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릴로 크리첸코-모힐라 (개화):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6번째 줄: 6번째 줄:
| 상배경 색 = linear-gradient(to right, #3C0006 0%, #580009 20%, #580009 80%, #3C0006)
| 상배경 색 = linear-gradient(to right, #3C0006 0%, #580009 20%, #580009 80%, #3C0006)
| 배경 색 = #580009
| 배경 색 = #580009
| 글씨 색 = #FFD500
| 글씨 색 = #FFD700
| 글씨 크기 = 10.5
| 글씨 크기 = 10.5
| 범례 너비 = 25%
| 범례 너비 = 25%
19번째 줄: 19번째 줄:
| 사진 = 크리첸코-모힐라 프로필.png
| 사진 = 크리첸코-모힐라 프로필.png
| 출생일 = [[1889년]] [[6월 15일]]
| 출생일 = [[1889년]] [[6월 15일]]
| 출생지 = {{국기그림|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프리코르스키 지방 체르니히우카
| 출생지 = {{국기그림|러시아 제국}} 러시아 제국 프리모르스키 지방 체르니히우카
| 사망일 = [[1941년]] [[월 일]] (향년 52세)
| 사망일 = [[1941년]] [[월 일]] (향년 52세)
| 사망지 =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녹우크라이나]] 하바리우스크 직할시 하바리우스크 시립병원
| 사망지 = {{국기그림|녹우크라이나}}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녹우크라이나]] [[하바리우스크 직할시 (개화)|하바리우스크 직할시]] 하바리우스크 시립병원
| 묘소 =  
| 묘소 =  
| 거주지 =  
| 거주지 =  
46번째 줄: 46번째 줄:
| 혈통 =  
| 혈통 =  
| 소속 정당 =  
| 소속 정당 =  
| 의원 선수 = 5
| 의원 선수 = 4
| 의원 대수 = '''[[제1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1]]''', '''[[제2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2]]''', '''[[제3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3]]''', '''[[제4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4]]''', '''[[제5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5]]'''
| 의원 대수 = '''[[제1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1]]''', '''[[제2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2]]''', '''[[제3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3]]''', '''[[제5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5]]'''
| 지역구 = [[이만 (개화)|이만]] 지역
| 지역구 = [[하바리우스크 (개화)|하바리우스크]] 지역
| 소속 위원회 = 문화부흥위원회
| 소속 위원회 = 문화부흥위원회<br>→정무위원회
| 성향 =  
| 성향 =  
| 소속 팀 =  
| 소속 팀 =  
61번째 줄: 61번째 줄:
| 재산 =  
| 재산 =  
| 별명 =  
| 별명 =  
| 약력 = 블라디보스토크 극장 배우<br>하바롭스크 우크라이나인 공동체 창립자<br>[[하바리우스크 (개화)|하바롭스크]] 시의원<br>하바롭스크 노동자 대표회의 집행위원<br>하바리우스크 직할시장<br>제7대 [[녹우크라이나 총리 (개화)|녹우크라이나 총리]]
| 약력 = 블라디보스토크 극장 배우<br>하바롭스크 우크라이나인 공동체 창립자<br>[[하바리우스크 (개화)|하바롭스크]] 시의원<br>하바롭스크 노동자 대표회의 집행위원<br>제1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small>(하바리우스크)</small> <br>제2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small>(하바리우스크)</small> <br>제3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small>(하바리우스크)</small> <br>제3대 하바리우스크 직할시장<br>제5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small>(하바리우스크)</small> <br>극동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 대표<br>제7대 [[녹우크라이나 총리 (개화)|녹우크라이나 총리]]
| 서훈 =  
| 서훈 =  
| 헌액 =  
| 헌액 =  
68번째 줄: 68번째 줄:
{{-}}
{{-}}
==개요==
==개요==
{{인용문|'''진정한 사회주의는 폭압적으로 파괴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건설합니다. 저의 정당 역시 그러합니다. 이것이 바로 볼셰비키와 제 당의 차이점입니다.'''|하우릴로 크리첸코-모힐라, [[극동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 (개화)|극동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 대표 재직 당시, 사혁당을 빨갱이라고 비판하는 [[녹유크라이나 진보당(1917) (개화)|진보당]] 소속 최고의회의원에게}}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의 예술인이자 정치인.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좌익의 거두로, 수 년 간 사회혁명당을 이끌면서 [[안드루셴코 정부 (개화)|안드루셴코 정부]]에서 녹우크라이나의 제7대 [[녹우크라이나 총리 (개화)|총리]]를 역임했다.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의 예술인이자 정치인.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좌익의 거두로, 수 년 간 사회혁명당을 이끌면서 [[안드루셴코 정부 (개화)|안드루셴코 정부]]에서 녹우크라이나의 제7대 [[녹우크라이나 총리 (개화)|총리]]를 역임했다.


