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당신들의 조선}} {| class="wikitable dark:!border-[#292929]"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D5D5D5; font-size:10.5pt" |- ! class="dark:!bg-[#292929]" style="background:#D5D5D5" | 조선 원 관련 틀 |- | <div class="mw-customtoggle-KRW"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id="mw-customcollapsible-KRW"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div class="mw-collap...) |
편집 요약 없음 |
||
88번째 줄: | 88번째 줄: | ||
=== 소련군사령부 군표 === | === 소련군사령부 군표 === | ||
=== 1기 | === 1기 === | ||
==== 1차 시리즈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 | |- | ||
136번째 줄: | 138번째 줄: | ||
1947년 12월 6일부터 1947년 12월 12일까지 일본 제국이 발행했던 조선은행권 1엔을 조선중앙은행권 1원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한 최초의 조선 원 시리즈. | 1947년 12월 6일부터 1947년 12월 12일까지 일본 제국이 발행했던 조선은행권 1엔을 조선중앙은행권 1원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한 최초의 조선 원 시리즈. | ||
=== 2기 | === 2기 === | ||
==== 2차 시리즈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 | |- | ||
186번째 줄: | 190번째 줄: | ||
1959년 2월 13일부터 1959년 2월 17일까지 [[7개년 계획 (당신들의 조선)|7개년 계획]]과 [[천리마운동 (당신들의 조선)|천리마운동]] 실행을 위한 기초 자금 모집을 위해 구권과 신권 100: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두 번째 조선 원 시리즈. | 1959년 2월 13일부터 1959년 2월 17일까지 [[7개년 계획 (당신들의 조선)|7개년 계획]]과 [[천리마운동 (당신들의 조선)|천리마운동]] 실행을 위한 기초 자금 모집을 위해 구권과 신권 100: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두 번째 조선 원 시리즈. | ||
=== | ==== 3차 시리즈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 | |- | ||
231번째 줄: | 235번째 줄: | ||
1979년 4월 7일부터 1979년 4월 12일까지 구권과 신권 1: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세 번째 조선 원 시리즈. | 1979년 4월 7일부터 1979년 4월 12일까지 구권과 신권 1: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세 번째 조선 원 시리즈. | ||
=== | ==== 4차 시리즈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 | |- | ||
297번째 줄: | 301번째 줄: | ||
1992년 7월 15일부터 1992년 7월 20일까지 구권과 신권 1: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네 번째 조선 원 시리즈. | 1992년 7월 15일부터 1992년 7월 20일까지 구권과 신권 1: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네 번째 조선 원 시리즈. | ||
=== | ==== 5차 시리즈 (현행권) ==== | ||
2009년 11월 30일부터 2009년 12월 6일까지 구권과 신권 1: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다섯 번째 조선 원 시리즈. | 2009년 11월 30일부터 2009년 12월 6일까지 구권과 신권 1: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다섯 번째 조선 원 시리즈. | ||
==== 지폐 ==== | ===== 지폐 =====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 | |- | ||
363번째 줄: | 367번째 줄: | ||
|} | |} | ||
==== 동전 ==== | ===== 동전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 | ||
|- | |- |
2024년 7월 10일 (수) 00:02 판
조선 원 관련 틀 |
---|
[ 펼치기 · 접기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 | |||||||||||||||||
---|---|---|---|---|---|---|---|---|---|---|---|---|---|---|---|---|---|
Korean Won ₩ | |||||||||||||||||
| |||||||||||||||||
ISO 4217 | KRW | ||||||||||||||||
중앙은행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은행 | ||||||||||||||||
법정통화국 | 조선 | ||||||||||||||||
비공식 사용국 | 제주 | ||||||||||||||||
기호 | ₩ | ||||||||||||||||
동전 | ₩1, ₩5, ₩10, ₩50 | ||||||||||||||||
지폐 | 자주 사용됨 ₩100, ₩500, ₩1,000 | ||||||||||||||||
드물게 사용됨 ₩50, ₩200, ₩5,000 | |||||||||||||||||
매우 드물게 사용됨 ₩5, ₩10 | |||||||||||||||||
인쇄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은행[1] |
개요
중앙은행법 제15조(중앙은행권의 기본단위) 중앙은행권의 기본단위는《원》이다. 중앙은행권의 종류와 형식을 정하는 사업은 정무원이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원(Korean Won)은 조선의 통화로 ISO 4217 코드는 KRW이며 기호는 ₩, 한자 표기는 圓이다.
