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효황제 이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설중매}}
{{설중매}}
{{다른 뜻 설명|연경 시대에 대한 내용은 [[연경 시대 (설중매)|연경 시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다른 뜻 설명|천경 시대에 대한 내용은 [[천경 시대 (설중매)|천경 시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역대 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
{{역대 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E3BA62; font-size:10.5pt"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order:2px solid #E3BA62; font-size:10.5pt"
|-
|-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color: #B22222" | 혜종 순황제 관련 틀
!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bbf64ff 20%, #ebbf64ff 80%, #C19C22); color: #520000ff" | 신종 효황제 관련 틀
|-
|-
| <div class="mw-customtoggle-Yijun_1"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div class="mw-customtoggle-Yijun_1"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19번째 줄: 19번째 줄:
|}
|}
----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450px; font-size:10pt; float:right; border:2px solid #E3BA62"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420px; font-size:10.5pt; float:right; border:2px solid #E3BA62"
! colspan="2"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3BA62 20%, #E3BA62 80%, #C19C22); color: #B22222" | [[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color|#B22222|대한제국 제3대 황제}}]]<br>{{large|혜종 순황제 <nowiki>|</nowiki> 慧宗 順皇帝}}
! colspan="2"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19C22, #ebbf64ff 20%, #ebbf64ff 80%, #C19C22); color: #520000ff" | <big>[[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color|#520000ff|대한제국 제3대 황제}}]]</big><br><big><big>신종 효황제 <nowiki>|</nowiki> 神宗 孝皇帝</big></big>
|-
|-
| colspan="2"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혜종 순황제 (설중매).jpg]]</div>
| colspan="2" | <div style="margin: -4.5px -9.0px">[[파일:이종 순황제 (설중매).jpg]]</div>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이름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이름
| 이훈(李鑫)
| 이훈(李鑫)
|-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출생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출생
| 1915년 8월 3일
| 1908년 8월 3일
|-
|-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황실병원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황실병원
|-
|-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붕어
! rowspan="2"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붕어
| 1971년 8월 16일
| 1972년 8월 21일 (향년 62세)
|-
|-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황실병원 (향년 51세)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황실병원  
|-
|-
! rowspan="2"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즉위
! rowspan="6"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재위기간
| 1927년 2월 27일
| style="background: #B22222; color: #E3BA62"  | '''대한제국 황태손'''
|-
|-
| [[황성 한성부 (설중매)|황성 한성부]] [[경복궁 (설중매)|경복궁]] 근정전
| 1913년 9월 19일 ~ 1919년 3월 5일
|-
|-
! rowspan="4"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재위기간
| style="background: #B22222; color: #E3BA62"  | '''대한제국 황태자'''
| style="background: #B22222; color: #E3BA62"  | '''대한제국 황태자'''
|-
|-
| 1920년 9월 19일 ~ 1927년 2월 27일
| 1919년 3월 5일 ~ 1943년 10월 18일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대한제국 제4대 황제'''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대한제국 제4대 황제'''
|-
|-
| 1920년 9월 19일 ~ 1971년 8월 16일
| 1943년 10월 18일 ~ 1970년 8월 21일
|-
|-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Yijun_2"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 colspan="2" | <div class="mw-customtoggle-Yijun_2" style="text-align:center; font-size:10.5pt"><div style="margin-left:2.5px; margin-top:-2.0px">'''[ 펼치기  ·  접기 ]'''</div></div>
56번째 줄: 55번째 줄:
