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리좀}} ---- {{대한공화국의 원내 정당 (리좀)}}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420px; border:2px solid #FCD800; color:#000; float:right;"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color: #fff; background: #fff; height:200px;" | <html><a href="/w/index.php/새정치당 (리좀)"class="image"><img alt="새정치당 로고 (리좀).svg" src="https://evewiki.kr/w/images/a/a8/%EC%83%88%EC%A0%95%EC%B9%98%EB%8B%B9_%EB%A1%9C%EA%B3%A0_%28%EB%A6%AC%EC%A2%80%29.svg" width="350px"></a></html> |- ! colspan="2" style="width:420px; background:#FCD800; color:#000;" | 새정치당 |- ! width=125px style="color:#000;" | 약칭 | '''새정치''' |- ! style="color:#000;" | 슬로건 | {{글씨 색|#000|'''새정치당에서 시작하는 대한공화국 새정치'''}} |- ! style="color:#000;" | 한문 명칭 | 새政治黨 |- ! style="color:#000;" | 영문 명칭 | Party for New Politics; '''PNP''' |- ! style="color:#000;" | 불문 명칭 | Parti pour une nouvelle politique<ref>파르티 푸르 윈 누벨 폴리티크</ref>; '''PNP''' |- ! style="color:#000;" | 창당 | [[2016년]] [[1월 6일]] <sub>('''{{글씨 색|#006241|국민의당}}''')</sub> |- ! style="color:#000;" | 당명 변경 | [[2018년]] [[2월 13일]] <sub>('''{{글씨 색|#00B4B4|바른미래당}}''')</sub><br>[[2022년]] [[5월 2일]] <sub>('''{{글씨 색|#000|새정치당}}''')</sub> |- ! style="color:#000;" | 통합한 정당 | '''[[바른정당 (리좀)|{{글씨 색|#00B1EB|바른정당}}]]''' {{small|(2018년 흡수 합당)}} |- ! style="color:#000;" | 대통령 | [[안철수 (리좀)|안철수]] <sub>/ 제11대 (2017.5.14.~현재)</sub> |- ! style="color:#000;" | 비상대책위원장 | [[정병국 (리좀)|정병국]] <sub>/ 7선 ([[제30회 국민원 의원 총선거 (리좀)|29]]~[[제36회 국민원 의원 총선거 (리좀)|36]]대)</sub> |- ! style="color:#000;" | 사무총장 | [[김진표 (리좀)|김진표]] <sub>/ 8선 ([[제29회 국민원 의원 총선거 (리좀)|29]]~[[제36회 국민원 의원 총선거 (리좀)|36]]대)</sub> |- ! style="color:#000;" | 참사원 원내대표 | [[이태규 (리좀)|이태규]] <sub>/ 재선 ([[제25회 참사원 의원 통상선거 (리좀)|25]]~[[제27회 참사원 의원 통상선거 (리좀)|27]]대)</sub> |- ! style="color:#000;" | 국민원 원내대표 | [[김성식 (리좀)|김성식]] <sub>/ 7선 ([[제28회 국민원 의원 총선거 (리좀)|28]]·[[제30회 국민원 의원 총선거 (리좀)|30]]~[[제32회 국민원 의원 총선거 (리좀)|32]]·[[제34회 국민원 의원 총선거 (리좀)|34]]~[[제36회 국민원 의원 총선거 (리좀)|36]]대)</sub> |- ! style="color:#000;" | 이념 | [[자유주의]]<ref>[[민주당 (리좀)|민주당]]이 고전적 자유주의에 가깝다면, 새정치당은 사회적으로 보다 진보적인 정책을 추구하는 [[현대자유주의]] 성향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ref><br>[[급진적 중도주의]]<br>[[사회자유주의]]<br>[[보수자유주의]]<br>[[경제적 자유주의]] |- ! style="color:#000;" | 스펙트럼 | [[중도]] ~ [[중도우파]] |- ! style="color:#000;" | 참사원 의석 |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aaa; color:#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CD800 