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광역시 제22대 국회의원 |
---|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의 선거구 | ||||
---|---|---|---|---|
| ||||
선거인 수 | 176,056명 (2024) | |||
상위 행정구역 | 울산광역시 북구 | |||
관할 구역 |
[ 펼치기 · 접기 ] 북구 전역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강동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염포동 | |||
신설년도 | 2000년 | |||
이전 선거구 | 울산시 울주구, 울산시 중구 | |||
국회의원 | 윤종오 |
개요
2000년 당시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때 신설된 선거구로 본래는 울산광역시 중구와 울주군의 일부였다. 이후 1997년에 경상남도 울산시가 울주군과 함께 울산광역시로 승격되면서 중구와 울주군에서 조금씩 떼어내 북구를 신설했고 그 때부터 지금까지 변동없이 단일 선거구로 이어져왔다. 현역 국회의원은 진보당 소속 윤종오 의원이다.
상세
역대 국회의원 목록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16대 | 이상범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17대 | 조승수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19대 | 김창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20대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21대 | 2020년 5월 30일 ~ 2023년 2월 28일 | ||
윤종오 | 2023년 4월 7일 ~ 2024년 5월 29일 | ||
22대 | 2024년 5월 30일 ~ |
역대 선거 결과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상헌(李相憲) | 2,887 | 5위 |
5.53% | 낙선 | ||
2
|
윤두환(尹斗煥) | 17,319 | 2위 |
33.18% | 낙선 | ||
3
|
조승수(趙承洙)
|
17,361 | 1위 |
33.26% | 당선[2] | ||
5
|
최용규(崔勇圭) | 6,222 | 4위 |
11.92% | 낙선 | ||
6
|
최윤주(崔允主) | 8,409 | 3위 |
16.11% | 낙선 | ||
계 | 유권자 수 | 110,077 | 투표율 58.25% |
투표 수 | 52,642 | ||
무효표 수 | 444 |
후보 | 윤두환 | 조승수 | 격차 | |
전체 | 37.2% | 31.8% | 5.4%p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윤두환(尹斗煥) | 31,926 | 2위 |
|
41.68% | 낙선 | |
3
|
김창현(金昌鉉)
|
44,672 | 1위 |
58.32% | 당선[4] | ||
계 | 유권자 수 | 132,715 | 투표율 58.25% |
투표 수 | 77,313 | ||
무효표 수 | 715 |
후보 | 윤두환 | 김창현 | 격차 | |
전체 | 38.8% | 61.2% | 22.4%p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윤두환(尹斗煥) | 21,803 | 3위 |
|
23.76% | 낙선 | |
3
|
김창현(金昌鉉)
|
35,594 | 1위 |
38.79% | 당선[6] | ||
6
|
조승수(趙承洙) | 34,365 | 2위 |
무소속 | 37.45% | 낙선[7] | |
계 | 유권자 수 | 145,738 | 투표율 62.69% |
투표 수 | 91,762 | ||
무효표 수 | 1,310 |
후보 | 윤두환 | 김창현 | 조승수 | 격차 |
전체 | 25.3% | 39.7% | 35.0% | 4.7%p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상헌(李相憲) | 27,502 | 2위 |
23.51% | 낙선 | ||
2
|
김창현(金昌鉉)
|
66,408 | 1위 |
56.77% | 당선[9] | ||
3
|
윤두환(尹斗煥) | 21,395 | 3위 |
18.29% | 낙선 | ||
6
|
최형준(崔亨準) | 761 | 5위 |
0.65% | 낙선 | ||
7
|
박영수(朴英洙) | 923 | 4위 |
무소속 | 0.78% | 낙선 | |
계 | 유권자 수 | 173,616 | 투표율 68.16% |
투표 수 | 118,334 | ||
무효표 수 | 1,356 |
후보 | 이상헌 | 김창현 | 격차 | |
전체 | 31.6% | 50.1% | 18.5%p |
2023년 상반기 재보궐선거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상헌(李相憲) | 26,571 | 2위 |
25.58% | 낙선[11] | ||
2
|
윤종오(尹鍾五)
|
66,291 | 1위 |
63.79% | 당선[12] | ||
사퇴[13] | |||
6
|
윤두환(尹斗煥) | 11,041 | 3위 |
무소속 | 10.63% | 낙선 | |
계 | 유권자 수 | 176,399 | 투표율 59.10% |
투표 수 | 103,920 | ||
무효표 수 | 332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상헌(李相憲) | 14,522 | 4위 |
12.67% | 낙선 | ||
2
|
윤종오(尹鍾五)
|
67,935 | 1위 |
59.27% | 당선[15] | ||
5
|
심상정(沈相奵) | 15,451 | 2위 |
13.48% | 낙선 | ||
7
|
박대동(朴大東) | 15,267 | 3위 |
무소속 | 13.32% | 낙선 | |
8
|
박재묵(朴在默) | 1,444 | 4위 |
무소속 | 1.26% | 낙선 | |
계 | 유권자 수 | 176,056 | 투표율 66.26% |
투표 수 | 116,665 | ||
무효표 수 | 2,045 |
후보 | 윤종오 | 심상정 | 격차 |
전체 | 53.2% | 21.3% | 31.9%p |
- ↑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강동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염포동
- ↑ 민주노총 지지후보
- ↑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강동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염포동
- ↑ 민주통합당, 통합진보당, 진보신당, 민주노총 단일후보
- ↑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강동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염포동
- ↑ 민중당, 노동당, 민주노총 단일후보
- ↑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무소속 단일후보
- ↑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강동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염포동
- ↑ 진보당, 노동당, 민주노총 단일후보
- ↑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강동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염포동
- ↑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단일후보
- ↑ 진보당, 노동당, 민주노총 단일후보
- ↑ 더불어민주당 이상헌 후보와 단일화
- ↑ 농소1동, 농소2동, 농소3동, 강동동, 효문동, 송정동, 양정동, 염포동
- ↑ 진보당, 노동변혁당, 민주노총 단일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