{| style="margin:4.0px 0px -6.0px 0.0px; width:100%; text-align:left; font-size:10.5pt"
{| style="margin:4.0px 0px -6.0px 0.0px; width:100%; text-align:left; font-size:10.5pt"
|-
|-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본관
! style="width: 100px; 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본관
| [[전주 이씨]]
| [[전주 이씨]]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부모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부모
| 부황 [[선종 효황제 이청|선종 효황제]], 모후 [[공정효황후 (설중매)|공정효황후]]
| 부황 [[열종 인황제 이청|열종 인황제]], 모후 [[순현인황후 (설중매)|순현인황후]]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형제자매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형제자매
| 4남 2녀중 장남
| 4남 2녀중 장남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황후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황후
| [[경신순황후 (설중매)|경신순황후]]
| 정후 [[경덕효황후 (설중매)|경덕효황후]] 유씨<br>계후 [[경신효황후 (설중매)|경신효황후]] 강씨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후궁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후궁
| 강빈 유씨, 숙빈 박씨, 혜빈 김씨
| 강빈 유씨, 숙빈 박씨, 혜빈 김씨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자녀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자녀
| [[소황제 이철|소황제 이철]]
| 장남 [[광효태자 이만]]<br>장녀 공주<ref>출산 직후 요절</ref><br>차남 [[효성태자 이숙]]<br>삼남 [[회종 애황제 이영]]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학력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학력
| [[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유치원 <small>(수료)</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초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중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고등과 <small>(졸업)</small>
| [[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유치원 <small>(수료)</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초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중등과 <small>(졸업)</small><br>[[강학원 (설중매)|강학원]] 고등과 <small>(졸업)</small>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종교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종교
| [[유교]] <small>([[성리학]])</small>
| [[유교]] <small>([[성리학]])</small>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아명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아명
| 해명(海暎)
| 해명(海暎)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묘호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묘호
| '''헤종'''(惠宗)
| '''신종'''(神宗)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존호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존호
| 문정익원경순후양환수순후안흥비철<br>(文貞翼元景純厚襄桓修純厚安興比哲)<br>용정제막각철청달혜막직렬사밀현선<br>(容靖齊幕恪哲淸達慧幕直烈思密賢宣)
| 문정익원경순후양환수순후안흥비철<br>(文貞翼元景純厚襄桓修純厚安興比哲)<br>용정제막각철청달혜막직렬사밀현선<br>(容靖齊幕恪哲淸達慧幕直烈思密賢宣)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시호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시호
| 도정무문돈견양효'''순황제'''<br>(悼正武文敦堅襄孝'''純皇帝''')<ref>완전한 시호는 '''혜종문정익원경순후양환수순후안흥비철용정제막각철청달혜막직렬사밀현선도정무문돈견양효순황제(惠宗文貞翼元景純厚襄桓修純厚安興比哲容靖齊幕恪哲淸達慧幕直烈思密賢宣悼正武文敦堅襄孝純皇帝)'''이다.</ref>   
| 도정무문돈견양순'''효황제'''<br>(悼正武文敦堅襄純'''孝皇帝''')<ref>완전한 시호는 '''신종문정익원경순후양환수순후안흥비철용정제막각철청달혜막직렬사밀현선도정무문돈견양순효황제(神宗文貞翼元景純厚襄桓修純厚安興比哲容靖齊幕恪哲淸達慧幕直烈思密賢宣悼正武文敦堅襄純孝皇帝)'''이다.</ref>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연호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연호
| [[연경 시대 (설중매)|연경]](年景, 1928~1972)  
| [[천경 시대 (설중매)|천경]](天敬, 1944~1970)  
|-
|-
! style="background: #E3BA62; color: #B22222" | 계급
! style="background: #ebbf64ff; color: #520000ff" | 계급
| [[대한제국군 (설중매)|대한제국군 육해공군]] 대원수
| [[대한제국군 (설중매)|대한제국군 육해공군]] 대원수
|-
|-
105번째 줄: 104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대한제국 (설중매)|대한제국]]의 제3대 [[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황제]]. 휘는 훈(鑫)이며, 연호는 연경(年景), 묘호는 혜종(慧宗), 시호는 순황제(純皇帝)이다.
[[대한제국 (설중매)|대한제국]]의 제3대 [[대한제국 대황제 (설중매)|황제]]. 휘는 훈(鑫)이며, 연호는 천경(天敬), 묘호는 신종(神宗), 시호는 효황제(孝皇帝)이다.
 