24.4%, transparent 24.4%);" | '''85석<ref>지역구 44석, 비례대표 41석</ref> / 348석 (24.4%)''' |- ! style="color:#000;" | 국민원 의석 |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aaa; color:#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CD800 24.78%, transparent 24.78%);" | '''143석 / 577석 (24.8%)''' |- ! style="color:#000;" | 광역자치단체장 |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aaa; color:#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CD800 29.6%, transparent 29.6%);" | '''8석<ref>[[문병호 (리좀)|인천]], [[허태정 (리좀)|대전]], [[오제세 (리좀)|충북]], [[양승조 (리좀)|충남]], [[원희룡 (리좀)|제주]], [[이춘열 (리좀)|황북]], [[강봉수 (리좀)|황남]], [[이현세 (리좀)|연변]]</ref> / 27석 (29.6%)''' |- ! style="color:#000;" | 기초자치단체장 |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aaa; color:#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CD800 0%, transparent 0%);" | '''n석 / n석 (n.n%)''' |- ! style="color:#000;" | 광역자치의회 |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aaa; color:#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CD800 28.3%, transparent 4.9%);" | '''649석 / 2298석 (28.3%)''' |- ! rowspan="2" style="color:#000;" | 당색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FCD800; color: #000; font-size: 10.5pt;">노란색 {{글씨 크기|9|(#FCD800)}}</span> |-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color: #fff; font-size: 10.5pt;">검은색 {{글씨 크기|9|(#000000)}}</span> |- ! style="color:#000;" | 정책연구소 | <html><a href="/w/index.php/공화당 (리좀)"class="image"><img alt="국민미래연구원 로고 (리좀).svg" src="https://evewiki.kr/w/images/8/8b/%EA%B5%AD%EB%AF%BC%EB%AF%B8%EB%9E%98%EC%97%B0%EA%B5%AC%EC%9B%90_%EB%A1%9C%EA%B3%A0_%28%EB%A6%AC%EC%A2%80%29.svg" width="110px"></a></html> |- ! style="color:#000;" | 정당후원회 | 중앙당새정치성원회 |- ! style="color:#000;" | 당원 | {{보합}} n명<br>{{small|(2023년 1월 추산)}} |- ! style="color:#000;" | 국제 조직 | {{무소속 (리좀)}} |- ! style="color:#000;" | 선거연합 | <span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 #38aae6); color: #FFF; font-size: 10pt;">'''새정치당·민주당 선거대책연석회의'''</span> |- ! style="color:#000;" | 참사원 교섭단체 | {{참사새정치민주의원회 (리좀)}} |- ! style="color:#000;" | 국민원 교섭단체 | {{새정치민주연합 (리좀)}} |- ! style="color:#000;" | 청년조직 | <html><a href="/w/index.php/새정치당 (리좀)"class="image"><img alt="청년백신 로고 (리좀).svg" src="https://evewiki.kr/w/images/f/f5/%EC%B2%AD%EB%85%84%EB%B0%B1%EC%8B%A0_%EB%A1%9C%EA%B3%A0_%28%EB%A6%AC%EC%A2%80%29.svg" width="100px"></a></html> |- ! style="color:#000;" | 