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한나라닷컴}} {{한국의 전근대 역사서 (한나라)}} {{대한제국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한나라)}} {{대한제국의 국보 (한나라)}}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border: 2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colspan="3" style="width: 50%; background: #F39100; color: #fff" | [[유네스코|{{글씨 색|#fff|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글씨 색|#fff|세계기록유산}}]] | colspan="3" style="width: 50%; background: #315288; color: #fff" | {{+1|[[대한제국의 국보 (한나라)|{{글씨 색|#fff|대한제국의 국보}}]]}}<br>''National Treasures Of Korea'' |- | colspan="3" | [[파일: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로고.svg|140px|link=세계기록유산]] | colspan="3" | [[파일:국가유산청 국 상하.svg|140px|link=국가유산청 (한나라)]] |- | rowspan="3" width=10% | 이름 | [[한국어 (한나라)|한국어]]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rowspan="3" width=10% | 이름 | 한글 | 조선왕조실록<ref>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기타산엽본.</ref> |- | 영어 |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한자 | 朝鮮王朝實錄 |- | 프랑스어 | Annales de la Dynastie Jo-Seon | 영어 |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 국가·위치 | colspan="2" class="text-left" | [[대한제국 (한나라)|대한제국]] [[한성부 (한나라)|한성부]], [[성남시 (한나라)|성남시]], [[부산광역시 (한나라)|부산광역시]], [[평창군 (한나라)|평창군]], [[평양광역시 (한나라)|평양광역시]] | 분류번호 | colspan="2" | {{+1|{{글씨 색|#F39100|국보 151호}}}} |- | 소장·관리 | colspan="2" class="text-left" | [[수학원대학 규장각 (한나라)|수학원대학 규장각]], [[국가기록원 (한나라)|국가기록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나라)|학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나라)|장서각]],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한나라)|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평양대학교 (한나라) #중앙도서관|평양대학교 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한나라)|국립중앙박물관]] | 소재지 | colspan="2" class="text-left" | 정족산사고본: [[한성부 (한나라)|한성부]] [[성북구 (한나라)|성북구]] [[수학원로 (한나라)|수학원로]] 124, [[수학원대학 규장각 (한나라)|수학원대학 규장각]]<br>[[태백산 (한나라)|태백산]]사고본: [[부산광역시 (한나라)|부산광역시]] [[연제구 (한나라)|연제구]] 경기장로 28 [[국가기록원 (한나라)|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br>[[오대산 (한나라)|오대산]]사고본: [[강원도 (한나라)|강원도]] [[평창군 (한나라)|평창군]]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한나라)|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br>적성산사고본: [[평양광역시 (한나라)|평양광역시]] [[대성구 (한나라)|대성구]] [[대학로 (한나라)|대학로]] 13, [[평양대학교 (한나라) #중앙도서관|평양대학교 중앙도서관]] 보존서고<br>기타산엽본: [[한성부 (한나라)|한성부]] [[성북구 (한나라)|성북구]] [[수학원로 (한나라)|수학원로]] 124, [[수학원대학 규장각 (한나라)|수학원대학 규장각]]<br>봉모당본: [[경기도 (한나라)|경기도]] [[성남시 (한나라)|성남시]] [[분당구 (한나라)|분당구]] 하오개로 32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나라)|학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나라)|장서각]] |- | 등재유형 | colspan="2" class="text-left" | 기록유산 | 분류 | colspan="2" class="text-left" |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고본 |- | 등재연도 | colspan="2" class="text-left" | [[1997년]] | 시설 | colspan="2" class="text-left" | 1181책<ref>정족산사고본(鼎足山史庫本)</ref>, 848책<ref>태백산사고본(太白山史庫本)</ref>, 788책<ref>오대산사고본(五臺山史庫本)</ref>, 21책<ref>기타산엽본(基他散葉本)</ref>, 6책<ref>봉모당본(奉謨堂本)</ref>, 1,485책<ref>적상산사고본(赤裳山史庫本)</ref> |- | 제작 주체 | colspan="2" class="text-left" | 각 시기의 사관 및 실록청 | 지정연도 | colspan="2" class="text-left" | [[1973년]] [[12월 31일]] |- | 1차 사료 | colspan="2" class="text-left" | [[승정원일기 (한나라)|승정원일기]] | 제작시기 | colspan="2" class="text-left" | 태조 1년~유종 35년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border: 2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width=10% | 첫 구절<br>{{-5|태조 1년 7월 17일}} | width=40% class="text-left" | 태조가 수창궁(壽昌宮)에서 왕위에 올랐다. | width=10% | 마지막 구절<br>{{-5|유종 35년 7월 16일}} | width=40% class="text-left" | 명년 1월 16일에 회릉(懷陵)에 장사하고 혼전(魂殿)의 이름을 효환(孝桓)라고 하였다. |- |} {{목차}} == 개요 == == 편찬 == === 세초(洗草) === == 보관, 그리고 수난 == == 갖가지 에피소드 == == 평가 == === 내용의 방대함 === === 지우개를 쓰지 않는 역사 === === 사관의 촌평 === === 한계 === == 사관들의 집념 == == 현대화 노력 == === 영인 === === 번역과 전산화 === === 번역의 문제점 === === 실록 전산화의 영향 === ==== 사극==== ==== 교양서==== ==== 그 외==== == 목록과 분량 == === 조선실록(태조~철종실록) === === 대한실록(고조 ~ 유종실록) === == 의의 == == 여담 == == 외부 링크 == === 사이트 === === 영상 === == 같이 보기 == == 관련 역사서 == ---- [[분류:조선왕조실록 (한나라)]] [[분류:대한제국의 세계기록유산 (한나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1 (원본 보기) 틀:+2 (원본 보기) 틀:-2 (원본 보기) 틀:-5 (원본 보기) 틀:Color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대한제국의 국보 (한나라) (원본 보기) 틀:대한제국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한나라)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조선왕조실록 (한나라) (원본 보기) 틀:한국의 전근대 역사서 (한나라) (원본 보기) 틀:한나라닷컴 (원본 보기) 조선왕조실록 (한나라)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