[[선종 효황제 이청|선종 효황제]]의 장자로 선종의 나이가 당시로써는 고령인 33세에 1915년 8월 3일 태어났다. 어릴적부터 아버지 선종을 빼닮아 학문에 능하고 예술에 조예가 깊었고, 5살때 황태자에 책봉된다. 그러나 부황 선종과 함께 1927년 귀족원 개회사를 위해 마차를 타고 귀족원으로 향하던 도중 만주족 테러리스트의 폭탄 테러로 선종이 사망하고 혜종도 큰 부상을 입는다. 그러나 기적적으로 혜종은 생존하였고 12살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게 된다.
 
즉위 이후 황태자 시절 보여주었던 명석한 모습과는 달리 폭탄 테러로 인한 휴유증으로 인해 모르핀 중독에 빠져 국정에 소홀하게 된다. 국정 현안이 대립할 경우 카리스마 있는 중재자로 나선 조부 성조와 부황 선종과는 달리 혜종은 국정을 방치하였고, 절대적인 황제를 정점으로 견제와 균형을 이루던 대한국 국제 체제는 망가지게 된다. 이는 성조와 선종 이래 강력해진 군부에 대한 통제력의 부재로 이어졌고, 결국 5.16 사건을 통해 육군참모총장이었던 김좌진이 국정을 장악한다.
 
대소주전론저였던 김좌진은 무리하게 한소전쟁을 감행하지만 소련에 반격으로 대한제국은 패전한다. 이에 선종은 패전의 죄를 물어 김좌진을 숙청하고 압록강 방어선을 통해 전쟁영웅이 된 숙부 의화군을 수상으로 임묭하여 전후 처리를 일임한다. 의화군은 혜종에 의해 망가진 대한국 국제 체제를 보수하여 간신히 정국을 안정시켰고, 전후 냉전체제에 합류한 대한제국은 부흥에 성공하며, 의화군을 수상으로 밀어준 혜종은 영명한 군주로 칭송받는다.


부황 [[열종 인황제 이청|열종 인황제]]가 마련한 강력한 황권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과 군 현대화, 대미 친화외교를 성공시켜 국정을 탄탄하게 이끌었다. 그러나 부황과 마찬가지로 황권 강화에 집착하여 반대파에 대한 지나친 탄압과 병약해진 자신의 황권을 지키기 위하여 측근 정치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외척인 강씨 일파의 부패를 방관하여 신종 사후인 1970년대의 정치적 혼란을 제공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생애 ==
== 생애 ==
=== 유년기 ===
=== 유년기 ===
[[선종 효황제 이청|선종 효황제]]의 유일한 적장자로 선종의 나이가 당시로써는 고령인 33세에 1915년 8월 3일 태어났다. 어릴적부터 아버지 선종을 빼닮아 학문에 능하고 예술에 조예가 깊었고, 5살때 황태자에 책봉된다. 그러나 부황 선종이 1927년 귀족원 개회사를 위해 마차를 타고 귀족원으로 향하던 도중 만주족 테러리스트의 폭탄 테러로 사망하여 12살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게 된다.
1908년 8월 3일 [[열종 인황제 이청|열종 인황제]]의 적장자로 태어났다. 어릴적부터 아버지 열종을 빼닮아 명석한 모습을 보여주고 예술에 조예가 깊었지만, 본래부터 허약하여 잔병치레가 잦았다. 5살때 황태자에 책봉된다.  
 
유년기 명석한 모습을 보여주어 백성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으나, 본래 허약하여 잔병치레가 잦았다. 게다가 1927년 선종과 함께 마차를 타고 이동하여 중상을 입는다. 이로 인해 엄청난 충격을 받아 이전의 명석한 모습을 잃어버린 채 우유부단함과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고, 예술과 흡연, 모르핀 중독과 주색잡기에만 몰두했다.
 
=== 무기력한 황제 ===
혜종은 중상을 입은 탓에 즉위식을 4월 말에 거행하였다. 즉위 이후, 모르핀 중독에 빠진 혜종은 국사를 방치했고 국사는 전적으로 추밀원의 원훈들이 결정한 바에 의하여 처리되었고, 자연스레 측신들이 득세하기 시작하였다. 이렇듯 혜종의 치세 극초반은 측신들이 득세하였으나, 경제적으로는 1차 대전 전후의 경제적 호황으로 인한 태평성세가 열린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1929년 대공황이 발생하고 그 바람이 미국을 건너 대한제국으로 건너오자 경제는 순식간에 파탄 상태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에서 혜종은 선대 황제들처럼 주도적으로 해결할 생각이 전혀 없었고, 이를 내각에 일임한 체 고서의 수집에만 몰두했다. 그러나 내각으로써도 이 전례 없는 경제적 광풍을 해결할 묘책이 딱히 존재하지는 않았을 뿐이었다.
 
결국 이를 타개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여럿 발생한다. 극소수 공산주의자들의 암살이나 폭동이 대표적이었으나 군부의 일부 소장파 장교들도 이러한 시도에 관심이 지대했다. 1931년 몽강사변을 시작으로 1932년의 2.15 사건과 같은 군부의 지휘 체계 무시나, 쿠데타 음모가 여럿 적발되었다. 그러나 이때마다 경시청과 특무대의 빠른 대처로 사건을 무마하였으나 이는 단지 임시 조치에 불과하여 1933년의 5.16 사건을 막지는 못했다.
 
