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원 (한나라): 두 판 사이의 차이

77번째 줄: 77번째 줄:
1980년대 프랑스 망명 시절 급진적 마르크스주의자로서 잠시 전향하여 계급투쟁과 유물론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1984년 소설 <영원의 아틀라스>를 발표하지만, 1986년 만주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한 [[신하준 (한나라)|신하준]]의 강제 구금 사건<ref>당시 만주에는 출입국 관리 담당자가 실적을 챙기겠다고 아무 여행객이나 골라 마약 밀반입자로 모는 악행이 있었는데 여기에 신하준이 걸려들었다. 신하준은 프랑스로 돌아가서 만주가 스탈린주의-관료주의 통제 사회의 극한이자 배반당한 혁명(트로츠키의 저서 제목을 인용)의 대표격인 국가라고 맹비난했는데 이로 인해 현재까지 만주에서 영구적으로 입국이 금지되어있다.</ref> 당시 신하준 구명 활동을 벌이면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에 환멸을 느끼고 공산주의 운동권과 전향한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진보에 대한 변증법의 관점은 유효하다고 평했으며 1990년 프랑스 망명 활동을 마치고 한국으로의 영구귀국한 후 [[민중당 (한나라)|민중당]]의 창당에 참여하는 등 진보주의 정당의 정치 활동에 관여하는 방식으로 이를 실천하고자 한다.
1980년대 프랑스 망명 시절 급진적 마르크스주의자로서 잠시 전향하여 계급투쟁과 유물론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1984년 소설 <영원의 아틀라스>를 발표하지만, 1986년 만주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한 [[신하준 (한나라)|신하준]]의 강제 구금 사건<ref>당시 만주에는 출입국 관리 담당자가 실적을 챙기겠다고 아무 여행객이나 골라 마약 밀반입자로 모는 악행이 있었는데 여기에 신하준이 걸려들었다. 신하준은 프랑스로 돌아가서 만주가 스탈린주의-관료주의 통제 사회의 극한이자 배반당한 혁명(트로츠키의 저서 제목을 인용)의 대표격인 국가라고 맹비난했는데 이로 인해 현재까지 만주에서 영구적으로 입국이 금지되어있다.</ref> 당시 신하준 구명 활동을 벌이면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에 환멸을 느끼고 공산주의 운동권과 전향한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진보에 대한 변증법의 관점은 유효하다고 평했으며 1990년 프랑스 망명 활동을 마치고 한국으로의 영구귀국한 후 [[민중당 (한나라)|민중당]]의 창당에 참여하는 등 진보주의 정당의 정치 활동에 관여하는 방식으로 이를 실천하고자 한다.


1990년대 초반부터는 문예비평가로서의 활동이 두드러졌으며, 신예 문예가 [[이인화 (한나라)|이인화]] 등 보수 성향의 문필가들을 전선에서 비판하며 진보 비평가로서 지명도를 쌓았다. 류원은 1990년대 당시 리얼리즘적인 문예비평에서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던 <문예와 비평>사와, 장정일, 이인화, 이창동, 이문열, 김탁환 등이 중심이 된 <상상>의 비평에 양비론적인 관점을 취하며, 신세대적([[자크 데리다|탈구축적]])인 텍스트 비평을 하기 위해 <이매진>지에 참여한다.
1990년대 초반부터는 문예비평가로서의 활동이 두드러졌으며, 신예 문예가 [[이인화 (한나라)|이인화]] 등 보수 성향의 문필가들을 전선에서 비판하며 진보 비평가로서 지명도를 쌓았다. 류원은 1990년대 당시 리얼리즘적인 문예비평에서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던 <창작과 비평>사와, 장정일, 이인화, 이창동, 이문열, 김탁환 등이 중심이 된 <상상>의 비평에 양비론적인 관점을 취하며, 신세대적([[자크 데리다|탈구축적]])인 텍스트 비평을 하기 위해 <이매진>지에 참여한다. 그는 은희경의 <새의 선물> 등 1990년대 들어 두각을 드러낸 페미니즘 문학에 대해 "페미니즘 문학은 그 어떠한 텍스트도 보여준 적이 없으며, 그 어떠한 사회적 규범도 초코드화시키지 못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산물"이라고 비판함과 동시에, 이인화의 대하소설 <인간의 길>에 대해서 "프랑스 망명 시절로 돌아가 한문장 한문장 분석하며 표절성을 비판할 수 있다"라며 역겨움을 드러냈다.


== 작품 목록 ==
== 작품 목록 ==

2023년 1월 25일 (수) 00:46 판

한닷은 현재 진실·화해를위한한닷사정리위원회를 통해 리뉴얼되고 있습니다!
×
이 문서는 한나라닷컴의 공식 문서입니다. 한나라닷컴 연재자 외 수정을 금지합니다.
류원
柳元 | Ryu Won
본명 류열찬 (柳悅燦)[1]
출생 1952년 05월 05일(1952-05-05) (71세)
한성부 종로구 숭인동
국적 대한제국
직업 소설가, 시인, 수필가
[ 펼치기 · 접기 ]
본관 영광 류씨
학력 한성고등학교 (졸업 / 17회)
경희대학교 (불어불문학 / 학사)
경희대학교 (불어불문학 / 석사)
활동 기간 1973년 - 현재
부모 아버지 류강석
어머니 조춘자
배우자 김희연
종교 무종교
데뷔작 방황하는 눈사람 (1973)
언어 한국어
사조 포스트모더니즘, 참여 문학, 문학 평론
주요 작품 30 (1975)
갈망 (1981)
오래된 그늘 (1999)
소금 (2011)
수상 동인문학상 (1999)
만해문학상 (2001)

개요

이게 다 너때문이야. 하고 소리치는 아버지와, 소금을 안고 엎어지는 아버지와, 감옥에 간 아버지와, 사우디아라비아 모래 바람 속에 함마를 내두르는 아버지와, 빨대 아버지와, 깔대기 아버지와 그리고 또 가족을 등지고 필사적으로 도망치는 아버지도 보였다. ...아버지들이 돌아오고 있었다... 고, 나는 느꼈다.[2]
<소금>

대한제국의 시인.

