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인헌태왕 (빌레펠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3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color:#000; border:2px solid #29176e ; max-width:420px; float:right;"
{{빌레펠트}}
{{역대 대한국 대원군 및 태왕}}
{{역대 운현궁주 (빌레펠트)}}
{| class="wikitable" style="color:#000; border:2px solid #6d1b43 ; max-width:420px; float:right;"
|-
|-
! colspan="2" style="width:42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a0c4f, #29176e 20%, #29176e 80%, #1a0c4f); color:#FFD400;" | 대한국 장조의 증손 | 대한국 고종의 생부<br>{{large|흥선헌의대원왕 <nowiki>|</nowiki> 興宣獻懿大院王}}
! colspan="2" style="width:42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42140, #4A2d5b 20%, #4A2d5b 80%, #342140); color:#e3ba62;" | '''[[운현궁 (빌레펠트)|{{글씨 색|#e3ba62|운현궁 초대 궁주}}]]'''
|-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000;" | <div style="margin: -6px -9px;">[[파일:국태공전하.png|420px]]</div>
! colspan="2" style="width:42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a122d, #6d1b43 20%, #6d1b43 80%, #4a122d); color:#e3ba62;" | '''대한국 황부섭정왕'''<br>{{large|한인헌태왕 <nowiki>|</nowiki> 韓仁獻太王}}
|-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출생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000;" | <div style="margin: -6px -9px;">[[파일:국태공전하.webp|420px]]</div>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출생
| 1821년 1월 24일
| 1821년 1월 24일
|-
|-
| 조선 한성부 북부 안국방 안동궁<br>(現 [[한성부 (빌레펠트)|한성부]] 종로구 안국동·운니동 일대)
| 조선 한성부 북부 안국방 안동궁<br>(現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경 한성부]] 종로구 안국동·운니동 일대)
|-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사망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사망
| 1898년 2월 22일 (향년 77세)
| 1898년 2월 22일 (향년 77세)
|-
|-
|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 [[한성부 (빌레펠트)|한성부]] 서서 용산방 공덕리계 염동 아소당<br>(現 [[한성부 (빌레펠트)|한성부]] 마포구 염리동 139-55 일대)
|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성부]] 서서 용산방 공덕리계 염동 아소당<br>(現 [[한경 한성부 (빌레펠트)|한경 한성부]] 마포구 염리동 139-55 일대)
|-
|-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능묘
! rowspan="2"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능묘
|-
|-
| 흥원(興園)
| 흥원(興園)
|-
|-
! rowspan="4"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재위기간
! rowspan="4"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재위기간
| style="background:#f5f5f5;color:#111" | 조선 대원군 | 조선 국왕 섭정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조선 대원군 | 조선 국왕 섭정'''
|-
|-
| 1864년 1월 21일 ~ 1889년 2월 11일
| 1864년 1월 21일 ~ 1894년 2월 6일<br><small>(음력 경진년 기축월 계묘일 ~ 광무 원년 2월 6일)</small>
|-
|-
| style="background:#f5f5f5;color:#111" |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 대원왕 | 대한국 황제 섭정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대한국 (빌레펠트)|{{색|#e3ba62|대한국}}]] 태왕 | 대한국 황제 섭정'''
|-
|-
| 1889년 2월 11일 ~ 1898년 2월 22일
| 1894년 2월 6일 ~ 1898년 2월 22일<br><small>(광무 원년 2월 6일 ~ 광무 5년 2월 22일)</small>
|-
|-
| colspan="2" |
| colspan="2" |
34번째 줄: 39번째 줄:
{| style="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style="margin-left: -2px; margin-right: -15px; margin-bottom: -13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0pt; text-align: left"
|-
|-
! width=25%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본관
!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본관
| 전주 이씨
| 전주 이씨
|-
|-
! width=25%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휘
!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휘
| 하응(昰應)
| 하응(昰應)
|-
|-
! width=25%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부모
!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부모
| 부친 남연군<br>모친 여흥군부인 민씨
| '''부친''' 신충정왕<br>'''모친''' 효성친왕비
|-
|-
! width=25%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형제자매
! width=25%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형제자매
| 4남 1녀 중 4남
| 4남 1녀 중 4남
|-
|-
!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배우자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태왕비
| 여흥순목대원비
| 순목태왕비
|-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자녀
| <div class="mw-customtoggle-gkqgkwkttlr"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padding:6px -1px 11px; padding-left:7px; width:100%; text-align:left; background-color::none; color:none;"><div style="margin: -3px 0px">'''3남 3녀 [ 펼치기 · 접기 ]'''</div></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gkqgkwkttlr" style="background:none; border: 1px solid transparent;width:100%; text-align:center; font-size: 10p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none; margin: 0px -15px 0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text-align:center; ">
{| style="margin-left:-2px; margin-right:-15px;margin-bottom:-12px; width: calc(100% + 5px); text-align:left;margin-top:-2px "
|-
| '''서장남''' [[고리순현왕 (빌레펠트)|고리순현왕]]<br>'''적장남''' [[한효덕왕 (빌레펠트)|한효덕왕]]<br><del>'''적차남''' [[고종 태황제 (빌레펠트)|고종 태황제]]</del><ref>고종이 왕위를 계승하기 위해 효명세자의 양자로 출계하며 한인헌태왕의 족보에서 이탈하기에 법적으로는 한인헌태왕의 자식이 아니다.</ref><br>'''장녀''' [[흥경옹주 (빌레펠트)|흥경옹주]]<br>'''차녀''' [[흥은옹주 (빌레펠트)|흥은옹주]]<br>'''삼녀''' [[흥순옹주 (빌레펠트)|흥순옹주]]
|-
|-
!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자녀
|}
| 3남 3녀
|-
|-
!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종교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종교
| 불교
| 불교
|-
|-
!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신체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자
| 150cm
|-
!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자
| 시백(時伯)
| 시백(時伯)
|-
|-
!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호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호
| 석파(石坡), 노석(老石), 해동거사(海東居士)
| 석파(石坡), 노석(老石), 해동거사(海東居士)
|-
|-
!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별칭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별칭
| 대로(大老)
| 대로(大老), 국부(國父)
|-
! rowspan="2"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작호
| 조선: 흥선부정(興宣副正)<br>→ 흥선정(興宣正)<br>→ 흥선도정(興宣都正)<br>→ 흥선군(興宣君)<br>→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
|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 한태왕(韓太王) <small>(1889 ~ 1898)</small><br>황부섭정왕(皇父攝政王) <small>(1889 ~ 1898)</small>
|-
|-
!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작호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존호
|
| 봉천반국성역위명유헌현덕숙요희순<br>(奉天磐國成易威明裕憲玄德肅堯熙舜)
조선: 흥선부정(興宣副正)<br>→ 흥선정(興宣正)<br>→ 흥선도정(興宣都正)<br>→ 흥선군(興宣君)<br>→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 흥선대원왕(興宣大院王)
|-
|-
! style="background:#29176e ; color:#FFD400;" | 시호
! style="background:#6d1b43 ; color:#e3ba62;" | 시호
| 헌의대원왕(獻懿大院王)
| 의열성익'''인헌태왕'''<br>(義烈聖翼'''仁獻太王''')<ref>정식 시호는 '한봉천반국성역위명유헌현덕숙요희순의열성익인헌태왕(韓奉天磐國成易威明裕憲玄德肅堯熙舜義烈聖翼仁獻太王)'이 된다.</ref>
|-
|-
|}
|}
81번째 줄: 93번째 줄:


== 개요 ==
== 개요 ==
{{인용문1|⋯<전략>⋯ 조정에서는 어떤 변이라도 있을까 하여 대원군에게 간언하기를, "선현의 제사를 받드는 것은 선비의 기풍을 기르는 것이므로 이 명령만은 거두기를 청합니다"라고 하니 대원군이 크게 노하여 말하기를 "'''진실로 백성에게 해 되는 것이 있으면 비록 공자가 다시 살아난다 하더라도 나는 용서하지 않겠다.''' 하물며 서원은 우리나라 선현을 제사하는 곳인데 지금에는 도둑의 소굴로 됨에 있어서랴." 했다. ⋯<후략>⋯}}
대한국 장조의 양증손이자, 정조의 이복동생 신소민왕의 양손자로서 신충정왕의 막내아들이며<ref>칭제건원 이후 장조로 추존된 사도세자의 서자들이자 정조의 이복형제들인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은 모두 고종 재위기에 새로 정립된 황제국으로서의 예법에 따라 친왕으로 추봉되어 언충정왕, 신소민왕, 전효민왕의 시호를 받았다.</ref>, [[고종 태황제 (빌레펠트)|고종]]의 친아버지. 조선시대에 4명 있었던 대원군 중 마지막 대원군이며<ref>유일하게 생전에 대원군이었다.</ref>, [[대한국 (빌레펠트)|대한국]] 선포 이후 봉작된 유일한 태왕이다.<ref>철종의 친아버지인 전계대원군 또한 칭제건원 이후 아들 철종이 황제로 추존되며 본인도 작위가 격상되어 진태왕(震太王)이 되었기 때문에 엄밀하게 유일한 태왕은 아니다.</ref> 섭정으로 오랜기간 실권을 가졌고, 조선의 마지막 왕이자 대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 태황제/평가 (빌레펠트)|고종]]의 친아버지로서 개화기의 핵심 인물이다. 그런만큼 강렬한 존재감을 가져 대원군이나 태왕이라고 하면 흔히 한인헌태왕을 고유명사처럼 지칭해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현대 한국에선 사실상 국부취급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과 온갖 폐단으로 엉망이 된 조선을 개혁하고, 성공적인 근대화를 통해 한국을 근대 국가로 끌어올린게 바로 섭정으로서 실권을 쥐고 있던 한태왕이었기 때문. 그만큼 개화기 역사를 배울 때 한태왕은 빼놓을 수 없는 존재이고, 현대 한국에서 무한한 존경을 받는 인물 중 하나다.<ref>한인헌태왕의 평가에는 아들인 고종 황제가 실권을 잡은 이후와 극명하게 비교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자세한 내용은 [[고종 태황제/평가 (빌레펠트)]] 문서 참고</ref>
----
{{빌레펠트 하단}}

