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대 인동부원군
|
대한국 제31대 · 34-36대 · 38대 내각총리대신 장면 백작 張勉 伯爵 | Earl, Chang Myon
|
|
출생
|
1899년 8월 28일
|
경성부 서서 적선방 사온동계 사온동 (現 경성부 종로구 적선동)
|
사망
|
1966년 6월 4일 (향년 66세)
|
경성부 종로구 명륜동1가 36-5 (現 경성부 종로구 혜화로5길 49)
|
묘소
|
경성부 중구 장충원 장면총리대신묘소
|
재임기간
|
제31대 내각총리대신
|
1946년 1월 7일 ~ 1947년 8월 28일
|
제34대 내각총리대신
|
19nn년 n월 n일 ~ 19nn년 n월 n일
|
제35대 내각총리대신
|
19nn년 n월 n일 ~ 19nn년 10월 17일
|
제36대 내각총리대신
|
19nn년 n월 n일 ~ 19nn년 10월 17일
|
제38대 내각총리대신
|
19nn년 n월 n일 ~ 19nn년 10월 17일
|
서명
|
|
링크
|
[1]
|
본관
|
인동 장씨 상장군계[2]
|
부모
|
아버지 장기빈, 어머니 황루시아
|
형제자매
|
동생 장발, 장극 여동생 장정혜, 장정온, 장정량
|
배우자
|
김옥윤
|
자녀
|
아들 장영, 장진, 장건, 장익, 장순, 장흥 딸 장명숙, 장의숙, 장명자
|
학력
|
인천 박문학교 (수료) 인천심상소학교 (졸업) 수원농림전문학교 (졸업) 맨해튼 가톨릭대학교 (영문학·교육학 / 학사) 맨해튼 가톨릭대학교 (교육학 / 석사) 맨해튼 가톨릭대학교 (법학 / 박사) 포덤 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시튼홀 대학교 (법학 / 명예박사)
|
종교
|
천주교 (세례명: 세례자 요한)
|
신체
|
179cm
|
소속 정당
|
|
의원 선수
|
9
|
의원 대수
|
1, 2, 3, 4, 5, 6, 7, 8, 9
|
지역구
|
경성부 용산구
|
약칭
|
鄭
|
자
|
지태(志兌)
|
호
|
운석(雲石)
|
|
대한국의 제31대 · 34-36대 · 38대 내각총리대신. 한국 신파의 시조격인 인물[3]이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한국의 재건, 국가전략 노선을 세운 인물이다.[4]

자세한 내용은
장면/일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장면 내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대중매체에서
5.선거 이력
6.소속 정당
- ↑ 운석장면기념사업회 홈페이지
- ↑ 황상(凰顙)파 14세. 인동 장씨 31세.
- ↑ 신파 양대 파벌(정창회와 남청회)의 시조라고 할 수 있는 이기붕과 장면 모두 장면의 정치적 제자였다.
- ↑ 미국과의 한미동맹을 기초로 최소한의 경무장 방위력만 보유한 채, 경제발전에 주력한다는 노선. 흔히 '장면 독트린'으로 불리며, 냉전이 종식될 때까지 후임 총리대신들도 이를 계승하며 일종의 국가전략으로 자리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