==생애==
==생애==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font-size:10pt; border: 2px solid #580009; float: right;"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font-size:10pt; border: 2px solid #580009; float: right; width: 140px; ;"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580009; border:1px solid #580009; text-align: center;"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하우릴로 크리첸코-모힐라.png|350px]]</div>
| colspan="1" style="background-color:#580009; border:1px solid #580009; text-align: center;" | <div style="margin: -4.5px -9px">[[파일:하우릴로 크리첸코-모힐라.png]]</div>
|-
|-
| colspan="1" style="color:#FFD500; background-color:#580009; text-align: center; width: 280px; font-size: 10pt;" | '''배우 시절의 크리첸코-모힐라'''
| colspan="1" style="color:#FFD700; background-color:#580009; text-align: center; font-size: 10pt;" | '''배우 시절의 모힐라'''
|-
|-
|}
|}
모힐라는 1889년 러시아 제국령 극동의 프리모르스키 지방에서 우크라이나계 개척민 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 초등교육만 겨우 수료한 그는 10대 중반에 극동 지역 최대 도시인 [[볼로디스히드 (개화)|블라디보스토크]]로 가 그곳의 한 극장에서 배우로 일했다. 1910년 그는 [[극동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 (개화)|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에 입당하고 우크라이나인 공동체 창립에 관여하였다. 이 시기 그는 우크라이나인 정착촌들을 돌아다니며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개화)|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운동]]을 하다가 당국에 체포돼 조사를 받기도 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그는 징집되어 러시아 혁명이 발생하기까지 약 3년간 동부전선에서 러시아군으로 복무했다.
모힐라는 1889년 러시아 제국령 극동의 프리모르스키 지방<ref>오늘날의 [[프리모르스카 주 (개화)|프리모르스카 주]], [[모바스카 주 (개화)|모바스카 주]], [[티흐리호르스카 (개화)|티흐리호르스카 주]] 주, [[우수리스카 주 (개화)|우수리스카 주]] 그리고 [[볼로디스히드 (개화)|볼로디스히드 직할시]]를 아우르던 지역명이다.</ref>에서 우크라이나계 개척민 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 초등교육만 겨우 수료한 그는 10대 중반에 극동 지역 최대 도시인 [[볼로디스히드 (개화)|블라디보스토크]]로 가 그곳의 한 극장에서 배우로 일했다. 1910년 그는 [[극동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 (개화)|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에 입당하고 우크라이나인 공동체 창립에 관여하였다. 이 시기 그는 우크라이나인 정착촌들을 돌아다니며 [[우크라이나 내셔널리즘 (개화)|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운동]]을 하다가 당국에 체포돼 조사를 받기도 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그는 징집되어 러시아 혁명이 발생하기까지 약 3년간 동부전선에서 러시아군으로 복무했다.