2024년 10월 1일 (화) 17:11 기준 최신판

공지
| 빌레펠트연재부
빌레펠트는 현재 노후문서재정비촉진사업을 진행중입니다. 현재 설정과 맞지 않는 문서가 있을 수 있습니다.


틀:역대 대한국 대원군 및 태왕


운현궁의 역대 궁주
[ 펼치기 · 접기 ]

운현궁 초대 궁주
대한국 황부섭정왕
한인헌태왕 | 韓仁獻太王
출생 1821년 1월 24일
조선 한성부 북부 안국방 안동궁
(現 한경 한성부 종로구 안국동·운니동 일대)
사망 1898년 2월 22일 (향년 77세)
대한국 한성부 서서 용산방 공덕리계 염동 아소당
(現 한경 한성부 마포구 염리동 139-55 일대)
능묘
흥원(興園)
재위기간 조선 대원군 | 조선 국왕 섭정
1864년 1월 21일 ~ 1894년 2월 6일
(음력 경진년 기축월 계묘일 ~ 광무 원년 2월 6일)
대한국 태왕 | 대한국 황제 섭정
1894년 2월 6일 ~ 1898년 2월 22일
(광무 원년 2월 6일 ~ 광무 5년 2월 22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하응(昰應)
부모 부친 신충정왕
모친 효성친왕비
형제자매 4남 1녀 중 4남
태왕비 순목태왕비
자녀
3남 3녀 [ 펼치기 · 접기 ]
종교 불교
시백(時伯)
석파(石坡), 노석(老石), 해동거사(海東居士)
별칭 대로(大老), 국부(國父)
작호 조선: 흥선부정(興宣副正)
→ 흥선정(興宣正)
→ 흥선도정(興宣都正)
→ 흥선군(興宣君)
→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대한국: 한태왕(韓太王) (1889 ~ 1898)
황부섭정왕(皇父攝政王) (1889 ~ 1898)
존호 봉천반국성역위명유헌현덕숙요희순
(奉天磐國成易威明裕憲玄德肅堯熙舜)
시호 의열성익인헌태왕
(義烈聖翼仁獻太王)[2]

