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편집 요약 없음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 | |- | ||
! rowspan="2"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즉위 | ! rowspan="2"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즉위 | ||
| | | 1919년 4월 13일 | ||
|- | |- | ||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경복궁 (설중매)|경복궁]] 근정전 |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경복궁 (설중매)|경복궁]] 근정전 | ||
52번째 줄: | 52번째 줄: |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대한제국 황태자''' | | style="background: #bf1400; color: #E3BA62" | '''대한제국 황태자''' | ||
|- | |- | ||
| 1895년 10월 12일 ~ | | 1895년 10월 12일 ~ 1919년 4월 13일 | ||
|- | |- |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대한제국 제2대 황제''' | | style="background: #1b0e64; color: #E3BA62" | '''대한제국 제2대 황제''' | ||
|- | |- | ||
| | | 1919년 4월 13일 ~ 1923년 2월 27일 | ||
|- | |- |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Yiyu_2"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Yiyu_2"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2024년 5월 27일 (월) 09:33 판
대한제국 대황제 | |||||||||||
---|---|---|---|---|---|---|---|---|---|---|---|
[ 펼치기 · 접기 ] |
선종 효황제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
대한제국 제2대 황제 선종 효황제 | 宣宗 孝皇帝 | |||||||||||||||||||||||||||||||||
---|---|---|---|---|---|---|---|---|---|---|---|---|---|---|---|---|---|---|---|---|---|---|---|---|---|---|---|---|---|---|---|---|---|
이름 | 이선(李壇) → 이청(李壇) | ||||||||||||||||||||||||||||||||
출생 | 1881년 3월 8일 | ||||||||||||||||||||||||||||||||
한성부 제중원 (現 황성 한성부 황실병원) | |||||||||||||||||||||||||||||||||
즉위 | 1919년 4월 13일 | ||||||||||||||||||||||||||||||||
황성 한성부 경복궁 근정전 | |||||||||||||||||||||||||||||||||
천붕 | 1923년 2월 27일 (향년 41세) | ||||||||||||||||||||||||||||||||
황성 한성부 황실병원 | |||||||||||||||||||||||||||||||||
능묘 | 유릉(裕陵) | ||||||||||||||||||||||||||||||||
재위기간 | 대한제국 황태자 | ||||||||||||||||||||||||||||||||
1895년 10월 12일 ~ 1919년 4월 13일 | |||||||||||||||||||||||||||||||||
대한제국 제2대 황제 | |||||||||||||||||||||||||||||||||
1919년 4월 13일 ~ 1923년 2월 27일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대한제국의 제2대 황제. 휘는 청(壇)이며, 연호는 광정(光亨), 묘호는 선종(宣宗), 시호는 효황제(孝皇帝)이다.
1881년 성조 태황제의 장남으로 태어났으며, 만 2세의 나이에 왕세자에 봉해졌다. 어린 시절 부터 아버지 성조가 다혈질인것에 비하면 온후하고 점잖아 성조의 사랑을 받았다고 한다. 아버지 성조가 문무를 겸비한 군주였던 것과는 달리, 문신에 가까운 타입으로 경전과 서양의 지식, 잡기에 모두 능했으며 음악과 예술에 조예가 높았다고 한다. 이는 아들 혜종 순황제와 상친왕 또한 비슷했다.
선종 시기는 비록 5년이라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아버지 성조 시대에 이은 번성과 확장의 시기였다. 성조의 치세는 강력한 전제황권을 바탕으로 요동을 수복했고, 대마주를 편입하며, 유구와 일본을 대한의 영향권 하에 두었다면, 선종의 치세는 본격적인 열강국가로써 자신감을 표출하며 1차대전으로 벌어들인 막대한 자본을 바탕으로 경기가 활성화되어 신민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된 시기였다. 이 시기 대한은 문화와 예술이 크게 성행했고, 전후 승전국으로써의 남양군도를 분할 받았다. 또한 선종은 적백내전에 개입하여 연해주와 화태를 대한제국의 영토로 편입하여 흔히 광정낭만으로 회자되는 대한제국의 첫번째 전성기를 열었다.
또한 선종은 아버지 성조가 고안한 서구식 정치체제를 대한제국의 실정에 알맞게 적용하여 외견적이지만, 의회정치가 꽃을 피웠고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덕에 성조와 선종의 치세는 연성지치라 불릴 정도로 현재까지도 대한의 전성기중 하나로 기억되고 있다.
그러나 찬란할 줄만 알았던 선종의 치세는 허무하게 끝나고 만다. 1923년 2월 27일, 귀족원 개회사를 위해 마차를 탄 선종은 이동 도중 만주족 테러리스트의 폭탄 테러로 인해 향년 41세의 나이로 천붕했다. 이 사건으로 어린 황태자가 즉위했으나, 연성지치라 불린 성조와 선종의 치세와는 달리 새 황제 치하의 정치는 혼란에 빠졌고, 사회적으로는 대공황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으로 말미암은 육군 청년 장교들의 쿠데타와 한소전쟁의 패배로 이어지는 암흑기에 접어들고 만다.
생애
출생
청년기
즉위
사망
평가
여담
선종의 휘인 '壇'은 흔히 단 단자로 읽어지며 대부분의 백과사전도 '단'으로 표기하고 있다. 그러나 '단'이라는 발음은 태조의 휘인 단(旦)과 발음이 같아 성조가 선종의 휘를 정할 때, 아에 같은 한자를 쓰는 '소제할 선'이라는 한자로 정하였고, 즉위 이후 피휘를 위해 '소제할 선'의 발음을 '청'으로 고쳤다. 이는 당대부터 사전의 주석에 실렸으며, 이에는 어휘(御諱)라는 주석도 달려있다. 이는 피휘의 전례로 보건데 '선'이라는 발음이 들어간 단어를 전부 개칭하려 했으나 선이 들어간 단어가 너무 많아서 결국 그냥 선종이 소제할 선자의 피휘를 위해 '선'이라는 발음을 '청'으로 고쳤다. 즉, 선종은 피휘를 위해 단에서 선으로, 선에서 청으로 두번이나 한자를 고친 셈이다.
선종 즉위 당시 피휘 문제를 둘러싼 이후에도 대한제국에서 피휘는 계속 유지되었으나, 복잡하고 번거로운 관례에 학을 떼던 고조가 즉위하고, 피휘가 너무 번거롭고 행정적 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로 아에 피휘라는 제도 자체를 폐지하려고 하였으나, 오히려 피휘러 가장 불편할 시민들이 '아름다운 고금의 전통을 페지하지 말아 달라'며 대규모 집회와 만인소, 유소를 벌이자, 어쩔 수 없이 피휘중 가장 수위가 약한 방식을 적용하여 어휘(御諱)의 음만 바꾸어 읽는 형태로 피휘의 관례를 수정하였다. 이러한 방식의 예를 들자면 고황제의 휘인 旦(단) 자를 피휘하지 못하는 경우, 같은 뜻인 朝의 발음인 조로 읽는 경우가 빈번한 것처럼 말이다.
가계
대중 매체에서
관련 문서
둘러보기
대한제국 황실 | |||||||||||||||
---|---|---|---|---|---|---|---|---|---|---|---|---|---|---|---|
[ 펼치기 · 접기 ] |
- ↑ 완전한 시호는 선종장혜상정화흠승렬문온무녕돈인성경양효황제(宣宗莊惠商貞和欽勝烈文溫武寧敦仁誠敬孝皇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