러시아 제국이 붕괴하자 모힐라는 극동으로 돌아와 [[하바리우스크 (개화)|하바롭스크]]에 정착했다. 달변 덕에 대중적 인기를 얻은 그는 하바롭스크 시의회 선거에 출마해 시의원에 당선됐고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의 노동자 대표회의 집행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이후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이 건국되면서 [[제1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제헌의회의원 선거]]에서 하바롭스크 지역에 사혁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사혁당 및 [[녹우크라이나 인민전선 (개화)|인민전선]]의 중진이 된 모힐라는 정통 노선인 [[순정사회주의 (개화)|순정사회주의]]를 주창하며, 수정 노선인 사회민주주의와 [[노동주의 (개화)|노동주의]]주장하던 [[코스트 안드루셴코 (개화)|코스트 안드루셴코]]와 경쟁하였다.
러시아 제국이 붕괴하자 모힐라는 극동으로 돌아와 [[하바리우스크 (개화)|하바롭스크]]에 정착했다. 달변 덕에 대중적 인기를 얻은 그는 하바롭스크 시의회 선거에 출마해 시의원에 당선됐고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의 노동자 대표회의 집행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이후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개화)|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이 건국되면서 [[제1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제헌의회의원 선거]]에서 하바롭스크 지역에 사혁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후 사혁당 전당대회에 출마해 당대표로 선출되었다. 사혁당 및 [[녹우크라이나 인민전선 (개화)|인민전선]]의 중진이 된 모힐라는 중도 마르크스주의 노선인 [[순정사회주의 (개화)|순정사회주의]]를 주창하며, 수정 마르크스주의 노선인 [[노동주의 (개화)|노동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주장하던 [[코스트 안드루셴코 (개화)|코스트 안드루셴코]]와 경쟁하였다.


1929년 세계대공황이 터지자 집권 세력이었던 [[녹우크라이나 국민전선 (개화)|국민전선]]과 대통령 [[이반 모졸레우스키 (개화)|모졸레우스키]]의 지지율이 폭락했고, 모힐라는 인민전선의 우위가 명백했던 [[제4회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개화)|1930년 대선]]에 사혁당 후보로 출마했다. 선거 결과 그는 결선 진출에 실패했고, 경쟁자인 안드루셴코가 1위를 기록해 결선에 진출했다. 모힐라는 안드루셴코의 경쟁자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선거운동을 지원했고, 이 덕에 안드루셴코의 배려로 하바리우스크 직할시장과 [[녹우크라이나 총리 (개화)|총리]]를 역임했다.
1929년 세계대공황이 터지자 집권 세력이었던 [[녹우크라이나 국민전선 (개화)|국민전선]]과 대통령 [[이반 모졸레우스키 (개화)|모졸레우스키]]의 지지율이 폭락했고, 모힐라는 인민전선의 우위가 명백했던 [[제4회 녹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 (개화)|1930년 대선]]에 사혁당 후보로 출마했다. 선거 결과 그는 결선 진출에 실패했고, 경쟁자인 안드루셴코가 1위를 기록해 결선에 진출했다. 모힐라는 안드루셴코의 경쟁자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선거운동을 지원했고, 이 덕에 안드루셴코의 배려로 [[녹우크라이나 총리 (개화)|총리]]를 역임했다.


총리 퇴임 후에는 정계 1선에서 물러나 하바리우스크로 돌아갔다. 하지만 완전히 정계에서 은퇴한 것은 아니었어서 [[극동 우크라이나 사회당 (개화)|사회당]] 등 사회주의 정당들의 인사들과 교류하며 정계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제3차 극동전쟁 (개화)|제3차 극동전쟁]] 당시 소련군의 공습으로 인해 자택이 무너졌고, 파편을 맞은 모힐라는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끝내 사망했다.
총리 퇴임 후에는 정계 1선에서 물러나 하바리우스크로 돌아갔다. 하지만 완전히 정계에서 은퇴한 것은 아니었어서 [[극동 우크라이나 사회당 (개화)|사회당]] 등 사회주의 정당들의 인사들과 교류하며 정계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제3차 극동전쟁 (개화)|제3차 극동전쟁]] 당시 소련군의 공습으로 인해 자택이 무너졌고, 파편을 맞은 모힐라는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끝내 사망했다.