=== 전쟁과 평화 ===
5.16 사건으로 내각을 해산시키고 혜종의 암묵적인 추인하에 권력을 잡은 김좌진은 대한제국을 하나의 병영으로 탈바꿈 시켰다. 김좌진은 서백리 출병 당시 러시아 사회의 후진성에도 불구하고 붉은 군대가 철저한 규율과 감투 정신을 가지고 있음에 놀라, 소련이 산업화를 진행하기 전에 빨리 시베리아를 정복해야 한다는 대소주전론자가 되었고 1939년 지속적으로 벌어지던 한국과 소련의 국경분쟁은 결국 양국 간의 전면전으로 확대되어 한소전쟁이 발발한다.
 
그러나 김좌진의 환상과 다르게 전황은 흘러간다. 해전에서는 제국 해군이 큰 우위를 점했지만 지상전에서는 제국 육군이 소련군에게 대적하기 어려웠다. 결국 개전 이후 빠르게 소련군을 타격하고 시베리아를 정복한다는 김좌진의 계획과 달리 개전 초기부터 제국군은 소련 육군에 궤멸적 타격을 입어 연해주와 몽강을 빼앗기고 한반도 마저 위험한 절체절명의 순간에 몰렸다. 그러나 [[의화군 (설중매)|의화군]]이 패닉에 빠진 김좌진을 대신하여 본토 주둔 대한제국군과 패잔병, 경찰과 후비군을 총동원하여 압록강 방어선을 수호하고, 폴란드 침공을 준비하던 소련의 필요성에 의해 양국은 요동과 연해주, 화태를 소련에 할양하는 종전 협상을 채결한다. 이로 인해 대한제국이 수탈하던 물적-인적 자원도 급감해 한국 경제도 큰 타격을 받았고, 패전으로 인해 민심이 요동쳤다.
 
혜종은 한소전쟁의 패전으로 인한 책임을 김좌진에게 돌렸다. 김좌진을 내란죄로 사형시키고 믿음직한 황족이자 측근인 의화군을 총리로 기용하여 소련의 혹시 모를 침공에 대비하여 1945년까지 의화군 중심의 총력전 체제를 유지했다. 그러나 의화군은 어린 시절부터 기존의 대한제국식 입헌군주제로는 전제황권의 유지는 군주제 자체를 위협할 것이라 생각했고 2차대전 이후 소련의 침공 가능성이 사라지자 혜종을 설득하여 계엄령을 거두고 의회제를 정비하는 한편 정치적 담론을 개방하였다.  


2차 대전 이후 냉전 체제의 형성을 예견한 의화군은 소련의 침략을 막기 위해 미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섰고 베를린 봉쇄가 해소되던 1949년 미국과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채결하여 한미동맹과 주한미군을 기초를 다졌다. 또한 독자적 핵개발에 착수, "오얏꽃이 피었습니다" 계획으로 1959년 대한제국은 4번째 핵보유국이 된다. 이러한 의화군의 개혁으로 대한제국의 민심은 안정되었고, 혜종 또한 의화군에 의해, 어질고 자비로운 군주로 미화되었다.
성년이 된 신종은 부황을 도와 간단한 국사를 처리하며 차기 황제로써 성장한다. 전제군주였던 열종은 신하들을 불신하여 말 그대로 만기친람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스스로를 너무 혹사하여 1930년대 말부터 건강이 악화되었다. 결국 열종은 태자의 시야를 높여준다는 명분을 들어 신종을 섭정에 임명했고, 신종은 1940년대부터 사실상 황제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1943년 열종이 붕어하자 황태자였던 신종은 35세의 나이로 황제에 즉위한다.
=== 황제 즉위 ===
1943년 10월 18일 열종이 붕어하자 태자는 연호를 천경으로 하여 황위에 올랐다. 신종은 즉위 이후 연합국과 추축국 사이에서 간을 보던 열종처럼 처음에는 엄정 중립을 고수하려 하였으나, 1943년 10월 13일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국에 항복하고, 나치 독일에 선전포고하자 10월 30일 연합국으로써 참전한다. 그리고 이때 줄을 잘 선 덕분에 유엔 창설 당시 창립멤버이자 상임이사국으로써 가입할 수 있었다.


