서는 친안드루셴코 세력에게 패배하기는 했지만 준수한 성적을 받았다.

국민당은 1934년 대선에서 시베리아 전쟁 당시 우크라이나군을 지휘했던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육군 대장을 대통령 후보로 선출했다. 흐레샤티츠키가 재선에 도전하는 안드루셴코 대통령을 꺾고 당선되면서 국민당은 여당의 자리에 등극하게 되었다. 이후 1936년 소련군의 국경 침범으로 대규모 교전이 벌어지자 녹오 국민들의 안보 불안감이 가중되었고, 국민당은 이를 바탕으로 1936년 총선에서 최고의회 의석의 약 70%를 차지하는 대승을 거두었다. 이어진 1938년 대선에서는 현직 대통령인 흐레샤티츠키를 다시 대통령 후보로 선출, 흐레샤티츠키가 승리하면서 여당의 지위를 지켜냈다.

2.2.극동전쟁과 망명정부

우크라이나 국민당 지도부 (1944년, 한성)

1940년 총선에서도 아슬아슬하게 과반의석을 확보하여 신승을 거두었으나, 의회가 개원하기도 전에 제3차 극동전쟁이 발발하면서 혼란에 빠졌다. 국민당은 범진보 정당인 사회당과 정쟁을 중단, 각종 전시법안들을 통과시켰으나 소련군의 진격으로 수도 볼로디스히드까지 함락되면서 한국 한성으로 당사를 옮겼다. 이후 앵커리지 조약으로 제1공화국이 멸망하면서 막대한 타격을 받았다. 잔존한 당 조직은 우크라이나 정부와 함께 한성에 자리를 잡았고, 당이 완전히 공중분해돼버린 사회당과 기타 군소정당 출신의 인사들이 합류하면서 약 40여 년 간 녹우크라이나 망명정부의 빅텐트 여당 역할을 하였다.

당시 우크라이나 국민당의 임시 중앙당사는 서울 종로구에 위치해있었으며, 함경도와 간도 지역을 중심으로 각지에 지방당을 두어 우크라이나계 망명자들의 입당을 받았다. 우크라이나계 망명자들을 규합하고 망명정부의 인재풀 역할도 담당하였다. 라디오 스보보다를 운영하며 본토에서 반공·반소 프로파간다를 펼치는 활동을 하였다. 당 운영 경비는 당원들이 납부한 당비와 대한민국 정부의 재정지원으로 충당했다.

2.3.제2공화국

3.성향

1공화국 당시에는 전반적으로 중도우파 성향이었으나 다양한 세력들이 모여 만들어진 정당이었던만큼 중도부터 우익까지 보수 빅텐트 성향을 가졌으나.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및 반공주의의 이념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으나 당을 구성하던 여러 계파들의 세부적 정치성향은 천차만별이었다.

제3차 극동전쟁으로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이 멸망하고 한성으로 망명하였을 때에는 그 스펙트럼이 훨씬 더 넓어졌다. 사회당, 자유당 등 전쟁으로 공중분해된 여러 중도·진보 정당의 망명객들이 개별적으로 국민당에 입당하였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망명정부 당시 국민당은 녹우크라이나 독립 및 민주화 정도 외에는 소속 정치인들을 아우를 수 있는 이념이 없을 정도로 광범위한 포괄정당의 모습을 보였다. 그 예로, 국민당 소속으로 망명정부에서 제8대 대통령을 맡은 안틴 콜레스니크는 사회당 출신의 대표적인 사민주의자였다.

4.지지 기반

직업병 주 지지층은 농어민, 소상공인, 은퇴자, 도시 중산층이다. 소득 계층별로는 중위층에서, 교육 수준별로는 고졸에서 지지율이 높은데, 이는 고학력 고소득자들은 자유주의 우파 정당인 우크라이나 민주연합을 지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반대로 국민당은 대중적, 친복지[6] 보수주의를 내세우고 있어 엘리트주의적인 민주연합에 비해서는 지지층의 소득수준이나 학력수준이 상대적으로 낮다.

지역 기반으로는 남부지방의 티흐리호르스카 주우수리스카 주 그리고 이미프스카 자치주가 있으며 제이스카 주부레이스카 주 에서도 지지율이 높게 나온다. 반면 중부지역인 하바리우스크 직할시하바리우스카 주, 아무르스카 주 등에서는 고전하며, 수도권인 볼로디스히드 직할시, 프리모르스카 주 그리고 모바스카 주에서는 민주연합에게 지지율이 밀린다. 중부지역은 산업단지 밀집과 역사적 배경으로 인해 지지율이 낮은 편이고 수도권은 고소득, 고학력층이 많기에 같은 보수정당이지만 엘리트층의 지지를 받는 민주연합에 밀린다. 블라호비셴스카 주비라이스카 주 그리고 사할린스카 주는 국민노동당과의 경합지역이다.

