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개요)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인용문1|'''Тви уява в реалніст<ref>발음: /tʋi ʊˈjɑʋɐ v rɛˈalʲnist/ (트비 우야바 브 레알니스트)</ref><br>당신의 상상을 현실로'''|녹우크라이나어로 읽은 [[이브위키]]의 표어}} | {{인용문1|'''Тви уява в реалніст<ref>발음: /tʋi ʊˈjɑʋɐ v rɛˈalʲnist/ (트비 우야바 브 레알니스트)</ref><br>당신의 상상을 현실로'''|녹우크라이나어로 읽은 [[이브위키]]의 표어}} | ||
녹우크라이나어는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의 국어이다. 녹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며, 약 2천 4백만 명의 구사자가 있다. 동슬라브어 계통의 언어이자 굴절어로 분류된다. | 녹우크라이나어는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의 국어이다. 녹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며, 약 2천 4백만 명의 구사자가 있다. 대부분의 구사자는 녹우크라이나에 가주하지만, 만주와 한국 등에도 소수 존재한다. 동슬라브어 계통의 언어이자 굴절어로 분류된다. | ||
녹우크라이나를 녹오라고 부르기도 하기 때문에 녹오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녹우크라이나를 녹오라고 부르기도 하기 때문에 녹오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
2025년 4월 6일 (일) 13:06 판
1.개요
Тви уява в реалніст[1] 당신의 상상을 현실로 녹우크라이나어로 읽은 이브위키의 표어 |
녹우크라이나어는 녹우크라이나의 국어이다. 녹우크라이나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며, 약 2천 4백만 명의 구사자가 있다. 대부분의 구사자는 녹우크라이나에 가주하지만, 만주와 한국 등에도 소수 존재한다. 동슬라브어 계통의 언어이자 굴절어로 분류된다.
녹우크라이나를 녹오라고 부르기도 하기 때문에 녹오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2.역사
3.특징
4.각주
- ↑ 발음: /tʋi ʊˈjɑʋɐ v rɛˈalʲnist/ (트비 우야바 브 레알니스트)
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