== 말년 ==
2차대전을 겪으며 미국의 저력을 몸소 체감한 신종은 전후 식민제국을 유지하고 제1적국인 소련과 중국을 견제하기 위하여 전제군주제를 포기하고 여성 참정권 도입과 표면적인 다당제 민주주의를 다시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1949년 미국과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채결하고 반공정책을 국가적 차원에서 주도하며 공산주의 확산에 예민했던 미국에게 전폭적인 신뢰와 지원을 받아가며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1965년 혜종은 나이 50세에 경신순황후에게 훗날의 황제가 될 아들을 얻는다. 혜종은 어렵게 얻은 늦둥이 아들의 탄생을 매우 기뻐했다. 소황제가 태어난 즉시 '원자(元子)'로 정했고 이듬해인 1966년 4월 21일에는 이제 막 돌이 지난 원자를 황태자로 정식 책봉했다.  


혜종은 열과 성을 다해 황태자의 교육에 힘을 썼고, 황태자도 어릴 때부터 총명함을 들어내어 혜종을 기쁘게 했다. 그러나 청년기부터 골초였던 혜종은 1971년 초에 폐암 4기로 진단 받았고, 6개월 만인 1971년 8월 16일 붕어하고 만다.
이 당시 신종은 평면적으로는 외치에만 집중하며 내각에 내치를 일임한 것처럼 행동하였지만, 실제로는 안전기획부와 내부를 통해 정국을 자신의 뜻대로 이끌었다.
=== 즉위 중반기 ===
1960년대 대한은 미국과 소련에 이어 세계 경제 규모 3위에 도달했다. 1964 도쿄 올림픽 개최를 위한 개발붐이 일었고, 올림픽의 성공 개최를 통해 전 세계에 일본이 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하였음을 알렸다.


묘호는 내각에 의해 혜종(惠宗), 강종(康宗), 신종(神宗)상주되었고, 혜종(惠宗)이 유력한 후보였다. 그러나 혜종 사후 섭정을 맡은 경신순황후는 이를 별로 탐탁하지 않게 여겼고, 결국 절충안으로 은혜로울 혜(惠)자가 아닌 슬기로울 혜(慧)자를 올려 대행 황제의 묘호는 혜종(慧宗), 시호는 순황제(順皇帝)로 결정되었다.
또한 시기 들어서며 신세대와 구세대의 갈등이 점화되어 대규모 데모가 빈번히 발생하여, 대한의 본격적인 데모와 학생 운동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데모는 신종에 의해 무자비하게 진압되었고, 오히려 신종 말기 전제화와 언론 검열을 비롯한 사회 억압이 강화되는 역효과를 불러왔고, 대한제국 정치의 보수화를 가져왔다.
=== 말년 ===
평소 잔병치레가 잦던 신종은 1950년대 후반 고도성장에 들어서자 자신의 치적에 만족하며 정치보다는 요양에 집중한다. 그러던 1960년 신종의 나이 52세에 경신효황후에게 훗날의 황제가 될 아들을 얻는다. 신종은 어렵게 얻은 늦둥이 아들의 탄생을 매우 기뻐했다. 소황제가 태어난 즉시 '원자(元子)'정했고 이듬해인 1961년 4월 21일에는 이제 막 돌이 지난 원자를 황태자로 정식 책봉했으며, 황후의 외척들에게 힘을 실어준다.


