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부 (충신불사이군)

틀:수상부 (충신불사이군)

수상부
首相府 | Prime Minister's Office of Korea
청색 무궁화 문장[1]
기능 내각총리대신 관저
내각총리대신 공저
총무장관 관저
각의실
주소

지도를 불러오는 중...


경성부 중구 세종대로 135
전화번호 02-730-5800
관저입주자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및 그 배우자
역사 1945년 8월 19일 (수상부)
1991년 9월 4일 (신축 본관 완공)
 |  |  |  | 
2002년 신축한 수상부의 외관

개요

수상부(首相府) 또는 수상관저(首相官邸)는 내각총리대신의 관저로, 경성부 중구 세종대로 135에 위치해 있다.

수상부는 총리대신이 그 공무를 수행하는 '내각총리대신 관저'와 퇴근 후 기거하는 '내각총리대신 공저'의 기능을 수행하는 건물로써, 수상관저(首相官邸) 건물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의미가 확장되어 내각총리대신을 보좌하는 비서진 및 공무원들이 근무하는 행정기구 총리부(總理府)를 의미하고 있다.

1946년 장면 수상이 구 한국주차군사령관 공저를 수상 관저로 이용하기 시작한 것이 시초로, 수상부(首相府)라는 이름으로 개칭하였다. 이후 노태우 수상이 모더니즘 양식의 본관을 신축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백악관이나 엘리제궁과는 달리 별도의 명칭으로 불리지는 않지만, 한국에서 공식적으로 '관저'(官邸)라는 명칭을 사용하는 기관이 오직 수상부밖에 없어 단지 '관저'라는 이름으로도 통한다. 영미권에서도 이인제가 총리로 재임할 시절에 로마자를 이용해 '관저(Kwanjeo, 한국식 독음)'라고 표기하기 시작한 것을 계기로 서구 언론에서도 이 '관저'를 수상부에 대한 고유명사로 사용하는 예가 늘어났으며, 수상부 홈페이지 주소 역시 그냥 kwanjeo.go.kr 이다.

구역

지상 6층, 지하 1층인 수상 관저(신관)는 노태우 총리 시절인 1991년 완공됐다. 신축된 수상관저 총 공사비만 당시 돈으로 4,200억 원이 들어갔다.

6층 내각총리대신 집무실
5층 총무장관 집무실/총무처
4층 각부대신 각의 집무실/각의실
3층 각부 사무실, 현관홀
2층 귀빈실/영빈관
1층 기자회견장, 기자실
지하 1층 국가위기관리센터

수상부 관저 지하1층 국가위기관리센터. 1층은 출입구의 로비에 기자회견장/각종회견장. 2층은 각국 정상들의 귀빈실/회의실. 3층은 각/부 사무실, 현관홀. 4층은 각부대신들의 각의 집무실. 5층은 총리대신 집무실과 경각부의 총괄대변인 총무장관과 부장관의 집무실이 있다.

수상관저 외부엔 수상의 거주지인 수상공저가 연결되어 나누어져 있는데. 각국의 정상(대통령, 수상, 주석, 군주, 총독 등)들과 각종 연회나 만찬회 등의 장소로 쓰이고 있다. 관저구역의 경비를 경무청 관저경비대가 담당한다.

역사

1991년 신축 이전

1937년에 일본은 이 지역을 한국주차군 사령관 공저 부지로 선정하여 경운궁 인근에 공저를 세우게 되었다. 이때 지붕은 보천교(普天敎) 본당이던 십일전(十一殿)[2]의 화려한 청기와를 가져왔다. 사령관 관저는 1939년 완공된 후 미나미 지로가 공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공저 완공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주차군 사령관을 노린 폭탄 테러가 수도 없이 발생하면서 주차군 사령관 공저는 상당한 피해를 입었다. 그 뒤로 사령관 공저는 너무 심한 피해를 받아서 복구를 포기하고 한국 주차군 사령부를 임시 공저로 사용했다. 그러나 그 뒤로 사령관들은 공저에 입주하는 것을 꺼렸고 그 대신에 자택에서 사령부로 출퇴근했다.