당가 | [https://www.youtube.com/watch?v=Bk8zBJ-CVjc {{글씨 색|#F60F03|'''신'''}}{{글씨 색|#FCD800|'''호'''}}{{글씨 색|#00AE24|'''등'''}}] |- ! style="color:#000;" | 공식 사이트 | <html><a href="/w/index.php/공화당 (리좀)"class="image"><img alt="새정치당 심볼 (리좀).svg" src="https://evewiki.kr/w/images/d/d7/%EC%83%88%EC%A0%95%EC%B9%98%EB%8B%B9_%EC%8B%AC%EB%B3%BC_%28%EB%A6%AC%EC%A2%80%29.svg" width="50px"></a></html> |- ! style="color:#000;" | 공식 유튜브 채널 |<html><a href="/w/index.php/새정치당 (리좀)" class="image"><img alt="유튜브 아이콘.svg" src="https://evewiki.kr/w/images/d/d2/%EC%9C%A0%ED%8A%9C%EB%B8%8C_%EC%95%84%EC%9D%B4%EC%BD%98.svg" width="25px"></a></html> |- ! style="color:#000;" | SNS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22px]]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22px]]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22px]] |- |} {{목차}} == 개요 == [[대한공화국 (리좀)|대한공화국]]의 중도 성향의 정당이다. [[민주당 (리좀)|민주당]]과 연합하고 있으며, 상하원에서 모두 [[새정치민주연합 (리좀)|새정치민주연합]]이라는 이름으로 원내교섭단체를 공동으로 구성하고 있다. 2017년 이후부터 행정여당의 지위에 있으며, 2017년부터 2023년까지 입법여당이기도 했으나 현재는 좌우동거정부가 들어선 상태다. [[한인사회당 (리좀)|한인사회당]]이 [[세월호 침몰 사고 (리좀)|세월호]] 정국에도 불구하고 2014년 지방선거에서 참패하자, 문재인 지도부의 리더십에 의문을 품은 일부 사회당 내 비문계 중도보수 인사들이 2015년 연말~2016년 연초 사회당을 탈당해 창당한 정당이다. [[안철수 (리좀)|안철수]], [[주승용 (리좀)|주승용]], [[천정배 (리좀)|천정배]] 의원 등이 핵심이 되었으며, 2016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정국에서 사회당과 공화당, 재건공화당을 제치고 [[안철수 (리좀)|안철수]]를 대통령으로 배출하며 탄핵 후의 정국을 주도했다. 2018년, 공화당의 탈당파 인사들이 세운 [[바른정당 (리좀)|바른정당]]과 합당하면서 대한공화국의 명실상부한 최대 정당이 되었다. 2020년 코로나 정국에서 유능하게 대처하며 지지율을 높게 유지했으나, 2021년 이후 [[윤석열 (리좀)|윤석열]], [[이재명 (리좀)|이재명]] 등의 새로운 인사들이 새정치당을 맹렬히 공격하며 지지율을 높이면서 지지율이 깎여나갔다. 거기다 당의 애매모호한 성향으로 인해 지지율은 더욱 떨어졌고 2022년 대선에서 [[윤석열 (리좀)|윤석열]]을 가까스로 물리치는데 그친다. 결국, 2022년 총선에서 단독 과반 의석을 상실하고, [[이태원 압사사고 (리좀)|이태원 사고]]에서의 부적절한 대응으로 내각불신임까지 맞으며 위기에 처했으며, 2023년의 조기총선에서 [[평등사회연합 (리좀)|평등사회연합]]에 과반 의석을 내어주며 좌우동거 정부가 수립되는 것을 무력하게 바라볼 수 밖에 없었다. 뒤이은 [[제27회 참사원 의원 통상선거 (리좀)|제27회 참원선]]에서도 완패하며, 하향세를 걸었다. 그러나 비대위원장으로 취임한 [[정병국 (리좀)|정병국]]이 상대적으로 우경화를 시도하면서, 공화당의 선거 대참패 이후 갈길을 잃은 중도~중도보수 유권자들과, 사회당과 대동사회의 연정을 탐탁치 않게 여기는 중도진보 유권자들을 흡수하여 2023년 12월 기준으로 다시 지지세를 회복하고 있으므로 섣불리 당이 해체되거나 몰락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 강령과 정책 == == 상징물 == === 로고 === === 당가 === == 역사 == === 국민의당의 창당 === ===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정국 === === [[제15회 대통령 선거 (리좀)|15회 대선]]에서의 승리, 전성기 === === [[바른정당 (리좀)|바른정당]]과의 합당, 당명 개정 === === [[제16회 대통령 선거 (리좀)|16회 대선]]에서의 승리와 위기 === === [[제36회 국민원 의원 총선거 (리좀)|36회 총선]]과 침체기 === 2022년은 새정치당 최대의 암흑기로, [[이태원 압사 사고 (리좀)|이태원 압사 사고]]와 무역 적자 사태에 정부가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하면서 지지율이 지속적으로 추락하였다. 