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습장:솔피/1: 두 판 사이의 차이

364번째 줄: 364번째 줄:
{{글 숨김}}
{{글 숨김}}
{{설중매}}
{{설중매}}
{{대한제국 제국의회의 원내 구성 (설중매)}}
{{제국의회의 원내 구성 (설중매)}}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auto; margin-right:auto; width:100%; max-width:550px; text-align:center; font-size: 10.5pt"
|-
! colspan="5" style="background:#00205C; color:#BD8E00" | [[파일:설중매 대한제국 대통령기.svg|40px|link=대한제국 대통령 (설중매)]][[대한제국 (설중매)|{{color|#BD8E00|대한제국}}]]의 여당
|-
| width=30% style="padding:0px; background:#000080; color:#FFF; font-size:9pt" | [[장면 내각 (설중매)|{{color|#FFF|장면 내각}}]]
| width=5% rowspan="2" | →
| width=30% style="padding:0px; background:#A0A0A0; color:#FFF; font-size:9pt" | [[박정희 정부 (설중매)|{{color|#FFF|박정희 정부}}]]
| width=5% rowspan="2" | →
| width=30% rowspan="2" | 현재
|-
| style="height:55px; line-height:145%; word-break:break-all" | [[민주당(1955년) (설중매)|{{color|#000080|민주당}}]]<br>{{글씨 크기|9|(1960.8.13.~1961.5.16.)}}
| style="height:55px; line-height:145%; word-break:break-all" | '''{{color|#A0A0A0|안민당<br>{{글씨 크기|9|(1963.12.17.~현재)}}}}'''
|-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max-width:420px; border:2px solid #A0A0A0; font-size:10.5pt; float:right"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max-width:420px; border:2px solid #A0A0A0; font-size:10.5pt; float:right"

2024년 7월 12일 (금) 01:58 판

대한제국 내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펼치기 · 접기 ]

황실 족보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한제국 황실
[ 펼치기 · 접기 ]
영조 현효대왕
진종 소황제 장조 의황제
정조 선황제 은언군
순조 숙황제 진안군
경조 장황제 경평군 완성군
성조 태황제 창순군 완창군
환친왕 은친왕 경원군
순공군 창산군
※ 실제 혈통이 아닌 족보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왕족 / 황족으로서 정식 봉호가 있는 사람만 기재
※ 숙조는 창순군의 양자로 입적되었으나 향렬상의 문제로 다시 승경대원왕의 아들로 입적
† 대한제국 수립 전에 사망했으나 사후 황족 작위를 추증받은 사람

역대 한제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소개 ]
매화 핀 진목정엔 잔설이 누웠는데
화사하게 웃는 설중매 담장 너머로 매향을 흩뿌리며
고운 자태 뽐내고 오가는 마실사람 눈웃음치며 유혹하네
김씨네가 살다가 도회로 가버린 초가지붕 용마루는 세월의 횡포 속에
사르르 녹아내렸고 마당에는 지게 갈퀴 쟁기대가리 홀태
써레 홍두깨 호미자루
잡살뱅이들이 널부러져 푸서리 속에 나뒹굴고 있네
조상의 숨결이 열려있는 초가삼간 설중매
"설중매"는 "현대까지 대한제국이 존속한다면?" 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브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이 문서는 설중매의 공식 설정입니다. 연재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대한제국 황제
[ 펼치기 · 접기 ]


광형, 인덕 시대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소개 ]
매화 핀 진목정엔 잔설이 누웠는데
화사하게 웃는 설중매 담장 너머로 매향을 흩뿌리며
고운 자태 뽐내고 오가는 마실사람 눈웃음치며 유혹하네
김씨네가 살다가 도회로 가버린 초가지붕 용마루는 세월의 횡포 속에
사르르 녹아내렸고 마당에는 지게 갈퀴 쟁기대가리 홀태
써레 홍두깨 호미자루
잡살뱅이들이 널부러져 푸서리 속에 나뒹굴고 있네
조상의 숨결이 열려있는 초가삼간 설중매
"설중매"는 "현대까지 대한제국이 존속한다면?" 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브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이 문서는 설중매의 공식 설정입니다. 연재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含弘大, 品物咸.
품은 것이 크고 넓으니, 만물은 모두 형통하다.
旣醉以酒 旣飽以德 君子萬 介爾福.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불렀어라. 임이시여, 만 동안 복을 누리소서.
君子之愛也以細人之愛人也以姑息
군자가 남을 사랑할 때는 덕으로써 하고 소인배가 남을 사랑할 때는 고식지책으로써 한다.