==사상 및 이념==
==사상 및 이념==
개요에 서술되어있듯이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시절의 좌익 세력을 대표하는 사회주의자였다. 그의 경쟁자 안드루셴코가 타협적 사회주의인 노동주의를 제창했던 것과는 달리, 모힐라는 정통 사회주의인 순정사회주의를 주장했다. 그는 당시의 우크라이나가 아직 성숙한 자본주의 체제를 수립하지 못하였으므로 자본주의 발전에 공을 들이되 적절한 때가 되어 사회의 생산력이 충분히 발전하면 완전한 사회주의 국가를 건국하기를 원했다. 다만 사회주의 체제로의 전환 과정이 민주적이고 평화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의회민주주의가 사회주의 체제에서도 유지될 수 있다고 여겼다.
{{인용문|'''[[순정사회주의 (개화)|사회주의의 끝은 순정이다.]]'''|하우릴로 크리첸코-모힐라}}
개요에 서술되어있듯이 [[코스트 안드루셴코 (개화)|코스트 안드루셴코]]와 함께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시절의 사회주의 세력을 대표하는 정치인이었다. 그의 경쟁자 안드루셴코가 타협적 사회주의인 [[노동주의 (개화)|노동주의]]를 제창했던 것과는 달리, 모힐라는 정통 사회주의인 [[순정사회주의 (개화)|순정사회주의]]를 주장했다. 그는 당시의 [[녹우크라이나 (개화)|녹우크라이나]]가 아직 성숙한 자본주의 체제를 수립하지 못하였으므로 자본주의 발전에 공을 들이되 적절한 때가 되어 사회의 생산력이 충분히 발전하면 완전한 사회주의 국가를 건국하기를 원했다. 다만 사회주의 체제로의 전환 과정이 민주적이고 평화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의회민주주의가 사회주의 체제에서도 유지될 수 있다고 여겼다.


외교적으로는 대소 온건파에 속했다. 소련과의 갈등 관리를 위해 소련과의 수교까지는 아니더라도 서로 상대국의 수도에 상주 대표단을 파견해 준공식적 외교관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여겼다. 또 반제국주의적인 입장에서 서구 열강들의 식민지배를 비판했다.
외교적으로는 대소 온건파에 속했다. 소련과의 갈등 관리를 위해 소련과의 수교까지는 아니더라도 서로 상대국의 수도에 상주 대표단을 파견해 준공식적 외교관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여겼다. 또 반제국주의적인 입장에서 서구 열강들의 식민지배를 비판했다. 한편 [[대한민국 (개화)|한국]]과 [[만주 (개화)|만주]]에는 우호적으었으며, 한만오 삼국동맹을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다.


==소속 정당==
==소속 정당==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580009;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580009;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text-align:center"
|-
|-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500;" | 소속 정당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700;" | 소속 정당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500;" | 기간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700;" | 기간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500;" | 비고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700;" | 비고
|-
|-
|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 (개화)}}
|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 (개화)}}
| 1917 - 19337
| 1917 - 1937
| 입당
| 입당
|-
|-
108번째 줄: 110번째 줄: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580009;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580009;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text-align:center"
|-
|-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500;" | 소속 정당연합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700;" | 소속 정당연합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500;" | 기간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700;" | 기간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500;" | 비고
!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700;" | 비고
|-
|-
|{{녹우크라이나 인민전선 (개화)}}
|{{녹우크라이나 인민전선 (개화)}}
| 1919 - 1941
| 1919 - 1937
| -
| -
|-
|-
119번째 줄: 121번째 줄:


==선거 이력==
==선거 이력==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max-width:650px; min-width:500px; border:2px solid #580009; color:#000; text-align:center; 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word-break:keep-all"
|-
! colspan="1" rowspan="1" style="min-width:60px; background:#580009; color:#FFD500;" | 선거
! colspan="1"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700; " | 정당
! colspan="1"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700; " | 연합
! colspan="1"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700; " | 선거구
! colspan="1"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700; width:30%" | 득표율
! rowspan="1" style="background:#580009; color:#FFD700;" | 비고
|-
! rowspan="2" style="" | [[제1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1918 총선]]
| rowspan="10" style="" | {{극동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 (개화)/행정구역}}
| rowspan="10" style="" | {{녹우크라이나 인민전선 (개화)/행정구역}}
| rowspan="6" style="" | 하바리우스크 지역
| rowspan="1"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E1616 25.2%, #ccc 25.2%);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 text-shadow: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1차: 25.2% {{small|(1위)}}<br><div style="margin: -1px 0px">
| rowspan="2" style="color:#111;  background:#B9FFDD"| <div style="margin: -7px 0px > 당선<br><div style="margin: -7px 0px ><small>(초선)
|-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E1616 54.3%, #ccc 54.3%);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text-shadow: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2차: 54.3% {{small|(1위)}}<br><div style="margin: -1px 0px">
|-
! rowspan="2" style="" | [[제2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1920 총선]]
| rowspan="1"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E1616 28.6%, #ccc 28.6%);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 text-shadow: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1차: 28.6% {{small|(1위)}}<br><div style="margin: -1px 0px">
| rowspan="2" style="color:#111;  background:#B9FFDD"| <div style="margin: -7px 0px > 당선<br><div style="margin: -7px 0px ><small>(재선)
|-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E1616 57.0%, #ccc 57.0%);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text-shadow: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2차: 57.0% {{small|(1위)}}<br><div style="margin: -1px 0px">
|-
! rowspan="2" style="" | [[제3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1924 총선]]
| rowspan="1"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E1616 34.9%, #ccc 34.9%);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 text-shadow: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1차: 34.9% {{small|(1위)}}<br><div style="margin: -1px 0px">
| rowspan="2" style="color:#111;  background:#B9FFDD"| <div style="margin: -7px 0px > 당선<br><div style="margin: -7px 0px ><small>(3선)
|-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E1616 61.4%, #ccc 61.4%);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text-shadow: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2차: 61.4% {{small|(1위)}}<br><div style="margin: -1px 0px">
|-
! rowspan="2" style="" | [[제3대 녹우크라이나 지방 선거 (개화)|1927 지선]]
| rowspan="2" style="" | <div style="margin: -7px 0px > 하바라우스크<br><div style="margin: -7px 0px ><small>(직할시장)
| rowspan="1"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E1616 25.2%, #ccc 25.2%);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 text-shadow: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1차: 25.2% {{small|(1위)}}<br><div style="margin: -1px 0px">
| rowspan="2" style="color:#111;  background:#B9FFDD"| <div style="margin: -7px 0px > 당선<br><div style="margin: -7px 0px ><small>(초선)
|-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E1616 54.3%, #ccc 54.3%);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text-shadow: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2차: 54.3% {{small|(1위)}}<br><div style="margin: -1px 0px">
|-
! rowspan="2" style="" | [[제5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선거 (개화)|1932 총선]]
| rowspan="2" style="" | 하바리우스크 지역
| rowspan="1"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E1616 31.5%, #ccc 31.5%);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 text-shadow: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1차: 31.5% {{small|(1위)}}<br><div style="margin: -1px 0px">
| rowspan="2" style="color:#111;  background:#B9FFDD"| <div style="margin: -7px 0px > 당선<br><div style="margin: -7px 0px ><small>(4선)
|-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9E1616 58.6%, #ccc 58.6%); color:#000;" | <div style="margin: -7px 0px; color:#fefefe;text-shadow: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px #000, 0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 -0.7px 0.7px #000;">2차: 58.6% {{small|(1위)}}<br><div style="margin: -1px 0px">
|-
|}
==둘러보기==
==둘러보기==
{{녹우크라이나의 진보 진영 관련 문서 (개화)}}
{{녹우크라이나의 진보 진영 관련 문서 (개화)}}

