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 목록) |
(→작품 목록) |
||
157번째 줄: | 157번째 줄: | ||
| 조선과건축 7월호 | | 조선과건축 7월호 | ||
|- | |- | ||
| rowspan=" | | rowspan="4" | 1933 | ||
| 꽃나무<ref>이상이 발표한 최초의 한글시. 이전에 발표한 시들은 모두 일본어로 씌어진 시다.</ref> | | 꽃나무<ref>이상이 발표한 최초의 한글시. 이전에 발표한 시들은 모두 일본어로 씌어진 시다.</ref> | ||
| 가톨릭청년 7월호 | | 가톨릭청년 7월호 | ||
163번째 줄: | 163번째 줄: | ||
| 이런시 | | 이런시 | ||
| 가톨릭청년 7월호 | | 가톨릭청년 7월호 | ||
|- | |||
| 1933, 6, 1<br><small>(一九三三, 六, 一)</small> | |||
| 가톨릭청년 7월호 | |||
|- | |||
| 거울 | |||
| 가톨릭청년 10월호 | |||
|- | |||
| rowspan="3" | 1934 | |||
| 보통기념 | |||
| 월간매신 7월호 | |||
|- | |||
| 오감도<br><small>(烏瞰圖)</small> | |||
| 조선중앙일보 | |||
|- | |||
| ㆍ소ㆍ영ㆍ위ㆍ제ㆍ<br><small>(素榮爲題)</small> | |||
| 중앙 9월호 | |||
|- | |||
| rowspan="2" | 1935 | |||
| 정식<br><small>(紙碑)</small> | |||
| 가톨릭청년 4월호 | |||
|- | |||
| 지비<br><small>(紙碑)</small> | |||
| 조선중앙일보 9.15 | |||
|- | |||
| rowspan="6" | 1936 | |||
| 지비-어디갔는지모르는안해 | |||
| 중앙 1월호 | |||
|- | |||
| 역단<br><small>(易斷)</small> | |||
| 가톨릭청년 2월호 | |||
|- | |||
| 가외가전<br><small>(街外街傳)</small> | |||
| 가톨릭청년 2월호 | |||
|- | |||
| 명경<br><small>(明鏡)</small> | |||
| 여성 5월호 | |||
|- | |||
| 위독<ref>연작시.</ref> | |||
| 조선일보 | |||
|- | |||
| I WED A TOY BRIDE | |||
| 삼사문학 10월호<ref>이 시는 「삼사문학」 5집(1936.10) 23면에 실려 있다. 하동호의 발굴로 「문학사상」(1977.4)에 재소개되었다. 그런데 당시 이 시의 앞장(22면)에 있는 「무제」도 이상의 시로 소개가 되었으며, 전집(2), 전집(3)에는 그 작품을 실었다. 그러나 전집(4)에서는 그 작품의 저자가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이상일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판단되어 제외시켰다.</ref> | |||
|- | |- | ||
|} | |} |
2023년 3월 13일 (월) 19:50 판
한닷은 현재 진실·화해를위한한닷사정리위원회를 통해 리뉴얼되고 있습니다! | ×
|
| ||
이 문서는 한나라닷컴의 공식 문서입니다. 한나라닷컴 연재자 외 수정을 금지합니다. |
구인회 |
---|
[ 펼치기 · 접기 ] |
이상 관련 틀 | |||||||||||||||
---|---|---|---|---|---|---|---|---|---|---|---|---|---|---|---|
[ 펼치기 · 접기 ]
|
이상 李箱 | Yi Sang | |
---|---|
본명 | 김해경(金海卿) |
출생 | 1910년 9월 23일[1] |
한성부 서서 인달방 사직동계 사직동 (現 한성부 종로구 자하문로7길 18) | |
사망 | 1937년 4월 17일 (향년 26세)[2] |
도쿄부 도쿄시 혼고구 도쿄제국대학 부속병원 (現 도쿄도 분쿄구 도쿄대학 부속병원) | |
직업 | 시인,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 화가 |
수훈 | 금관문화훈장 (20XX년 추서)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를 아시오? 《날개》 中 |
13인의아해가도로로질주하오. (길은막다른골목이적당하오.) 《오감도》 中 |
대한제국의 시인,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 화가. 창명 시대의 대표적인 근대 작가이자 아방가르드 문학가이다. 본명은 김해경(金海卿).
생애
평가
삼사문학파(三四文學派)
작품 목록
이상의 작품 목록 | |||||||||||||||||||||||||||||||||||||||||||||||||||||||||
---|---|---|---|---|---|---|---|---|---|---|---|---|---|---|---|---|---|---|---|---|---|---|---|---|---|---|---|---|---|---|---|---|---|---|---|---|---|---|---|---|---|---|---|---|---|---|---|---|---|---|---|---|---|---|---|---|---|
[ 시 펼치기 · 접기 ]
| |||||||||||||||||||||||||||||||||||||||||||||||||||||||||
[ 소설 펼치기 · 접기 ]
|
대중매체에서
가계도
여담
- ↑ 음력 8월 20일.
- ↑ 동반자살하기로 한 김유정보다 3살 더 젊은 나이에 죽었다. 참고로 실제로 동반자살을 하지는 않았고, 김유정은 이상보다 한 달 가량 먼저 사망했다.
- ↑ 36세손 卿자 항렬. 前 민의원 의원 김진구, 김진만 형제의 숙부뻘이다. 관련 기사
- ↑ 동광학교에 입학했으나 보성고보와 통폐합되었다.
- ↑ 초라하고 몽상가적인 이미지와는 다르게, 시대를 감안하면 제법 큰 키에 해당한다. 오늘날로 환산하면 178cm 정도 되는 키다. 물론 체형은 예상했던대로 마른 체형이다.
- ↑ 이전에는 이상이 조선일보에 연재한 오감도(烏瞰圖)와 같은 제목이라고 알려졌었지만, 연구를 통해 조감도(鳥瞰圖)가 맞다고 확인됐다. 제목만으로는 사실상 오감도의 전신.
- ↑ 이것도 연작시인데, 건축무한육면각체의 항목에도 나와있는 것처럼, 보통 「AU MAGASIN DE NOUVEAUTES」이 건축무한육면각체라는 제목으로 불린다.
- ↑ 이상이 발표한 최초의 한글시. 이전에 발표한 시들은 모두 일본어로 씌어진 시다.
- ↑ 연작시.
- ↑ 이 시는 「삼사문학」 5집(1936.10) 23면에 실려 있다. 하동호의 발굴로 「문학사상」(1977.4)에 재소개되었다. 그런데 당시 이 시의 앞장(22면)에 있는 「무제」도 이상의 시로 소개가 되었으며, 전집(2), 전집(3)에는 그 작품을 실었다. 그러나 전집(4)에서는 그 작품의 저자가 불명확할 뿐만 아니라 이상일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판단되어 제외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