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 (한나라)

한닷은 현재 진실·화해를위한한닷사정리위원회를 통해 리뉴얼되고 있습니다!
×
이 문서는 한나라닷컴의 공식 문서입니다. 한나라닷컴 연재자 외 수정을 금지합니다.
박완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박완서
朴婉緖
출생 1931년 9월 15일
경기도 개풍군 청교면 묵송리
(現 경기도 개성시 개풍군)
사망 2011년 1월 22일 (향년 79세)
 경기도 구리시
직업 소설가, 가정 주부
주요 수훈 금관문화훈장 (2011년 추서)
[ 펼치기 · 접기 ]

1.개요

이렇게 해서 나의 고가는 완전히 해체되어 몇 푼의 돈으로 바뀌었나 보다. 아버지와 오빠들이 그렇게도 사랑하던 집, 어머니가 임종의 날까지 그렇게도 집착하던 고가. 그것을 그들이, 생면부지의 낯선 사나이가 산산이 해체해 놓고 만 것이다. 그러나 생각해 보면 고가의 해체는 행랑채에 구멍이 뚫린 날부터 이미 비롯된 것이었고 한번 시작된 해체는 누구에 의해서고 끝막음을 보아야 할 것 아닌가. 다시는, 다시는 아침 햇살 속에 기왓골에 서리를 이고 서 있는 숙연한 고가를 볼 수 없다니. 그러나 나는 나 자신의 육신이 해체되는 듯한 아픔을 의연히 견디었다. 실상 나는 고가의 해체에 곁들여 나 자신의 해체를 시도하고 있었는지도 모를 일이었다. 남편이 쓸모없이 불편한 고가를 해체시켜 우리의 새 생활을 담을 새 집을 설계하듯이, 나는 아직도 그의 아내로서 편치 못한 나를 해체시켜, 그의 아내로서 편한 나로 뜯어 맞추고 싶었다.
『나목』 中

대한제국의 소설가.

대한제국 페미니즘 문학의 효시로 평가받으며, 대한제국 문단계의 추세를 고려하였을 때 그의 영향력은 2010년대를 넘어 2020년대 더욱 강력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1] 자신의 자전적인 경험을 유려한 문장을 통해 풀어 써 여성으로서, 어머니로서, 소시민으로서 겪을 수 있는 사소하고도 깊은 감정들을 극대화한 소설들로 유명하다.


  1. 1990년대 이후 공지영과 신경숙, 공선옥, 은희경 등이 주도한 페미니즘 문학의 열풍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지만, 전반적인 산문, 수필, 소설 분야에서도 박완서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