결국 [[김한길 (리좀)|김한길]] 총리가 국민원에서 불신임을 당했고 역사상 최초로 내각 불신임을 통해 성립된 조기총선거인 [[제36회 국민원 의원 총선거 (리좀)|36회 총선]]에서 새정치당과 민주당의 연합이 대패하며 위기를 겪었다. 거기다 2023년 9월 치러진 [[제27회 참사원 의원 통상선거 (리좀)|27회 참선]]에서는 여당이라고는 생각할 수 없는 참담한 패배를 당했다. 결국 임기를 얼마 남겨두지 않은 [[김성식 (리좀)|김성식]] 대표가 사임하고 정병국 비대위 체제가 들어섰다. === [[정병국 (리좀)|정병국]] 비대위 체제 === 정병국은 안철수와 거리감이 있는 중도보수 인사로, [[평등사회연합 (리좀)|평등사회연합]]이 이끄는 [[이재명 내각 (리좀)|이재명 내각]]에 대항해 상대적으로 우클릭을 시도하며 무너졌던 새정치당의 지지율을 차차 회복시켜나갔다. 또한 이재명 내각의 성립에 반발한 [[한인사회당 (리좀)|한인사회당]]의 중도 성향 유권자를 끌여들인데다, [[윤석열 (리좀)|윤석열]]의 막말과 각종 기행 논란으로 [[국민의힘 (리좀)|국민의힘]]에 실망한 유권자까지 끌여들여 한때 10%대까지 떨어졌던 지지율이 2024년 1월 30%대까지 회복되었다. 그러나 이는 이재명 총리에 대한 반발 심리가 뭉친 것에 가까우며, 현실적으로 "안철수 그 이후"도 생각해야하기 때문에, 회복된 지지율을 굳히기 위해서는 2024년 2월로 예정된 대표 선거에서 선출될 신임 대표의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평가이다. === [[제17회 대통령 선거 (리좀)|제17회 대통령 선거]] === 안철수 대통령의 지지율이 낮다고는 하나, 좌우동거정부가 수립된 2023년 이후 내치에 관련된 모든 업무가 좌익으로 넘어갔으므로 새정치당 입장에서는 책임을 덜게 되어 역설적으로 보다 수월하게 대선을 치룰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눈에 띄는 대권주자가 없다는 점이 약점이다. == 계파 == == 지지 기반 == == 다른 정당과의 관계 == == 역대 대표 선거 == === [[초대 새정치당 대표 선거]] === 2016년 2월 치러진 역사적 첫 대표 선거로, 유력 대권 주자인 [[안철수 (리좀)|안철수]]의 지원을 얻은 [[박주선 (리좀)|박주선]] 의원이 67.03%의 득표를 얻어 19.33%를 얻은 [[송호창 (리좀)|송호창]] 의원을 꺾고 대표로 선출되었다. === [[제2대 새정치당 대표 선거]] === 2020년 2월 치러진 대표 선거로, [[김성식 (리좀)|김성식]] 의원이 결선투표에서 55.46%를 얻어 44.54%를 얻은 [[오신환 (리좀)|오신환]] 의원을 꺾고 대표로 선출되었다. === [[제3대 새정치당 대표 선거]] === 2024년 2월 치러질 대표 선거로, [[남경필 (리좀)|남경필]] 전 경기도지사, [[권은희 (리좀)|권은희]] 전 내무부장관, [[정운천 (리좀)|정운천]] 전 농무부장관, [[유승민 (리좀)|유승민]] 전 총리, [[유의동 (리좀)|유의동]] 의원, [[김종민 (리좀)|김종민]] 의원, [[이원욱 (리좀)|이원욱]] 의원 등이 출마한다. == 역대 지도부 == == 출신 대통령 == == 출신 총리 == == 산하 기관 == == 역대 선거 == == 둘러보기 == {{대한공화국의 정당 (리좀)}}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Color (원본 보기) 틀:Small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대한공화국의 원내 정당 (리좀) (원본 보기) 틀:대한공화국의 정당 (리좀) (원본 보기) 틀:리좀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무소속 (리좀) (원본 보기) 틀:보합 (원본 보기) 틀:새정치민주연합 (리좀) (원본 보기) 틀:여백 (원본 보기) 틀:참사새정치민주의원회 (리좀) (원본 보기) 새정치당 (리좀)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