== 평가 ==
후사가 안정되자 신종은 국정보다는 자신의 취미에 집중하고, 열과 성을 다해 황태자의 교육에 힘을 썼다. 황태자도 어릴 때부터 총명함을 들어내어 신종을 기쁘게 했다. 그러나 어릴때부터 허약하고 골초였던 신종은 1969년 말에 폐암 4기로 진단 받았고, 6개월 만인 1970년 8월 21일일 붕어하고 만다.
=== 긍정적 평가 ===
=== 부정적 평가 ===
== 여담 ==
== 여담 ==
== 가계 ==
== 가계 ==
* 증조부 : [[경조 인황제 이희|경조 인황제]](景祖 仁皇帝, 1824년 ~ 1873년)
* 증조부 : [[경조 명황제 이희|경조 명황제]](景祖 明皇帝, 1824년 ~ 1873년)
* 증조모 : [[철순인황후 (설중매)|철순인황후]](哲純仁皇后, 1822년 ~ 1878년)
* 증조모 : [[철순명황후 (설중매)|철순명황후]](哲純明皇后, 1822년 ~ 1878년)
** 조부 : [[성조 태황제 이엽|성조 태황제]](聖祖 太皇帝, 1860년 ~ 1910년)
* 증조부 : [[고조 장황제 이엽|고조 장황제]](高祖 章皇帝, 1860년 ~ 1919년)
** 조모 : [[원순태황후 (설중매)|원순태황후]](元順太皇后, 1859년 ~ 1888년)
* 증조모 : [[원명장황후 (설중매)|원명장황후]](元明章皇后, 1859년 ~ 1888년)
*** 부친 : [[선종 효황제 이청|선종 효황제]](宣宗 孝皇帝, 1881년 ~ 1927년)
*** 부친 : [[열종 인황제 이청|열종 인황제]](烈宗 仁皇帝, 1881년 ~ 1943년)
*** 모친 : [[성빈 강씨 (설중매)|성빈 강씨]](成妃 姜氏, 1885년 ~ 1967년)
*** 모친 : [[순현인황후 (설중매)|순현인황후]] (純賢仁皇后, 1876년 ~ 1942년)
* 정비 : [[경신순황후 (설중매)|경신순황후]](敬神順皇后, 1913년 ~ 1998년)
* 정후 : [[경덕효황후 (설중매)|경덕효황후]](敬神孝皇后, 1913년 ~ 1954년)
** 아들 : [[소황제 이영|소황제]](少皇帝, 1965년 ~ 1974년)
** 아들 : [[광효태자 이만|광효태자]](匡孝太子, 1926년 ~ 1955년)
** 아들 : [[효성태자 이숙|효성태자]](孝成太子, 1952년 ~ 1956년)
* 계후 : [[경신효황후 (설중매)|경신효황후]](敬神孝皇后, 1931년 ~ 1998년)
** 아들 : [[회종 애황제 이영|회종 애황제]](懷宗 哀皇帝, 1960년 ~ 1974년)
* 후궁 : 강빈 유씨(康嬪 柳氏)
* 후궁 : 강빈 유씨(康嬪 柳氏)
** 딸 : 공주 (公主, 1941년)
* 후궁 : 숙빈 박씨(淑嬪 朴氏)
* 후궁 : 숙빈 박씨(淑嬪 朴氏)
** 딸 : 복중 사망 (1941년)
* 후궁 : 혜빈 김씨(惠嬪 金氏)
* 후궁 : 혜빈 김씨(惠嬪 金氏)
== 어록 ==
== 어록 ==
{{인용문|국제 신의상 어떨까 싶지만, 뭐 괜찮겠지.|1939. 5. 14. 한소전쟁의 개전을 묵인하며}}
{{인용문|전쟁은 시작할 때는 신중하게, 시작했으면 철저하게 해야 한다.|밀류친스크의 점령 소식을 듣고}}
{{인용문|제국이 총력을 기울여 승리를 결정지을 계기는 바로 오늘에 있다. 경들은 기꺼이 신민보다 앞장서서 분격(분노)을 새로이 하며, 단결을 굳건히 하고, 떨쳐 일어나 적국의 비망을 분쇄함으로써 황운을 무궁히 도울지어다.|1939. 8. 압록강 방어선을 시찰하며}}
{{인용문|숙부, 제발 나를 좀 살려주세요.|김좌진을 사형 시킨후 의화군에게 총리직을 부탁하며}}
{{인용문|우리 태자를 잘 부탁하네|한경군(훗날의 고조)에게 태자를 당부하며<ref>그러나 한경군은 혜종의 당부를 무시하고 태자를 황위에서 끌어내리고 자신이 황제가 된다.</ref>}}
== 대중 매체에서 ==
== 대중 매체에서 ==
== 관련 문서 ==
== 관련 문서 ==
172번째 줄: 151번째 줄:
----
----
{{각주}}
{{각주}}
[[분류:설중매]] [[분류:혜종 순황제 (설중매)]]
[[분류:설중매]] [[분류:신종 효황제 (설중매)]]

