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한나라):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한나라닷컴}} {{한국의 전근대 역사서 (한나라)}} {{대한제국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한나라)}} {{대한제국의 국보 (한나라)}}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border: 2px solid #000; text-align: center" | colspan="3" style="width: 50%; background: #F39100; color: #fff" | {{글씨 색|#fff|유네스코}} {{글씨 색|#fff|세계기록유산}} | colspan="3" style="width: 50%; background: #31...)
 
편집 요약 없음
95번째 줄: 95번째 줄:
== 관련 역사서 ==
== 관련 역사서 ==
----
----
[[분류:조선왕조실록 (한나라)]] [[분류:대한제국의 세계기록유산]]
[[분류:조선왕조실록 (한나라)]] [[분류:대한제국의 세계기록유산 (한나라)]]

2024년 9월 21일 (토) 01:32 판

한닷은 현재 진실·화해를위한한닷사정리위원회를 통해 리뉴얼되고 있습니다!
×
이 문서는 한나라닷컴의 공식 문서입니다. 한나라닷컴 연재자 외 수정을 금지합니다.
한국의 전근대 역사서
[ 펼치기 · 접기 ]
정사(正史)
국가 공인 역사서
삼국사기 고려사
실록(實錄)
제왕의 일대기를 다룬 편년체 기록물
고려실록 조선왕조실록
절요(節要)
방대한 정사 기록을 요약한 기록물
고려사절요 삼국사절요
통감(通鑑)
통치에 도움이 되는 기록물
동국통감
강목(綱目)
강목체를 적용한 기록물
동사강목 동국통감제강 본조편년강목
여사제강 동사회강 대동사강
휘찬려사 국조정토록
사략(史略) 본조사략 동국사략
일기(日記)
국가 공문서
승정원일기 일성록 동궁일기
각사등록 비변사등록
역사시(歷史詩) 응제시주 제왕운기
기타(日記) 삼국유사 개황력 대사편년
대사기 속무정보감 국조통기
발해고 해동고승전 동국병감
단군세가 기자지 동사
해동명장전 단군고기 신라고기
백제고기 해동고기 본국고기
삼한고기 고려고기 연려실기술
동사보유 동국역대총목 동사세가
해동역사 열조통기 동사찬요
기타 실전(失傳) 고구려 유기 신집
신라 국사 제왕연대력 화랑세기
백제 백제기 백제신찬
백제본기 서기
고려 구삼국사 가락국기 편년통록
왕대종족기 성원록 금경록
위서(僞書) 환단고기 규원사화 단기고사
부도지 화랑세기 박창화 필사본 격암유록
†: 실전(失傳)되어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
번외: 현대 역사서 한국사
link= 세계기록유산 대한제국의
세계기록유산
[ 펼치기 · 접기 ]
대한제국
국보國寶
[ 1~50호 ]
[ 51호~100호 ]
[ 101호~150호 ]
[ 151호~200호 ]
[ 201호~250호 ]
[ 251호~300호 ]
[ 301호~336호 ]
[ 번호 없음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대한제국의 국보
National Treasures Of Korea
이름 한국어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이름 한글 조선왕조실록[1]
영어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한자 朝鮮王朝實錄
프랑스어 Annales de la Dynastie Jo-Seon 영어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국가·위치 대한제국 한성부, 성남시, 부산광역시, 평창군, 평양광역시 분류번호 국보 151호
소장·관리 수학원대학 규장각, 국가기록원, 학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평양대학교 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소재지 정족산사고본: 한성부 성북구 수학원로 124, 수학원대학 규장각
태백산사고본: 부산광역시 연제구 경기장로 28 국가기록원 역사기록관
오대산사고본: 강원도 평창군 국립조선왕조실록박물관
적성산사고본: 평양광역시 대성구 대학로 13, 평양대학교 중앙도서관 보존서고
기타산엽본: 한성부 성북구 수학원로 124, 수학원대학 규장각
봉모당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학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재유형 기록유산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고본
등재연도 1997년 시설 1181책[2], 848책[3], 788책[4], 21책[5], 6책[6], 1,485책[7]
제작 주체 각 시기의 사관 및 실록청 지정연도 1973년 12월 31일
1차 사료 승정원일기 제작시기 태조 1년~유종 35년
첫 구절
태조 1년 7월 17일
태조가 수창궁(壽昌宮)에서 왕위에 올랐다. 마지막 구절
유종 35년 7월 16일
명년 1월 16일에 회릉(懷陵)에 장사하고 혼전(魂殿)의 이름을 효환(孝桓)라고 하였다.

개요

편찬

세초(洗草)

보관, 그리고 수난

갖가지 에피소드

평가

내용의 방대함

지우개를 쓰지 않는 역사

사관의 촌평

한계

사관들의 집념

현대화 노력

영인

번역과 전산화

번역의 문제점

실록 전산화의 영향

사극

교양서

그 외

목록과 분량

조선실록(태조~철종실록)

대한실록(고조 ~ 유종실록)

의의

여담

외부 링크

사이트

영상

같이 보기

관련 역사서


  1.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조선왕조실록 기타산엽본.
  2. 정족산사고본(鼎足山史庫本)
  3. 태백산사고본(太白山史庫本)
  4. 오대산사고본(五臺山史庫本)
  5. 기타산엽본(基他散葉本)
  6. 봉모당본(奉謨堂本)
  7. 적상산사고본(赤裳山史庫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