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경경구개 마찰음 Alveolo-palatal Fricative | ||||
---|---|---|---|---|
ɕ • ʑ
| ||||
치경경구개 | ||||
중설 | ||||
치찰 마찰 |
개요
혀로 센입천장부터 윗잇몸까지 이르는 부분을 넓게 덮어 공기를 마찰시켜 내는 소리.
한국어의 ㅅ, ㅆ이 전설 고모음과 그에 대응하는 반모음 앞에 놓일 때 이 발음으로 변한다. 일본어도 마찬가지다.
구개음화가 일어나던 시절에 ㅅ, ㅆ도 ㅈ, ㅉ, ㅊ와 같이 구개음화되어 모든 경우에 이 발음이었다. 그러나 ㅈ, ㅉ, ㅊ와 달리 ㅅ, ㅆ는 다시 치경 마찰음으로 돌아갔으며, 이 여파로 샤, 쇼, 슈, 셔 등의 초중성을 가지던 상당수의 한국 한자음들이 본래 발음을 잃어버렸다.[1] 일본어와 중국어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아 옛 한자음이 그대로인 것을 볼 수 있다.
'쉐' 라는 잘못된 표기가 살아남은 이유도 이 흔적으로 추정된다. 다른 자음에 대해서는 ㅞ, ㅙ, ㅚ가 모두 사실상 같은 발음을 지니지만, 유독 ㅅ에 대해서는 ㅞ 혼자 ㅅ을 구개음화시켜 이 발음으로 만든다. 그래서 '쉐' 라는 글자의 발음은 언중에게 있어 [ swe ][2]와 [ ɕwe ][3]가 공존하는 상황이다.
유성음은 중세 국어 ㅿ가 전설 고모음과 그에 대응하는 반모음 앞에 놓일 때 발음되었으나, ㅿ가 사라지면서 한국어에서 사라졌다. 일본어에서는 じ가 이 발음이었으며, 치경경구개 파찰음의 발음은 ぢ가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일본어 역시 시간이 지나며 일부 방언을 제외하고 두 글자의 발음 차이가 사라져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