5.소속 인물

5.1.소속 대통령


우크라이나 국민당 소속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대수 이름 임기 대선
취임일 퇴임일
제1공화국
4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Борис Хрещатицький
(1881~1956)
1934년 6월 10일 - 1934
1938
망명정부
4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Борис Хрещатицький
(1881~1956)
- 1950년 3월 23일 -
5

페디르 스테슈코
Федір Стешко
(1882~1960)
1927년 3월 9일 -
6

이반 스비트
Іван Світ
(1897~1980)
1927년 3월 9일 -
7

이반 바흐랴니
Іван Багряний
(1906~1973)
1927년 3월 9일 -
8

안틴 콜레스니크
Антін Колесник
(1909~1973)
1964년 3월 2일 1972년 6월 20일 -
9

드미트로 파이다
Дмитро Файда
(1860~1939)
1972년 6월 20일 1985년 11월 19일 -
10

올렉산드르 루덴코-데스냐크
Олександр Руденко-Десняк
(1936~2007)
1985년 11월 19일 -
제2공화국
10

올렉산드르 루덴코-데스냐크
Олександр Руденко-Десняк
(1936~2006)
- 1996년 8월 15일 1992
12

세르히 테레셴코
Сергій Терещенко
(1951~2023)
2000년 8월 15일 2008년 8월 15일 2000
2004
16

세르히 푸르할
Сергій Фургал
(1970~)
2020년 8월 15일 2020

5.2.소속 총리


우크라이나 국민당 소속 녹우크라이나 총리
대수 이름 임기 의회 동의
취임일 퇴임일
제1공화국
5

빅토르 쿨랴브코-코레츠키
Віктор Кулябко-Корецький
(~)
1928년 4월 14일 1930년 3월 31일 1928년 4월 6일
9

베네딕트 야코벤코
Венедикт Яковенко
(~)
1928년 4월 14일 1930년 3월 31일 1928년 4월 6일
11

이반 파슬라우스키
Іван Паславський
(~)
1928년 4월 14일 1930년 3월 31일 1928년 4월 6일
망명정부
11

이반 파슬라우스키
Іван Паславський
(1895~1955)
1928년 4월 14일 1930년 3월 31일 1928년 4월 6일
12

페디르 스테슈코
Федір Стешко
(1882~1960)
1928년 4월 14일 1930년 3월 31일 1928년 4월 6일

6.역대 선거 결과

6.1.최고의회의원 선거

연도 대표 의석수 의석증감 지위
제1공화국
1940 e NNN석 / NNN석 (51.2%)
{{}} NN석

틀:소 NN.N%
여당
.
제2공화국
1992 올렉산드르 루덴코-데스냐크 166석 / 275석 (60.4%)
-

-
-
.
1994 e 185석 / 277석 (66.8%)
증가 18석

증가 5.7%
여당
.
1998 빅토르 바라니코우 73석 / 280석 (26.1%)
감소 112석

감소 40.7%
야당
.
2002 e 114석 / 284석 (40.1%)
증가 41석

증가 14.0%
여당
.
2006 e 61석 / 287석 (21.3%)
감소 53석

감소 18.8%
여당
.
2010 누군지 모르게추크 74석 / 291석 (25.4%)
증가 13석

증가 3.1%
야당
.
2014 누군지 모르게추크 58석 / 295석 (19.7%)
감소 16석

감소 5.7%
연립여당
.
2018 볼로디미르 신코 78석 / 298석 (26.2%)
증가 20석

증가 6.4%
야당
.
2022 미하일로 데흐타렌코 96석 / 301석 (31.9%)
증가 18석

증가 5.7%
여당
.

7.둘러보기

녹우크라이나의 보수 진영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이념 보수주의(녹오) · 국민주의(오극란) · 기독교 우파 · 사회보수주의 · 국민보수주의 · 자유보수주의 · 경제적 자유주의 · 가부장적 보수주의 · 태평양주의 · 애국주의 · 우익대중주의 · 자유지상적 보수주의
인물 대통령 이반 모졸레우스키 · 보리스 흐레샤티츠키 · 이반 스비트 · 이반 바흐랴니 · 올렉산드르 루덴코-데스냐크 · 세르히 테레셴코 · 페트로 올리니크 · 세르히 푸르할
대통령 후보 패트로 호로비
총리 빅토르 쿨랴브코-코레츠키 · 호르디 멜라쉬치 · 베네딕트 야코벤코 · 이반 파슬라우스키
주요 사상가
정당 원내 국민당 · 민주연합 · 기독교 민주당
원외
과거 진보당 · 국민혁명동맹 · 기독사회당 · 우파당
정당연합 국민전선 · 미래를 향한 연합
언론 인데펜단세 · 포우나 스보보디
단체 시장경제연구소 · 국민자유재단 · 퇴역군인협회 · 종교협의회
극좌 · 진보 · 자유주의 · 극우
하바리우스크 직할시의회
회파별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
이미프스카 자치주의회
회파별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포온트

8.각주

  1. 발음 : 우크라인스카 나치오날리스티치나 파르티야
  2. 발음 : 우나파
  3. 보수주의 성향의 정당. 제2공화국의 진보주의 정당인 [[녹우크라이나 진보당(2002) (개화)|]]와는 다른 정당이다.
  4. 기독교 민주주의 성향의 정당
  5. 급진적 국민주의 성향의 정당
  6. 국민당이 경제적으로 좌파라는 의미는 아니다. 어디까지나 우파 정당 치고 경제적으로 진보적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