개요

⋯<전략>⋯ 조정에서는 어떤 변이라도 있을까 하여 대원군에게 간언하기를, "선현의 제사를 받드는 것은 선비의 기풍을 기르는 것이므로 이 명령만은 거두기를 청합니다"라고 하니 대원군이 크게 노하여 말하기를 "진실로 백성에게 해 되는 것이 있으면 비록 공자가 다시 살아난다 하더라도 나는 용서하지 않겠다. 하물며 서원은 우리나라 선현을 제사하는 곳인데 지금에는 도둑의 소굴로 됨에 있어서랴." 했다. ⋯<후략>⋯

대한국 장조의 양증손이자, 정조의 이복동생 신소민왕의 양손자로서 신충정왕의 막내아들이며[3], 고종의 친아버지. 조선시대에 4명 있었던 대원군 중 마지막 대원군이며[4], 대한국 선포 이후 봉작된 유일한 태왕이다.[5] 섭정으로 오랜기간 실권을 가졌고, 조선의 마지막 왕이자 대한국의 초대 황제인 고종의 친아버지로서 개화기의 핵심 인물이다. 그런만큼 강렬한 존재감을 가져 대원군이나 태왕이라고 하면 흔히 한인헌태왕을 고유명사처럼 지칭해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현대 한국에선 사실상 국부취급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조선 후기 삼정의 문란과 온갖 폐단으로 엉망이 된 조선을 개혁하고, 성공적인 근대화를 통해 한국을 근대 국가로 끌어올린게 바로 섭정으로서 실권을 쥐고 있던 한태왕이었기 때문. 그만큼 개화기 역사를 배울 때 한태왕은 빼놓을 수 없는 존재이고, 현대 한국에서 무한한 존경을 받는 인물 중 하나다.[6]


  1. 고종이 왕위를 계승하기 위해 효명세자의 양자로 출계하며 한인헌태왕의 족보에서 이탈하기에 법적으로는 한인헌태왕의 자식이 아니다.
  2. 정식 시호는 '한봉천반국성역위명유헌현덕숙요희순의열성익인헌태왕(韓奉天磐國成易威明裕憲玄德肅堯熙舜義烈聖翼仁獻太王)'이 된다.
  3. 칭제건원 이후 장조로 추존된 사도세자의 서자들이자 정조의 이복형제들인 은언군, 은신군, 은전군은 모두 고종 재위기에 새로 정립된 황제국으로서의 예법에 따라 친왕으로 추봉되어 언충정왕, 신소민왕, 전효민왕의 시호를 받았다.
  4. 유일하게 생전에 대원군이었다.
  5. 철종의 친아버지인 전계대원군 또한 칭제건원 이후 아들 철종이 황제로 추존되며 본인도 작위가 격상되어 진태왕(震太王)이 되었기 때문에 엄밀하게 유일한 태왕은 아니다.
  6. 한인헌태왕의 평가에는 아들인 고종 황제가 실권을 잡은 이후와 극명하게 비교되기 때문이기도 하다. 자세한 내용은 고종 태황제/평가 (빌레펠트) 문서 참고



ⓒ 2024. ERIA Co. All rights reserved.
ERIA 빌레펠트연재팀 정보
대표연재자 에러
이메일 errortalmo@gmail.com
디스코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