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국 내각총리대신 | ||||||||||||||||||||||||||||||||||||||||||||||||||||||||||||||||||||||||||||||||||||||||||||||||||||||||||||||||||||||||||||||||||||||||||||||||||||||||||||||||||||
---|---|---|---|---|---|---|---|---|---|---|---|---|---|---|---|---|---|---|---|---|---|---|---|---|---|---|---|---|---|---|---|---|---|---|---|---|---|---|---|---|---|---|---|---|---|---|---|---|---|---|---|---|---|---|---|---|---|---|---|---|---|---|---|---|---|---|---|---|---|---|---|---|---|---|---|---|---|---|---|---|---|---|---|---|---|---|---|---|---|---|---|---|---|---|---|---|---|---|---|---|---|---|---|---|---|---|---|---|---|---|---|---|---|---|---|---|---|---|---|---|---|---|---|---|---|---|---|---|---|---|---|---|---|---|---|---|---|---|---|---|---|---|---|---|---|---|---|---|---|---|---|---|---|---|---|---|---|---|---|---|---|---|---|---|
[ 펼치기 · 접기 ]
|
초대 영일부원군 | |||||||||||||||||||||||||||||||
---|---|---|---|---|---|---|---|---|---|---|---|---|---|---|---|---|---|---|---|---|---|---|---|---|---|---|---|---|---|---|---|
대한국 제66-69대 내각총리대신 이명박 남작 李明博 男爵 | Baron, Lee Myung-bak | |||||||||||||||||||||||||||||||
출생 | 1941년 12월 19일 (82세) | ||||||||||||||||||||||||||||||
오사카부 나카카와치군 가미무라 후쿠이도정3초메 52 (現 오사카부 오사카시 히라노구 가미미나미정3초메 4-15) | |||||||||||||||||||||||||||||||
사저 | 경성부 강남구 학동로 23길 42 | ||||||||||||||||||||||||||||||
현직 | 제29대 민의원 의원 대한독립당 종로구 지구당위원장 | ||||||||||||||||||||||||||||||
재임기간 | 제66대 내각총리대신 | ||||||||||||||||||||||||||||||
2012년 n월 n일 ~ 2013년 n월 n일 | |||||||||||||||||||||||||||||||
제67대 내각총리대신 | |||||||||||||||||||||||||||||||
2013년 n월 n일 ~ 2015년 n월 n일 | |||||||||||||||||||||||||||||||
제68대 내각총리대신 | |||||||||||||||||||||||||||||||
2015년 n월 n일 ~ 2017년 n월 n일 | |||||||||||||||||||||||||||||||
제69대 내각총리대신 | |||||||||||||||||||||||||||||||
2017년 n월 n일 ~ 2018년 n월 n일 | |||||||||||||||||||||||||||||||
서명 | |||||||||||||||||||||||||||||||
링크 | | | | |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대한국의 제66-69대 내각총리대신으로 희령시대 최장 기간 집권한 총리대신이라는 기록을 보유한 인물이다.
김종인 총리의 사임 이후 무능과 불안정으로 점철되고, 2008년 경제위기 대처에 부진했던 이전 총리인 정홍원과 한덕수 총리의 실정으로 한때 한독당의 지지율이 사회당에게 역전당하는 상황에 처했다. 결국 당내외의 압박으로 사임한 정홍원 총리의 뒤를 이어 2012년 12월 총리대신에 취임한다. 취임 이후 40여일만인 2013년 1월 제26회 민의원 의원 총선거에서의 압승으로 정권 교체의 위협을 이겨내고 정권 유지에 성공, 총리직을 유임하며 한독당내에서 압도적인 영향력을 구축하는데 성했다.(제2차 이명박 내각) 2년 뒤인 2015년 제27회 민의원 의원 총선거와 2년 뒤인 2017년 제26회 민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도 압도적 다수 의석을 그대로 유지하여 정권을 연장했다.(제3, 4차 이명박 내각)
2차 내각 성립 이후의 이명박은 역대 총리대신들 중 손꼽힐 수준의 상당한 정치적 업적과 유산들을 남긴 것으로 평가된다. 정치적 측면에서는 김종인의 임기 종료 이후 약 7년간 회전문 총리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불안정했던 내각을 자신의 탄탄한 지지율을 기반으로 안정시켰다.[1] 경제적 측면에서는 단단한 권력 기반을 바탕으로 747 계획라는 이름의 강력한 양적 완화 정책을 실시하여, 한국의 경제를 상당 수준 활성화하는 데 성공[2]했다.
외교적 측면에선 미국과 서방 진영에게, 중국, 러시아 등을 위시한 반 서방 세력 견제의 매우 중요한 조력자[3]로 인식되었다. 747 계획나 이명박 독트린이 국제 사회에서 별 잡음없이 통과된 데에는 이같은 배경이 깔려있다고 보면 된다. 반면, 일본과 중국에서는 이명박의 역사관을 이유로 들어 대한관계 악화의 원인으로 지목해 비판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2013년에는 과거 간도방위출동과 황궁사건에서 사망한 순국 무관과 안중근등 중국과 일본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전몰호국자들이 합사된 장충원 참배를 강행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계속 장충원에 참배하는 등의 행보를 보이며 주변국의 반발을 불렀다. 참고로 이명박은 한국 최대의 강경 보수 단체인 황국협회의 회원이다.