2차대전과 황궁 사건으로 주차군 공저가 다시 심각한 피해를 입었지만, 해방이 되면서 주권예속기에 지어진 주차군 사령관 관저를 재활용하여 총리대신의 관저이자 공저로 쓰이게 되었다. 이후 총리대신의 집무실을 뜻하는 수상부(首相府)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빠르게 수상부 건물은 복구는 했지만 복구된 수상부는 전쟁통에 망가진 걸 임시 복구만 하고 쓰는 수준이라 시설이 매우 좋지 못했다. 그 뒤로 역대 총리대신들은 대부분 자택에서 관저로 출퇴근했으며, 수상관저조차 비워두고는 자신의 저택에 관저 기능까지 그대로 옮겨놓는 경우도 많았다. 장면은 외무대신 시절부터 사용해온 한남동의 외무대신 관저를 총리 영전 후에도 그대로 써먹었고[3], 김성곤도 종로구 인근에 있던 자택을 관저처럼 써먹었다.

그러던 것을 1960년 안보투쟁 당시 시위대가 관저를 포위해서 조병옥 총리가 퇴근하지 못했던 일이 있었던 것을 계기로 총리의 출퇴근에 따른 경호 문제가 대두되어 수상부는 대규모 리모델링을 거쳐 1963년부터 총리의 생활공간으로 다시 쓰게 되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살기 좋은 건물은 아니어서, 흉흉한 소문이 끊이지 않았고 그래서 총리들이 구 본관을 좋아하지 않았다. 1980년대 까지 여러 총리대신들은 등은 리모델링 이후로도 자택에서 출퇴근했다. 박정희김종필과 같은 총리들은 수상부에 거주했지만 수상부를 좋아한 것은 아니었다.

현재

1960년대의 리모델링 이후로도, 역대 총리들은 수상부를 선호하지 않았는데, 1947년에 지은 걸 수리만 하고 쓰고 있어서 매우 비좁았다. 이 때문에 신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내 새 관저가 착공되어 1991년에 완공되었다. 현 관저는 대지 95,550㎡에 연건평 48,644㎡로 지상 6층 및 지하 1층의 초현대식 건물로 구 본관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넓다. 새로운 총리 관저는 설계 당시부터 외관과 내장 모두 ‘한국적인 미학을 추구한다’는 기조 아래 꾸며졌다. 관저를 찾은 외국 손님들에게 한국의 아름다움을 보여줄 수 있도록 박물관 또는 미술관적 컨셉트에 주안점을 두었다.

관저를 새로 신축하는 과정에서 이미 기존의 초고층 빌딩이 인접하고 있는 문제로 경호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상당히 면밀한 설계를 거쳤으며, 미국의 백악관 상황실을 본딴 국가위기관리센터를 지하에 배치하는 식으로 수상 관저의 집중도를 높였다. 또 태양광발전 및 풍력발전 설비를 설치하고 연료전지를 통한 발전과 난방 시스템도 갖추는 등 친환경적인 면에도 신경썼다.

관저 신축과 함께 옛 본관은 대규모 리모델링을 거쳐 1995년부터 총리 공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건물

관저

내각총리대신 집무실

공저

여담

관련 문서

둘러보기

정부수반 관저
[ 펼치기 · 접기 ]
수상부 백악관 중난하이 총리대신관저
백악관 로고.svg 중국 국장.svg 고시치노키리 수상관저.svg
대한국 미국 국기.svg 미국 중국 국기.svg 중국 일본 국기.svg 일본
연방수상부 다우닝 가 10번지 엘리제궁 키지궁
독일 정부 문장.svg 영국 국장.svg 엘리제 궁전 아이콘.svg Ovale PALAZZO CHIGI.svg
독일 국기.svg 독일 영국 국기.svg 영국 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크렘린 총통부 말라카낭궁
이스타나 누를 이만
엘리제 궁전 아이콘.svg 중국 총통부 휘장.svg 말라카낭궁 휘장.svg Personal Emblem of the Sultan of Brunei.svg
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중화민국 국기.svg 대만 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틀:대한국 관련 문서 (충신불사이군) 틀:중구(경성부) 소재 관서 (충신불사이군)


  1. 흔히 수상부발 공보임을 나타내는 문장으로 첨부된다.
  2. 십일전 본당 건물은 조계사 대웅전으로 쓰이게 된다.
  3. 1~2차 총리대신 재내내 본인이 외무대신을 겸직하고 있었던 상황이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