2024년 5월 17일 (금) 08:02 기준 최신판


녹우크라이나 총리
[ 펼치기 · 접기 ]
우크라이나 극동 공화국 제7대 총리
하우릴로 페트로비치 크리첸코-모힐라
Гаврило Петрович Криченко-Могила
출생 1889년 6월 15일
러시아 제국의 기 러시아 제국 프리모르스키 지방 체르니히우카
국적 러시아 제국의 기 러시아 제국
녹우크라이나의 기 녹우크라이나
사망 1941년 월 일 (향년 52세)
녹우크라이나의 기 녹우크라이나 하바리우스크 직할시 하바리우스크 시립병원
임기 제7대 녹우크라이나 총리
1932년 4월 15일 ~ 1934년 3월 31일
[ 펼치기 · 접기 ]
종교 녹우크라이나 정교회
의원 선수 4
의원 대수 1, 2, 3, 5
지역구 하바리우스크 지역
소속 위원회 문화부흥위원회
→정무위원회
약력 블라디보스토크 극장 배우
하바롭스크 우크라이나인 공동체 창립자
하바롭스크 시의원
하바롭스크 노동자 대표회의 집행위원
제1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하바리우스크)
제2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하바리우스크)
제3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하바리우스크)
제3대 하바리우스크 직할시장
제5대 녹우크라이나 최고의회의원 (하바리우스크)
극동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 대표
제7대 녹우크라이나 총리

개요

진정한 사회주의는 폭압적으로 파괴하지 않고 평화적으로 건설합니다. 저의 정당 역시 그러합니다. 이것이 바로 볼셰비키와 제 당의 차이점입니다.
하우릴로 크리첸코-모힐라, 극동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 대표 재직 당시, 사혁당을 빨갱이라고 비판하는 진보당 소속 최고의회의원에게

녹우크라이나의 예술인이자 정치인.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좌익의 거두로, 수 년 간 사회혁명당을 이끌면서 안드루셴코 정부에서 녹우크라이나의 제7대 총리를 역임했다.

생애

배우 시절의 모힐라

모힐라는 1889년 러시아 제국령 극동의 프리모르스키 지방[1]에서 우크라이나계 개척민 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 초등교육만 겨우 수료한 그는 10대 중반에 극동 지역 최대 도시인 블라디보스토크로 가 그곳의 한 극장에서 배우로 일했다. 1910년 그는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에 입당하고 우크라이나인 공동체 창립에 관여하였다. 이 시기 그는 우크라이나인 정착촌들을 돌아다니며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운동을 하다가 당국에 체포돼 조사를 받기도 했다. 1914년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그는 징집되어 러시아 혁명이 발생하기까지 약 3년간 동부전선에서 러시아군으로 복무했다.

러시아 제국이 붕괴하자 모힐라는 극동으로 돌아와 하바롭스크에 정착했다. 달변 덕에 대중적 인기를 얻은 그는 하바롭스크 시의회 선거에 출마해 시의원에 당선됐고 우크라이나 사회혁명당의 노동자 대표회의 집행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이후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이 건국되면서 제헌의회의원 선거에서 하바롭스크 지역에 사혁당 후보로 출마해 당선되었다. 이후 사혁당 전당대회에 출마해 당대표로 선출되었다. 사혁당 및 인민전선의 중진이 된 모힐라는 중도 마르크스주의 노선인 순정사회주의를 주창하며, 수정 마르크스주의 노선인 노동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주장하던 코스트 안드루셴코와 경쟁하였다.

1929년 세계대공황이 터지자 집권 세력이었던 국민전선과 대통령 모졸레우스키의 지지율이 폭락했고, 모힐라는 인민전선의 우위가 명백했던 1930년 대선에 사혁당 후보로 출마했다. 선거 결과 그는 결선 진출에 실패했고, 경쟁자인 안드루셴코가 1위를 기록해 결선에 진출했다. 모힐라는 안드루셴코의 경쟁자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선거운동을 지원했고, 이 덕에 안드루셴코의 배려로 총리를 역임했다.