군사적 측면에서는 재무장 및 군비 증강을 일관되게 추진했다. 신냉전 구도의 당사자인 중국은 당연히 이를 동아시아의 군사적 긴장을 악화시키는 행동이라 주장하고 있으며, 일본도 이러한 행보에 우려를 표하는 중이다. G7 서방국가들의 ‘요구’와 한국 내 강경 우익 세력의 '요구'에 응하여[4] 진행하고 있다. 더욱이 한국의 경기가 나아져 매년 늘어난 GDP와 세수액 및 예산을 비교해 본다면 비록 매년 증가하고는 있지만 여전히 1%대 군사비를 지출하는 한국은 오히려 일(GDP 대비 1.6%)이나 중국(GDP 대비 2.0%)과 비교하였을 때 양호한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볼 수 있다.
2018년 8월, 지병 문제[5]로 7년만에 총리직을 사임하였으나, 여전히 당내 최대 파벌 우남회의 영수이자 당내 실세로서 힘을 발휘했고 후임 총리인 이재오와 주호영을 옹립하는 데에도 깊이 관여했으나, 불충 논란으로 인하여 차기 민선 불출마를 선언하며, 사실상의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생애
이명박 내각
정치적 성향
동아일보 · 경성제대 한국정치연구소 공동 조사 2017년 민의원 선거 후보자 정보 - 이명박 | ||
---|---|---|
이슈 | 질문 | 답변 |
개헌 | 헌법 개정에 | 찬성[6] |
소비세 | 장기적으로 볼 때 소비세율은 10%보다 높아야 한다. | 중립 |
무상교육 | 유치원·탁아소부터 대학까지의 교육을 무상화해야 한다. | 조금 찬성 |
재정 지출 | 당장은 재정 재건을 위한 세출의 억제보다는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 투입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 중립 |
격차 해소 | A: 사회적 격차가 다소 있더라도 경제 경쟁력 향상을 우선해야 한다. B: 경제 경쟁력을 다소 희생하더라도 격차 시정을 우선해야 한다. |
무응답 |
재정 적자 | A: 국채는 안정적으로 소화되고 있어 재정 적자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 B: 재정적자는 위기 수준이기 때문에, 국채 발행을 억제해야 한다. |
조금 B |
부자 증세 | 소득이나 자산이 많은 사람에 대한 과세를 강화해야 한다. | 중립 |
치안·인권 | 치안을 유지하기 위해 개인 정보 보호 및 개인의 권리가 제한되는 것은 당연하다. | 중립 |
동성혼 | 동성간의 결혼을 법적으로 인정해야 한다. | 무응답 |
피선거 연령 | 피선거권을 얻을 수 있는 연령을 인하해야 한다. | 조금 찬성 |
외국인 노동 | 외국인 노동자의 수용을 추진해야 한다. | 중립 |
장충원 | 총리가 장충원을 참배해야 한다. | 무응답 |
탈원전 | A: 지금 바로 원자력 발전을 폐지해야 한다. B: 앞으로도 원자력 발전을 에너지 원의 하나로 유지해야 한다. |
B |
가족관 | A: 부부와 여러 아이들이 갖추어져 있는 형태가 가족의 기본이다. B: 한부모 가정이나 사실혼 등 가족의 형태는 다양한 것이 좋다. |
무응답 |
핵개발 | 한반도 비핵화 선언[7]을 견지해야 한다. | 찬성 |
국방 | 한국의 방위력은 더 강화해야 한다. | 찬성 |
선제 공격 | 타국으로부터의 공격이 예상되는 경우 선제 공격도 주저해서는 안 된다. | 무응답 |
국가관 | 특정 국가들에 대해 대화보다 압력을 우선해야 한다. | 찬성 |
'조금'의 답변은 '둘 중 하나를 선택하자면'이며 '중립'은 '어느쪽도 아니다'이다. |
여담
어록
선거 이력
소속 정당
기타
- ↑ 여담으로 회전문 총리 시기, 한국 언론에서는 내각제의 단점을 까며 한국도 실권자인 총리에게 강력한 권력을 부여해야 국정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며 일본의 수상공선제를 도입해야 된다는 기사가 심심찮게 나오기도 했다.
- ↑ 코스닥은 취임 초와 비교했을 때 무려 2.1배 이상 상승했다. 실업률, 전세대의 유효 구인 배율, GDP 수치 등 대부분의 경제 지표들은 이명박 내각 기간 동안 줄줄이 신기록을 경신했다.
- ↑ 역대 한국의 총리들 중 이인제, 김종인과 더불어 가장 친미 성향이 강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2차 내각 이후는 미국과 서방 세력의 패권이 과거와 달리 중국, 러시아 등 반서방 진영에게 위협 받았던 시점이므로, 이명박이 서구 세계 입장에선 상단의 두 총리대신들보다 훨씬 더 고마운 존재로 인식되었다. 당장 정권교체를 건 선거를 치루던 사회당은 미국 대신, 중국 중심의 친중 스탠스로 이동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는 미국의 입장에선 상당한 위협이 되는 상황이었다.
- ↑ 이전부터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들은 한국이 군대를 가질 수 없다는 핑계를 대며 자신들에게 안보를 의존하는 짠돌이 행태에 큰 불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불만은 21세기 들어 경제적으로 급격히 성장하여 군사적 팽창을 시도하는 중국과 미국의 연이은 파병 실패로 인한 군축을 계기로 폭발했다.
- ↑ 당뇨와 기관지 질환
- ↑ 어떤 부분을 개정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응답하지 않았으며 서두를 필요는 없다는 입장이다.
- ↑ '핵무기의 시험, 제조, 생산, 접수, 보유, 저장, 배비, 사용을 하지 아니한다' 노태우 전 수상 내세운 원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