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령 홍콩 (영광이 다시 오길)


영광이_다시_오길_배너.png

양자형기_문양.png
영광이_다시_오길_로고_화이트.png 국가 목록
[ 펼치기 · 접기 ]
영국령 홍콩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영국_국기.svg 대영제국의 식민지
영국령 홍콩
英屬香港
British Hong Kong
영국령 홍콩 국기.svg 홍콩 국장.svg
휘장
width: calc(100% + 5px)
1841년 ~ 1941년
1945년 ~ 1997년
난징 조약 이전 홍콩 반환 이후
청나라
광둥성 신안현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상징
국가
하느님 여왕 폐하를 지켜주소서[1]
역사
[ 펼치기 · 접기 ]

영국의 홍콩 점령 1841년 1월 26일
난징 조약 1842년 8월 29일
베이징 조약 1860년 10월 18일
홍콩 영토 확장을 위한 협약 1898년 6월 9일
1922년 홍콩 선원 파업 1922년 1월 13일 ~ 1922년 3월 8일
일본의 홍콩 점령 1941년 12월 25일 ~ 1945년 8월 30일
쌍십폭동 1956년 10월 10일 ~ 1956년 10월 12일
67폭동 1967년 5월 6일 ~ 1967년 12월
중영공동선언 1984년 12월 19일
홍콩 반환 1997년 7월 1일

지리
면적
1,105.5 km²
위치
중국 대륙 남부
접경국
중화인민공화국
인문환경
공용어
영어, 광둥어(사실상)
인구
6,217,556명(1996년)
공용 문자
로마자, 한자(사실상)
종교
불교, 도교, 기독교, 이슬람교 등
정치
정치 체제
왕령식민지 (1843년 ~ 1941년, 1945년 ~ 1981년)
영국의 해외 영토 (1981년 ~ 1997년)
영국 국왕
빅토리아 여왕 (1841년 ~ 1901년)
에드워드 7세 (1901년 ~ 1910년)
조지 5세 (1910년 ~ 1936년)
에드워드 8세 (1936년)
조지 6세 (1936년 ~ 1941년, 1945년 ~ 1952년)[2]
엘리자베스 2세 (1952년 ~ 1997년)
주요 총독
헨리 포팅거 경 (1843년 ~ 1844년)[3]
존 보우링 (1854년 ~ 1859년)
머레이 맥클레호스 (1971년 ~ 1982년)
크리스 패튼 (1992년 ~ 1997년)[4]
경제
경제 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통화
홍콩 달러

개요

영국령 홍콩 (英屬香港, British Hong Kong)은 1842년 난징 조약 이후 1997년 홍콩 반환 이전까지 156년 동안 존재했던 대영제국의 식민지이다.

역사

설립과 발전

제1차 아편전쟁이 진행되던 1841년 영국군에 의해 광둥성 신안현에 위치한 홍콩섬이 영국 해군에 의해 점령당한다. 이후 1842년에 체결된 난징 조약에서 홍콩섬은 영국 정부에 전리품으로써 양도되었으며 이듬해인 1843년에 홍콩은 정식으로 영국의 식민지가 되고 홍콩 총독부가 들어서게 되었다. 그리고 제2차 아편전댕 이후 1860년에 체결된 베이징 조약으로 육지 부분인 구룡반도와 신계까지 전 지역이 99년간 임대 형식으로 영국에 귀속되었다. 그렇게 19세기 중후반에 홍콩은 대영제국의 대표적인 무역항으로 성장하였으며 자유무역항 및 중국으로의 관문으로 선언되었고 광저우-신계간의 철도가 건설되는 등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이후 19세기가 저물고 20세기가 도래하였음에도 홍콩은 영국의 자유무역항으로써 번영하였으며 청나라가 휘청거리고 신해혁명이 일어나 중국이 혼란에 빠지자 혁명가들과 군벌들의 망명지이자 근거지로써 활용되었다. 이 과정에서 1922년 홍콩 선원 파업과 1925년의 5.30 운동 등 중국의 영향을 받은 굵직한 사건들이 일어나기도 했으나 당시 프랑스와 함께 전통적인 양대 열강 중 하나였던 영국에 의해 금세 진압되며 홍콩은 다시금 안정을 되찾았다.