총리 퇴임 후에는 정계 1선에서 물러나 하바리우스크로 돌아갔다. 하지만 완전히 정계에서 은퇴한 것은 아니었어서 사회당 등 사회주의 정당들의 인사들과 교류하며 정계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제3차 극동전쟁 당시 소련군의 공습으로 인해 자택이 무너졌고, 파편을 맞은 모힐라는 병원으로 이송되었으나 끝내 사망했다.

사상 및 이념

사회주의의 끝은 순정이다.
하우릴로 크리첸코-모힐라

개요에 서술되어있듯이 코스트 안드루셴코와 함께 녹우크라이나 제1공화국 시절의 사회주의 세력을 대표하는 정치인이었다. 그의 경쟁자 안드루셴코가 타협적 사회주의인 노동주의를 제창했던 것과는 달리, 모힐라는 정통 사회주의인 순정사회주의를 주장했다. 그는 당시의 녹우크라이나가 아직 성숙한 자본주의 체제를 수립하지 못하였으므로 자본주의 발전에 공을 들이되 적절한 때가 되어 사회의 생산력이 충분히 발전하면 완전한 사회주의 국가를 건국하기를 원했다. 다만 사회주의 체제로의 전환 과정이 민주적이고 평화적이어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의회민주주의가 사회주의 체제에서도 유지될 수 있다고 여겼다.

외교적으로는 대소 온건파에 속했다. 소련과의 갈등 관리를 위해 소련과의 수교까지는 아니더라도 서로 상대국의 수도에 상주 대표단을 파견해 준공식적 외교관계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여겼다. 또 반제국주의적인 입장에서 서구 열강들의 식민지배를 비판했다. 한편 한국만주에는 우호적으었으며, 한만오 삼국동맹을 유지해야 한다고 보았다.

소속 정당

소속 정당 기간 비고
1917 - 1937 입당
1937-1947 합당
소속 정당연합 기간 비고
1919 - 1937 -

선거 이력

선거 정당 연합 선거구 득표율 비고
1918 총선 사회혁명당 인민전선 하바리우스크 지역
1차: 25.2% (1위)
당선
(초선)
2차: 54.3% (1위)
1920 총선
1차: 28.6% (1위)
당선
(재선)
2차: 57.0% (1위)
1924 총선
1차: 34.9% (1위)
당선
(3선)
2차: 61.4% (1위)
1927 지선
하바라우스크
(직할시장)
1차: 25.2% (1위)
당선
(초선)
2차: 54.3% (1위)
1932 총선 하바리우스크 지역
1차: 31.5% (1위)
당선
(4선)
2차: 58.6% (1위)

둘러보기

녹우크라이나의 진보 진영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이념 진보주의(오극란)1 · 사회민주주의 · 대중주의 · 국민주의(오극란) · 기독교 민주주의 · 노동주의 · 태평양주의 · 민주사회주의 · 제3의 길 · 진보주의 · 사회자유주의 · 평화주의
인물 대통령 코스트 안드루셴코 · 안틴 콜레스니크 · 헨나디 라이코우 · 볼로디미르 댜첸코 · 세르히 다르킨
총리 드미트로 보로비크 · 하우릴로 크리첸코-모힐라
대통령 후보 오니심 스투파크 · ㅇㅇ
주요 사상가
정당 원내 국민노동당 · 인민의 종 · 기독교 민주당
원외 볼로디드 시민넷 · 녹색당 · 연합노동자당 · 윌타 민족동맹
과거 사회혁명당 · 사회민주노동당 · 대중노동당 · 사회당 · 공산당 · 진보당 · 민주개혁당
정당연합 인민전선 · 진보와 단결
언론 프리모르스카야 지즌
단체 코뮌 협회 · 민주주의재단 · 전국노동조합총동맹
¹ 녹우크라이나 정치에서 진보주의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진보주의가 아닌, 범좌파·범진보 진영을 포괄하는 용어로 통용된다.
극좌 · 자유주의 · 보수 · 극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