역대 수상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소개 ]
매화 핀 진목정엔 잔설이 누웠는데
화사하게 웃는 설중매 담장 너머로 매향을 흩뿌리며
고운 자태 뽐내고 오가는 마실사람 눈웃음치며 유혹하네
김씨네가 살다가 도회로 가버린 초가지붕 용마루는 세월의 횡포 속에
사르르 녹아내렸고 마당에는 지게 갈퀴 쟁기대가리 홀태
써레 홍두깨 호미자루
잡살뱅이들이 널부러져 푸서리 속에 나뒹굴고 있네
조상의 숨결이 열려있는 초가삼간 설중매
"설중매"는 "현대까지 대한제국이 존속한다면?" 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브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이 문서는 설중매의 공식 설정입니다. 연재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대한국 내각총리대신
[ 펼치기 · 접기 ]
칭제 이전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김홍집 박정양 김홍집 김병시
제5대 제6대 제7대
윤용선 김병시 심순택
천훈 시대
제7대 제8대 제9대 제10대
심순택 김병시 심순택 윤용선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조병세 윤용선 심순택 윤용선
제15대 제16대 제17대 제18대
심순택 윤용선 이근명 윤용선
제19대 제20대 제21대
이근명 민영규 조병호
광정 시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이완용 김윤식 이완용 박영효
연경 시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박영효 민병석 윤덕영 김좌진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의화군 이강 변영태 장면 이승만
제33대 제34-36대 제37대 제38대
조봉암 장면 허정 장면
제39대 제40대 제41대
조병옥 김성곤 백두진
건무 시대
제42대 제43대
백두진 김정렬
성녕 시대
제43대 제44-46대 제47대 제48대
김정렬 박정희 김종필 남덕우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신현확 박충훈 이승윤 진의종
제53대 제54대 제55-56대 제54대
노신영 강영훈 김종필 김석수
제57-59대 제60대 제61-62대 제63-64대
노태우 조순 이인제 김종인
제64대 제65대 제66-69대 제70대
정홍원 한덕수 주호영 추경호
인덕 시대
제70대 제71-72대
추경호 정진석
고구려 국상 · 고구려 대막리지 · 신라 대보 · 신라 상대등
고려 문하시중 · 조선 영의정 · 대조선국 군국기무처 총재

안민당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소개 ]
매화 핀 진목정엔 잔설이 누웠는데
화사하게 웃는 설중매 담장 너머로 매향을 흩뿌리며
고운 자태 뽐내고 오가는 마실사람 눈웃음치며 유혹하네
김씨네가 살다가 도회로 가버린 초가지붕 용마루는 세월의 횡포 속에
사르르 녹아내렸고 마당에는 지게 갈퀴 쟁기대가리 홀태
써레 홍두깨 호미자루
잡살뱅이들이 널부러져 푸서리 속에 나뒹굴고 있네
조상의 숨결이 열려있는 초가삼간 설중매
"설중매"는 "현대까지 대한제국이 존속한다면?" 이라는 상상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이브위키의 대체역사 세계관입니다.
이 문서는 설중매의 공식 설정입니다. 연재자 외 이용을 금지합니다.
문서의 모든 내용은 허구입니다.
제국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이관섭 내각
(2022 - 현재)
여당
 
민주자유당
 nnn석 nnn석 
야당
 
민정당
 nnn석 nnn석 
 
자유당
 nn석 nn석 
 
사회당
 n석 n석 
무소속  0석 4석 
재적 nnn석 • nnn석공석 0석 • 0석
좌측은 귀족원(상원) 의석 수, 우측은 민의원(하원) 의석 수


안민당
영문 명칭 ANmin Party (ANP)
표어 안정, 평화, 그리고 번영을!
창당 1973년 3월 10일 (51주년)
주소

지도를 불러오는 중...