전쟁과 냉전

그러나 일본의 진주만 습격으로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고 일본은 미국의 동맹이였던 영국에게도 선전포고 하자 홍콩에는 불벼락이 떨어지게 된다. 전쟁 발발 하루 뒤인 1941년 12월 8일, 일본군은 홍콩 공격을 실시하였고 홍콩 주둔 영국군은 17일 동안 죽을각오로 홍콩을 방어하였으나. 결국 크리스마스에 홍콩은 일본군에 의해 점령당하고 만다. 점령기 동안 홍콩의 경제는 마비되었으며 일본군은 헌병을 풀어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그러나 모두가 알다 싶이 일본은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로 항복하게 되었고 8월 15일 이후 홍콩은 다시 영국에 귀속되게 된다.

전후 중화민국 국민정부는 홍콩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였으나 영국 정부는 이를 무시하였고 국민정부가 대만으로 쫓겨나면서 중화민국의 홍콩 영유권 주장은 사실상 사그러들게 되었다. 국공내전 이후 대륙을 중국 공산당이 장악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이 건국되자 본토에서 도망친 자본가, 학자, 앨리트 세력이 홍콩으로 도피하였으며 이는 전후 홍콩 경제 개발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였고 홍콩의 경제 성장률은 하늘 높은줄 모르고 치솟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별개로 홍콩 내의 빈부격차는 극심해져 가고 있었고 부유한 홍콩 섬과 가난한 신계-구룡 지역 주민들의 갈등의 골이 깊어져만 가고 있었다. 그리고 이시기 중국 본토에서는 마오쩌둥에 의해 대약진 운동과 문화대혁명이 일어나며 극심한 혼란에 빠지자 중국 본토의 주민들이 혼란을 피해 홍콩으로 피난을 오기 시작하자 홍콩의 사회문제가 더더욱 심화되기 시작하고 본토의 마오쩌둥 주의자들 까지 유입되며 홍콩 빈곤층의 분노의 골은 점점더 깊어지기 시작했다.

결국 소규모 폭동이 일어나며 치안 붕괴의 조짐이 보이더니 1967년 5월 6일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은 공회연합회의 주도로 67폭동이 일어났으며 홍콩 식민당국이 이를 무력으로 진압하자 분개한 본토의 홍위병이 주중 영국 대표부를 점령하는 등 막장의 막장을 달리게 되었다. 홍콩이 이 지경까지 가게 되자 더 이상 가만히 놔두면 안돼겠다고 판단한 홍콩 식민당국은 염정공서[5]를 설립하고 부패를 근절하며 질적 완화를 이뤄내는 등 점차 안정화 되기 시작했다.

반환과 소멸

한편 홍콩 반환시기가 점차 다가오자 영국 정부는 바빠지기 시작했다. 본래 신계와 구룡반도 일대는 99년간 조차지였고 홍콩 섬 일대는 반환하지 않아도 되었으나 실질적으로 홍콩 섬만으로는 식민지 자체를 유지 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은 영국 정부는 신계와 구룡반도 일대의 반환을 연기시키려고 노력하였으나 연기가 무산되자 전면 반환을 택한 영국은 1984년 12월 19일 영국 측 대표인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와 중국 측 대표인 자오쯔양 중국 국무원 총리 사이에서 영중공동선언이 발표하였다.

영중공동선언 발표 이후 약 7년이 지난 1997년 7월 1일, 홍콩 전역에서 유니언 잭과 영국령 홍콩기가 내려가면서 반환식이 시작되었고 홍콩의 주권이 중화인민공화국으로 넘어가며 영국령 홍콩은 소멸하게 되었다.