현대 참여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하나로, 젊은 시절 데뷔하여 현재까지 꾸준하게 사회 참여적인 문학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생애

1952년, 한성부 종로구 숭인동의 부유한 양반가에서 태어났다. 어릴 때 미학에 관심을 보였으나 아버지와 어머니가 이를 허용하지 않았고, 명문고등학교인 한성고등학교에 입학했지만 보들레르와 카뮈의 소설에 심취해 거의 반 꼴지를 했다고 한다. 고등학교 2학년 시절, 아버지와 타협을 보아 불어불문학과에 진학하는 것으로 합의를 보았고 1971년 경희대학교의 불어불문학과에 합격, 진학한다.

류원은 중학생 시절부터 틈틈이 습작을 써오면서 이미 문학적 재능을 드러냈는데, 1973년 자신의 자전적인 단편 소설들을 다듬은 책 <방황하는 눈사람>이 문예상을 받으면서 21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등단하게 된다. 1974년, 비상조치령 시행 후 학생 시위에 참여하였다가 구속되어 소설 활동이 중단되었으나, 구치소 안에서 소설 <30>을 1975년 완성하고 1976년 출간하였다. <30>은 견우와 직녀 설화를 현대적으로 재각색한 순수문학에 가까운 내용이었는데, 스스로는 아버지에게 미안해서 돈 벌려고 쓴 소설이었다고 주장한다. 자신은 상당한 흑역사로 보는듯. 1975년 감옥에서 출소한 이후에는 류원이라는 필명을 사용하기 시작했다.[3]

1979년, 2년 늦게 불어불문학과 석사 과정을 졸업하였으며, 대학 졸업 이후에는 서울의 봄에 참여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학생 운동을 옹호하는 수필들을 발표하며 진보 지식인으로 변신하였다. 1981년 출간한 <갈망>은 서울의 봄을 전후로 하여 대한제국의 사회상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한 소설로, 출간과 동시에 금서가 되었으나 국제적으로 큰 호평을 받았다. 류원은 전두환 내각의 탄압을 피하기 위해 프랑스 파리로 망명하였으며, 신하준, 홍세화와 활발하게 교류하는 한편 롤랑 바르트의 <텍스트의 즐거움> 등 여러 비평서적을 번역하며 문예비평가로서도 활동하기 시작한다.

1980년대 프랑스 망명 시절 급진적 마르크스주의자로서 잠시 전향하여 계급투쟁과 유물론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1984년 소설 <영원의 아틀라스>를 발표하지만, 1986년 만주인민공화국 정부에 의한 신하준의 강제 구금 사건[4] 당시 신하준 구명 활동을 벌이면서 마르크스주의 철학에 환멸을 느끼고 공산주의 운동권과 전향한다. 그러나 여전히 사회진보에 대한 변증법의 관점은 유효하다고 평했으며 1990년 프랑스 망명 활동을 마치고 한국으로의 영구귀국한 후 민중당의 창당에 참여하는 등 진보주의 정당의 정치 활동에 관여하는 방식으로 이를 실천하고자 한다.

1990년대 초반부터는 문예비평가로서의 활동이 두드러졌으며, 신예 문예가 이인화 등 보수 성향의 문필가들을 전선에서 비판하며 진보 비평가로서 지명도를 쌓았다. 류원은 1990년대 당시 리얼리즘적인 문예비평에서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던 <창작과 비평>사와, 장정일, 이인화, 이창동, 이문열, 김탁환 등이 중심이 된 <상상>의 비평에 양비론적인 관점을 취하며, 신세대적(탈구축적)인 텍스트 비평을 하기 위해 <이매진>지에 참여한다. 그는 은희경의 <새의 선물> 등 1990년대 들어 두각을 드러낸 페미니즘 문학에 대해 "페미니즘 문학은 그 어떠한 텍스트도 보여준 적이 없으며, 그 어떠한 사회적 규범도 초코드화시키지 못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산물"이라고 비판함과 동시에, 이인화의 대하소설 <인간의 길>에 대해서 "프랑스 망명 시절로 돌아가 한문장 한문장 분석하며 표절성을 비판할 수 있다"라며 역겨움을 드러냈다.

작품 목록

문학

비문학

어록

소속 정당

선거 이력

여담


  1. 류원은 필명이며 현재도 법정 등록 이름은 류열찬이다. 류철균, 고은태, 이열, 황수영과 같은 케이스.
  2. 원문: 박범신, <소금> (2013)
  3. 일설에 의하면 자신의 한자 이름이 너무 어려워서 편하게 쓰려고 바꾸었다고 한다.
  4. 당시 만주에는 출입국 관리 담당자가 실적을 챙기겠다고 아무 여행객이나 골라 마약 밀반입자로 모는 악행이 있었는데 여기에 신하준이 걸려들었다. 신하준은 프랑스로 돌아가서 만주가 스탈린주의-관료주의 통제 사회의 극한이자 배반당한 혁명(트로츠키의 저서 제목을 인용)의 대표격인 국가라고 맹비난했는데 이로 인해 현재까지 만주에서 영구적으로 입국이 금지되어있다.