서울특별시 용산구 두텁바위로 160
(후암동, 안민당중앙당사)
이념 보수주의
대한 내셔널리즘

내부적 계파
경제적 자유주의
신보수주의
국수주의
우익대중주의
사회보수주의
온건 보수주의
초보수주의
가부장적 보수주의
역사적 계파 :
자유보수주의
보수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협동조합주의
정치적 스펙트럼 우익 빅 텐트

주류: 중도우익 ~ 우익
비주류: 중도 ~ 중도좌익극우
총재 정진석 / n선 (, n-n대)
부총재 ㅁㅁㅁ / n선 (, n-n대)
간사장 ㅁㅁㅁ / n선 (, n-n대)
국회대책위원장 ㅁㅁㅁ / n선 (, n-n대)
귀족원의원 2372석 / 2856석 (83.1%)
사민원의원 168석[1] / 280석 (66.5%)
당색 회색 (#A0A0A0)
후원회 안민당중앙당후원회
정당원 수 1,124,763명 (2023년 1월 기준)
정당보조금 23,343,932,000원 (2023년 1분기 기준)
당비수입 41,234,565,352원 (2022년 기준)
당기 파일:안민당 당기.webp
당가 기타와 고독과 푸른 행성
 |  |  |  |  | 

개요

대한제국의 집권여당인 보수정당.

약칭은 공화당[2](共和黨), 영어 약자는 DRP(Democratic Republican Party)이다. 1963년 창당되었으며 창당한 이래로 현재까지 60년간 한국의 집권 정당으로서 자리매김 하고있다. 현 총재(당수)는 김황식이다.

강령·정책

강령

안민당 강령
  1. 우리는 10월 유신의 정신으로 민족적주체성을 확립하고 민주주의의 토착화를 이룩한다.
  2. 우리는 민족의 자주역량을 배양하고 국력을 조직화하여 조국의 번영과 평화적 통일을 성취한다.
  3. 우리는 국민교육헌장의 이념으로 생산적 인간성을 함양하고 새역사관을 정립하여 민족정기를 드높인다.
  4. 우리는 자유경제체제의 원칙아래 합리적인 경제계획으로 균형있는 국토개발과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기한다.
  5. 우리는 사회복지제도를 확충하여 안정되고 향상된 생활을 누릴 수 있는 사회를 건설한다.
  6. 우리는 고유의 문화를 창조적으로 계발육성하고 과학기술을 진흥시켜 문화수준의 향상을 기한다.
  7. 우리는 유엔헌장을 비롯한 국제협약을 준수하며 국제사회와의 유대를 강화하여 항구적인 세계평화와 안전에 기여한다.

정책

안민당 정책

당명


  • 영어: Democratic Republican Party



당색 및 로고

안민당 로고
파일:설중매 안민당 로고.svg
안민당 로고

대한국민당과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합당 당시 장면 총재가 제시한 당명인 '대한독립당'은 대한국민당의 대한과, 대한독립촉성국민회의 독립에서 각각 한 글자씩 따온 당명이다. 다만 '대한독립'이라는 명사가 독촉의 공식당명에 그대로 포함되어 한민당에서 반발한 바 있고, 이를 잠재우기 위해 독촉에서 약칭을 한민당과 유사한 어감을 주는 한독당으로 제안하였고, 이에 한민당이 동의하며 약칭은 명사의 첫 글자들로 구성된 대독당이 아니라, 한독당으로 정해졌디.

당가

당사

중앙당사

서울시 용산구에 소재한 중앙당사

시도당사

역사

2020년 이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비판 및 논란

소속 인원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틀: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공화당 (설중매)

제국의회의원

틀:제17대 제국의회의원/공화당 (설중매)

계파

틀:안민당의 파벌 분류 2023년 현재 당내의 주류 계파들은

지지 기반

다른 정당과의 관계

역대 전당대회

틀:역대 안민당 전당대회 (설중매)

역대 지도부

틀:안민당 총재 및 의장 (설중매) 틀:안민당 사무총장 (설중매) 틀:안민당 지도부 (설중매)

출신 대통령

여담

관련 문서

둘러보기

대한제국의 보수정당
재건당 안민당 현재
자유당
(개별 합류)
민주당
(개별 합류)
유신정우회
(개별 합류)

  1. 지역구 NNN석, 전국구 NNN석.
  2. 언론에선 해당 약칭으로 더 많이 불린다.
  3. 물론 구자체를 고집하는 소수의 보수파 일본인을 제외하고는 이런 표기는 안 쓴다고 봐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