역사와 권종
소련군사령부 군표
1기
1차 시리즈
앞면 | 뒷면 | ||
백원권 (1947. 12. 6.) |
농민과 노동자 | 산 | |
십원권 (1947. 12. 6.) | |||
오원권 (1947. 12. 6.) | |||
일원권 (1947. 12. 6.) | |||
오십전권 (1947. 12. 6.) |
액면 단위 | ||
이십전권 (1947. 12. 6.) | |||
십오전권 (1947. 12. 6.) | |||
1947년 12월 6일부터 1947년 12월 12일까지 일본 제국이 발행했던 조선은행권 1엔을 조선중앙은행권 1원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되기 시작한 최초의 조선 원 시리즈.
2기
2차 시리즈
앞면 | 뒷면 | ||
일백원권 (1959. 2. 13) |
성진제철련합기업소 | 금강산 | |
오십원권 (1959. 2. 13) |
한강대교 | 쌀 수확하는 여자 | |
십원권 (1959. 2. 13) |
숭례문 | 과일 따는 여자 | |
오원권 (1959. 2. 13) |
박헌영종합대학 본관 | 액면 단위 | |
일원권 (1959. 2. 13) |
고기잡이 배 | ||
오십전권 (1959. 2. 13) |
조선 국장 | ||
1959년 2월 13일부터 1959년 2월 17일까지 7개년 계획과 천리마운동 실행을 위한 기초 자금 모집을 위해 구권과 신권 100: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두 번째 조선 원 시리즈.
3차 시리즈
앞면 | 뒷면 | ||
백원권 (1979. 4. 7) |
박헌영 | 박헌영 생가 | |
오십원권 (1979. 4. 7) |
8월 테제를 들고 있는 군인과 농민, 지식인, 노동자 | 삼지연 | |
십원권 (1979. 4. 7) |
천리마동상 | 남포시 천리마제강련합기업소 | |
오원권 (1979. 4. 7) |
대학생과 공업도시의 풍경 | 금강산 | |
일원권 (1979. 4. 7) |
나팔 부는 소년과 소녀, 청년과 후프 체조하는 처녀 | 한 자위단원의 운명, 꽃파는 처녀, 피바다 | |
1979년 4월 7일부터 1979년 4월 12일까지 구권과 신권 1: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세 번째 조선 원 시리즈.
4차 시리즈
앞면 | 뒷면 | ||
천원권 (1992. 7. 15) |
박헌영 | 박헌영 생가 | |
오백원권 (1992. 7. 15) |
룡산대의사당 | 성산대교 | |
이백원권 (1992. 7. 15) |
무궁화 | 액면 단위 | |
백원권 (1992. 7. 15) |
박헌영 | 박헌영 생가 | |
오십원권 (1992. 7. 15) |
사회주의탑, 지식인, 노동자, 농민 | 백두산 | |
십원권 (1992. 7. 15) |
노동자, 천리마동상 | 인천갑문 | |
오원권 (1992. 7. 15) |
학생, 지구본 | 인민대학습당 | |
일원권 (1992. 7. 15) |
《꽃파는 처녀》의 주인공, 꽃분이 (홍영희) |
금강산, 선녀 | |
1992년 7월 15일부터 1992년 7월 20일까지 구권과 신권 1: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네 번째 조선 원 시리즈.
5차 시리즈 (현행권)
2009년 11월 30일부터 2009년 12월 6일까지 구권과 신권 1:1 비율로 무제한으로 바꿔주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사용하기 시작한 다섯 번째 조선 원 시리즈.
지폐
앞면 | 뒷면 | ||
오천원권 (2009. 11. 30) |
박헌영 | 박헌영 생가 | |
천원권 (2009. 11. 30) |
회령의 전통가옥 | 삼지연 | |
오백원권 (2009. 11. 30) |
서울 개선문 | 액면 단위 | |
이백원권 (2009. 11. 30) |
천리마동상 | ||
백원권 (2009. 11. 30) |
무궁화 | ||
오십원권 (2009. 11. 30) |
지식인, 노동자, 농민 | 조선로동당창건기념탑 | |
십원권 (2009. 11. 30) |
조선인민군의 육해공군 장병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
오원권 (2009. 11. 30) |
과학자와 대학생 | 수풍댐 | |
동전
액면 | 사진 | 직경 | 도안 | ||
---|---|---|---|---|---|
앞면 | 뒷면 | ||||
오십원화 | 25mm | 액면 단위 | 조선 국장 | ||
▲ 2009년 ~ 현재 | |||||
십원화 | 23mm | ||||
▲ 2009년 ~ 현재 | |||||
오원화 | 21mm | ||||
▲ 2009년 ~ 현재 | |||||
일원화 | 27mm | 조선 국장 | 인민대학습당 | ||
▲ 2009년 ~ 현재 |
태환권
기념 화폐
위상
액면 대비 가치
금리
기타
둘러보기
| ||||||||||||||||||||||||
|
- ↑ 중앙은행의 하위기관인 발권국에서 화폐 발권을 관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