2024년 9월 5일 (목) 15:25 기준 최신판

[ 소개 ]
매화 핀 진목정엔 잔설이 누웠는데
화사하게 웃는 설중매 담장 너머로 매향을 흩뿌리며
고운 자태 뽐내고 오가는 마실사람 눈웃음치며 유혹하네
김씨네가 살다가 도회로 가버린 초가지붕 용마루는 세월의 횡포 속에
사르르 녹아내렸고 마당에는 지게 갈퀴 쟁기대가리 홀태
써레 홍두깨 호미자루
잡살뱅이들이 널부러져 푸서리 속에 나뒹굴고 있네
조상의 숨결이 열려있는 초가삼간 설중매
"설중매"는 "현대까지 대한제국이 존속한다면?" 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브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이 문서는 설중매의 공식 설정입니다. 연재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대한제국 대황제
[ 펼치기 · 접기 ]

신종 효황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황태자
[ 펼치기 · 접기 ]
고조 열종 신종
이청
(열종)
이훈
(신종)
이만
(광효태자)
이숙
(효성태자)
황태손

이만
(광효태자)
신종 고종 인덕황제
이영
(회종)
이광
(인효태자)
황사

이해
(강친왕)
황태손

이연
(인덕황제)
이창
태상황 · 대황제 · 황후 · 황태자비
고조선 · 부여 · 원삼국 · 고구려 · 백제 · 가야
신라 · 탐라 · 발해 · 후삼국 · 고려 · 조선국

대한제국 제3대 황제
신종 효황제 | 神宗 孝皇帝
이름 이훈(李鑫)
출생 1908년 8월 3일
황성 한성부 황실병원
붕어 1972년 8월 21일 (향년 62세)
황성 한성부 황실병원
재위기간 대한제국 황태손
1913년 9월 19일 ~ 1919년 3월 5일
대한제국 황태자
1919년 3월 5일 ~ 1943년 10월 18일
대한제국 제4대 황제
1943년 10월 18일 ~ 1970년 8월 21일
[ 펼치기 · 접기 ]
본관 전주 이씨
부모 부황 열종 인황제, 모후 순현인황후
형제자매 4남 2녀중 장남
황후 정후 경덕효황후 유씨
계후 경신효황후 강씨
후궁 강빈 유씨, 숙빈 박씨, 혜빈 김씨
자녀 장남 광효태자 이만
장녀 공주[1]
차남 효성태자 이숙
삼남 회종 애황제 이영
학력 강학원 유치원 (수료)
강학원 초등과 (졸업)
강학원 중등과 (졸업)
강학원 고등과 (졸업)
종교 유교 (성리학)
아명 해명(海暎)
묘호 신종(神宗)
존호 문정익원경순후양환수순후안흥비철
(文貞翼元景純厚襄桓修純厚安興比哲)
용정제막각철청달혜막직렬사밀현선
(容靖齊幕恪哲淸達慧幕直烈思密賢宣)
시호 도정무문돈견양순효황제
(悼正武文敦堅襄純孝皇帝)[2]
연호 천경(天敬, 1944~1970)
계급 대한제국군 육해공군 대원수

개요

대한제국의 제3대 황제. 휘는 훈(鑫)이며, 연호는 천경(天敬), 묘호는 신종(神宗), 시호는 효황제(孝皇帝)이다.

부황 열종 인황제가 마련한 강력한 황권을 바탕으로 경제 발전과 군 현대화, 대미 친화외교를 성공시켜 국정을 탄탄하게 이끌었다. 그러나 부황과 마찬가지로 황권 강화에 집착하여 반대파에 대한 지나친 탄압과 병약해진 자신의 황권을 지키기 위하여 측근 정치를 강화하는 과정에서 외척인 강씨 일파의 부패를 방관하여 신종 사후인 1970년대의 정치적 혼란을 제공하여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생애

유년기

1908년 8월 3일 열종 인황제의 적장자로 태어났다. 어릴적부터 아버지 열종을 빼닮아 명석한 모습을 보여주고 예술에 조예가 깊었지만, 본래부터 허약하여 잔병치레가 잦았다. 5살때 황태자에 책봉된다.

성년이 된 신종은 부황을 도와 간단한 국사를 처리하며 차기 황제로써 성장한다. 전제군주였던 열종은 신하들을 불신하여 말 그대로 만기친람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스스로를 너무 혹사하여 1930년대 말부터 건강이 악화되었다. 결국 열종은 태자의 시야를 높여준다는 명분을 들어 신종을 섭정에 임명했고, 신종은 1940년대부터 사실상 황제의 역할을 수행했다. 이후 1943년 열종이 붕어하자 황태자였던 신종은 35세의 나이로 황제에 즉위한다.