부활

2024년 9월 15일 홍콩 민주화 운동과 중국 정치위기 끝에 홍콩특별행정구가 완전히 붕괴되고 홍콩 시민의 의지에 따라 영국 정부의 일시적인 신탁통치가 결정되면서 홍콩 자치령이라는 이름으로 영국령 홍콩이 사실상 부활하고 1년간의 신탁통치가 실시되었다.

의의

현재 홍콩의 자유항으로써의 입지와 경제의 기반이 이시기에 다져졌으며 영국식 선진 행정제도가 도입되고 치안이 강화되었으며 민주주의와 자유주의가 제한적이지만 도입됨으로써 이후 홍콩 민주화 운동의 밑거름이 되었다.

홍콩총독부

틀:역대 홍콩 통치기관 (영광이 다시 오길) 홍콩총독부(香港總督府, British Hong Kong Government)는 영국의 홍콩 통치 기간동안 홍콩의 최고 행정기구였다. 홍콩총독부는 수반인 홍콩 총독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이 시기의 홍콩은 영국의 식민지였던 만큼 총독부의 수반인 총독은 영국 정부에서 임명되었으며 대부분의 홍콩 총독은 전문 정치인이 아닌 외교관 출신이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된 바와는 달리 실질적으로 홍콩의 운영은 총독부(행정부)가 아닌 총독(행정수반)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총독의 권한은 타지의 총독들에 비해 강력했다. 이는 홍콩 자체의 규모가 워낙 작았던데다가 냉전시기 공산주의 국가였던 중국과 접경하고 있었던 무역 중심지인 홍콩의 특성상 운영과 안보에 있어서 영국 정부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던 탓이었다.

홍콩 총독(香港總督, Governor of Hong Kong)은 영국령 홍콩의 행정부 수반으로 위에서 언급되었듯 타지의 총독에 비해서는 그 권한이 약할지언정 홍콩 내부에서 만큼은 거의 무소불위의 권한을 보유하고 있었다. 홍콩 내부의 모든 공무원에 대한 임면권을 가지고 있었으며 집행위원회[6]와 입법위원회의 수반을 겸임하여 입법권과 행정권을 모두 틀어쥐고 있었다. 그러나 홍콩 총독은 타 영국 식민지의 총독과는 달리 주둔 영국군에 대한 통수권이 없었으며 정책 입안에 있어서 집행위원회의 자문 혹은 견제를 받는 등 완전한 절대권력을 휘두르지는 못했다.

홍콩 총독과 홍콩총독부는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홍콩 행정장관과 홍콩특별행정구 행정부로 계승되었다가 2024년 홍콩 특구의 붕괴 이후 홍콩 자치령 시기 잠시동안 부활하였다. 그러나 이시기의 홍콩 총독은 캐나다, 호주 등의 영연방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실질적인 권한이 없는 명목상의 국가원수로써 기능하였으며 홍콩 공화국의 설립 이후 홍콩 대통령으로 이어지고 있다.

둘러보기

홍콩 국장.svg
홍콩 총독
[ 영국령 홍콩 총독 ]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헨리 포팅어 존 프란시스 데이비스 조지 본햄 존 보우링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허큘리스 로빈슨 리차드 그레이브스 맥도넬 아서 케네디 존 포프 헤네시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조지 보웬 조지 월리엄 데 보 윌리엄 로빈슨 헨리 아서 블레이크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매튜 나단 프레데릭 루가드 프란시스 헨리 메이 에드워드 스텁스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세실 클레멘티 윌리엄 필 앤드류 콜더컷 게프리 노스코트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마크 애이치슨 영 알렉산더 그랜섬 로버트 블랙 데이빗 트렌치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머레이 맥클레호스 에드워드 유드 데이비드 윌슨 크리스 패튼
[ 홍콩 자치령 총독 ]

  1. 영국령 홍콩은 자체적인 국가가 없었으며 대영제국의 국가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2. 홍콩일치시기 1941년 ~ 1945년
  3. 초대
  4. 말대
  5. 홍콩의 부패 수사기관
  6. 홍콩의 내각 내지는 자문기관으로 미국의 장관회의(자문권은 있으나 의결기관은 아님)과 거의 일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