황제 즉위

1943년 10월 18일 열종이 붕어하자 태자는 연호를 천경으로 하여 황위에 올랐다. 신종은 즉위 이후 연합국과 추축국 사이에서 간을 보던 열종처럼 처음에는 엄정 중립을 고수하려 하였으나, 1943년 10월 13일 이탈리아 왕국이 연합국에 항복하고, 나치 독일에 선전포고하자 10월 30일 연합국으로써 참전한다. 그리고 이때 줄을 잘 선 덕분에 유엔 창설 당시 창립멤버이자 상임이사국으로써 가입할 수 있었다.

2차대전을 겪으며 미국의 저력을 몸소 체감한 신종은 전후 식민제국을 유지하고 제1적국인 소련과 중국을 견제하기 위하여 전제군주제를 포기하고 여성 참정권 도입과 표면적인 다당제 민주주의를 다시 도입하였다. 이를 통해 1949년 미국과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채결하고 반공정책을 국가적 차원에서 주도하며 공산주의 확산에 예민했던 미국에게 전폭적인 신뢰와 지원을 받아가며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당시 신종은 평면적으로는 외치에만 집중하며 내각에 내치를 일임한 것처럼 행동하였지만, 실제로는 안전기획부와 내부를 통해 정국을 자신의 뜻대로 이끌었다.

즉위 중반기

1960년대 대한은 미국과 소련에 이어 세계 경제 규모 3위에 도달했다. 1964 도쿄 올림픽 개최를 위한 개발붐이 일었고, 올림픽의 성공 개최를 통해 전 세계에 일본이 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하였음을 알렸다.

또한 이 시기 들어서며 신세대와 구세대의 갈등이 점화되어 대규모 데모가 빈번히 발생하여, 대한의 본격적인 데모와 학생 운동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데모는 신종에 의해 무자비하게 진압되었고, 오히려 신종 말기 전제화와 언론 검열을 비롯한 사회 억압이 강화되는 역효과를 불러왔고, 대한제국 정치의 보수화를 가져왔다.

말년

평소 잔병치레가 잦던 신종은 1950년대 후반 고도성장에 들어서자 자신의 치적에 만족하며 정치보다는 요양에 집중한다. 그러던 1960년 신종의 나이 52세에 경신효황후에게 훗날의 황제가 될 아들을 얻는다. 신종은 어렵게 얻은 늦둥이 아들의 탄생을 매우 기뻐했다. 소황제가 태어난 즉시 '원자(元子)'로 정했고 이듬해인 1961년 4월 21일에는 이제 막 돌이 지난 원자를 황태자로 정식 책봉했으며, 황후의 외척들에게 힘을 실어준다.

후사가 안정되자 신종은 국정보다는 자신의 취미에 집중하고, 열과 성을 다해 황태자의 교육에 힘을 썼다. 황태자도 어릴 때부터 총명함을 들어내어 신종을 기쁘게 했다. 그러나 어릴때부터 허약하고 골초였던 신종은 1969년 말에 폐암 4기로 진단 받았고, 6개월 만인 1970년 8월 21일일 붕어하고 만다.

여담

가계

  • 증조부 : 경조 명황제(景祖 明皇帝, 1824년 ~ 1873년)
  • 증조모 : 철순명황후(哲純明皇后, 1822년 ~ 1878년)
  • 증조부 : 고조 장황제(高祖 章皇帝, 1860년 ~ 1919년)
  • 증조모 : 원명장황후(元明章皇后, 1859년 ~ 1888년)
  • 정후 : 경덕효황후(敬神孝皇后, 1913년 ~ 1954년)
  • 계후 : 경신효황후(敬神孝皇后, 1931년 ~ 1998년)
  • 후궁 : 강빈 유씨(康嬪 柳氏)
    • 딸 : 공주 (公主, 1941년)
  • 후궁 : 숙빈 박씨(淑嬪 朴氏)
  • 후궁 : 혜빈 김씨(惠嬪 金氏)

어록

대중 매체에서

관련 문서

둘러보기


대한제국 황실
[ 펼치기 · 접기 ]

  1. 출산 직후 요절
  2. 완전한 시호는 신종문정익원경순후양환수순후안흥비철용정제막각철청달혜막직렬사밀현선도정무문돈견양순효황제(神宗文貞翼元景純厚襄桓修純厚安興比哲容靖齊幕恪哲淸達慧幕直烈思密賢宣悼正武文敦堅襄純孝皇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